자기를 보는 것의 중요성
자기를 보는 만큼 주님을 보게 된다. 우리속에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아담적인 본성에서 나온다. 자아의 특징중에 하나가 바로 자기 본위이며 이것에서 자기를 변호하려는 경향을 볼 수 있다.
A. 다루심의 근거:
갈5:16-17『[16] 내가 이르노니 너희는 성령을 좇아 행하라 그리하면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아니하리라 [17]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리고 성령의 소욕은 육체를 거스리나니 이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의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신8:2-3
『[2]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사십년 동안에 너로 광야의 길을 걷게 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는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아니 지키는지 알려 하심이라 [3] 너를 낮추시며 너로 주리게 하시며 또 너도 알지 못하며 네 열조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네게 먹이신 것은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너로 알게 하려 하심이니라』
B.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이해
(롬 7:18) 『내 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아니하는 줄을 아노니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노라』
(시 51:5) 『내가 죄악 중에 출생하였음이여 모친이 죄중에 나를 잉태하였나이다』
일반적인 자기이해
자기를 괜찮은 사람으로 이해하려는 경향. 상대적인 의인의식
자기의 모습
자신의 약함을 들춤
내 자신이 노력해도 안됨.
C. 다루심의 통로
* 환경(히5:8-9)
[8] 그가 아들이시라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9] 온전하게 되었은즉 자기를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
* 말씀(히4:12)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 죄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하나니』『지으신 것이 하나라도 그 앞에 나타나지 않음이 없고 오직 만물이 우리를 상관하시는 자의 눈 앞에 벌거벗은 것같이 드러나느니라』
* 성령(요16:8)
『그가 와서 죄에 대하여 의에 대하여 심판에 대하여 세상을 책망하시리라』
D. 다루심을 경험함으로 자기 속에 선함이 없음과 십자가만이 하나님의 유일한 지혜임을 아는 자의 특징들.
1. 자부심을 내리고 오직 십자가를 붙든다.
『[4] 그러나 나도 육체를 신뢰할 만하니 만일 누구든지 다른 이가 육체를 신뢰할 것이 있는 줄로 생각하면 나는 더욱 그러하리니 [5] 내가 팔일 만에 할례를 받고 이스라엘의 족속이요 베냐민의 지파요 히브리인 중의 히브리인이요 율법으로는 바리새인이요 [6] 열심으로는 교회를 핍박하고 율법의 의로는 흠이 없는 자로라』
자아의 특징 세가지
1) 자기 본위(자기중심성) - 자기변호, 인정받으려는 욕구, 경쟁심, 시기, 질투, 열등감
2) 자기 과신 - 자기신뢰의 결과 믿음에 의한 삶이 실재가 아니다. 젨자기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의지의 한국인
3) 자만심 -
2. 자기를 부인하는 삶이 된다.
[39]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가로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40]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가로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 아니하느냐 [41] 우리는 우리의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의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42] 가로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생각하소서 하니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자기를 부인하는 삶 (0) | 2018.02.08 |
---|---|
고통 가운데 나타난 하나님의 의도 (0) | 2009.12.10 |
부르심과 세우심 사이 (0) | 2009.11.21 |
하나님의 침묵 (0) | 2009.10.10 |
우리의 비전 (0) | 200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