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세히 가르쳐 주신 하나님-J 오스왈드 샌드스

기독자료/신앙서적요약

by 발의무리 2008. 6. 21. 08:00

본문

자세히 가르쳐 주신 하나님

J 오스왈드 샌드스

나침판 


서문                                                                                                 2

예비하신 축복을 누리소서                                                                              2

성숙한 내일의 삶의 모습을 위해서                                                                      2

1. 인도하심에 관한 교훈                                                                               4

인도하심은 약속되어 있다                                                                              4

인도하심은 절대 필요한 것이다                                                                         5

인도하심은 개인적인 것이다                                                                            5

인도하심은 조건적이다                                                                                 6

인도하심에는 질서가 있다                                                                              6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결코 그의 말씀과 모순되지 않는다.                                                  7

인도받기를 원하는                                                                                    7

- 성령은 언제나 하나님의 계획을 증거하신다.                                                            7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어떤 원리들을 위배하지 않는다.                                                     7

-자격있는 친구들의 충고를 구해야 한다.                                                                 8

인도하심은 보호(safeguards)를 요구한다                                                                 8

2. 하나님의 주권에 관한 교훈                                                                         10

하나님의 주권                                                                                       10

-주권과 아버지 되심                                                                                 10

-부여하심과 물러나 계심                                                                             11

하나님의 더디심                                                                                     12

하나님의 침묵                                                                                       12

하나님의 영원 불변성                                                                                14

3. 사랑에 관한 교훈                                                                                  16

사랑의 우월성(1-3절)                                                                                 16

-사랑은 방언의 은사보다 우월함을 이야기한다(1절).                                                      17

-사랑은 예언의 은사보다 탁월하다(2절)                                                                 17

-사랑은 기적을 이루는 믿음보다 우월하다(2절).                                                          17

-사랑이 없는 구제보다 사랑이 뛰어남을 강조한다(3절).                                                   17

-사랑은 과시적인 순교를 능가한다(3절)                                                                 17

사랑의 속성들(4-7절)                                                                                 18

-사랑의 인내성                                                                                      18

-사랑의 자비함                                                                                      18

-사랑의 관대함                                                                                      18

-사랑의 온유함                                                                                      19

-사랑의 겸손함                                                                                      19

-사랑의 정중함                                                                                      19

-사랑의 비이기성                                                                                    20

-사랑의 자기 절제                                                                                   20

-사랑의 너그러움                                                                                    20

-사랑의 성실성                                                                                      20

-사랑의 침묵성                                                                                      21

-사랑의 신뢰성                                                                                      21

-사랑의 낙천성                                                                                      21

-사랑의 인내성                                                                                      21

사랑의 영구성(8-13절)                                                                                22

사랑의 추구                                                                                         22

4. 능력에 관한 교훈                                                                                  23

능력을 갈망함                                                                                       23

능력의 부족                                                                                         23

능력에 대한 약속                                                                                    24

능력의 본질                                                                                         24

능력의 나타남                                                                                       25

능력의 실례(examples)                                                                               26

능력의 조건들                                                                                       27

5. 청지기직에 관한 교훈                                                                              29

풍성한 헌금을 못하게 하는 방해물들                                                                   29

풍성한 헌금의 정도                                                                                  30

관대함의 문제점들                                                                                   31

믿음으로 드림                                                                                       32

6. 정결케 하심에 관한 교훈                                                                           34

죄의 오염                                                                                           34

● 오염의 원인들                                                                                    35

● 오염의 결과                                                                                      35

죄의 청결                                                                                           36

● 전형적인 의식                                                                                    36

● 실물에 대한 인식                                                                                 37

죄로부터 깨끗케함                                                                                   38

● 치료책으로의 접근                                                                                38

● 치료책의 적용                                                                                    38

7. 내재하는 죄에 관한 교훈                                                                           40

언약의 정의                                                                                         40

옛 언약의 특징                                                                                      40

언약의 목적                                                                                         41

구약의 결과                                                                                         42

구약의 교훈                                                                                         42

새 언약에 대한 예언                                                                                 43

8. 자유에 관한 교훈                                                                                  45

언약들의 대조                                                                                       45

새 언약의 특성들                                                                                    46

언약의 보증인                                                                                       47

언약의 조건들                                                                                       48

9. 승리에 관한 교훈                                                                                  50

해방의 방법-알다(3-11절)                                                                             51

해방의 전유(專有) -여기라(12-14절)                                                                    52

해방의 결과-굴복하라(15-23절)                                                                        53

10. 평정에 관한 교훈                                                                                 56

안식에 관한 약속                                                                                    56

안식의 유형                                                                                         56

● 창조의 안식                                                                                      56

● 가나안의 안식                                                                                    57

● 그리스도의 안식                                                                                  57

안식에 들어가기에 실패할 위험                                                                        58

안식에의 추구                                                                                       58

안식으로의 길                                                                                       59

11. 예배에 관한 교훈                                                                                 62

예배의 의미                                                                                         62

예배의 동기                                                                                         63

예배의 태도                                                                                         63

예배의 매체                                                                                         64

예배의 방법                                                                                         64

12. 과실을 많이 맺는 것에 대한 교훈                                                                  67

말씀하신 원리                                                                                       67

예증된 원리 -자연 속에                                                                              68

명령된 원리                                                                                         69

13. 섭리에 관한 교훈                                                                                 74

예지(豫知)하심과 예비(豫備)하심                                                                       74

섭리와 보존                                                                                         74

섭리적인 중재                                                                                       75

영원한 교훈                                                                                         76

여기 영원한 가치가 있는 교훈이 있다                                                                  76

14. 효과있는 사역에 관한 교훈                                                                        77

날카로운 칼                                                                                         78

마광한 살                                                                                           79

숨기는 전통                                                                                         80

15. 영혼의 만족에 관한 교훈                                                                          82

상징적인 배경                                                                                       82

영적인 욕구                                                                                         82

공급의 원리                                                                                         83

간단한 비결                                                                                         83

필연적인 결과                                                                                       84

구세주의 의미                                                                                       85




서문



이 책은 성결의 길을 출발한 그리스도인의 내적인 생활에 관련된 15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생활이 복잡해짐에 따라서 문제들은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의 젊은이들은 과거 어느 세대보다 더 강한 압력과 유혹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에게는 이 문제들에 대한 해답이 긴급히 요청되고 있는 형편이다. 성경이 선포하고 있는 영적법칙과 원리 속에 모든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만족할 만한 해답이 들어 있다고 본인은 확신한다. 따라서 주로 해설적인 방법을 채택했다. 초판을 통해서 축복을 받았다는 간증이 재판을 발행하는데 격려가 되었다.


J. 오스왈드 샌더스


예비하신 축복을 누리소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속에는, 주님을 모신 자로서 합당하게 살고자 하는 욕망과, 삶의 제반문제를 만날 때에 그분의 뜻을 알고자 하는 추구가 있게 마련입니다.

저는 이 책을 번역하면서 속 시원히 대답해 주시는 하나님을 만날 수있었으며, 실제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인도하여 주시는 그분께 감사를 드렸습니다.

이 책의 출판을 앞둔 나의 마음은,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번역하던 시간들 만큼이나 기쁨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이 책이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되고 읽혀지며, 읽는 이들마다 승리의 생활을 하여, 하나님께서 이미 예비하신 축복을 누리는 데 많은 도움과 격려가 되었으면... 합니다.


옮긴이 / 최 혜 숙



성숙한 내일의 삶의 모습을 위해서



그리스도인의 경건한 생활, 깊은 영성을 추구하는 성도치고 앤드류 머레이, 니 형제, 토져, 뮬러. 허드슨 테일러 등의 이름들을 들먹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오스왈드 샌더스는 가히 독보적인 인물이다. 그의 균형, 그의 예지, 그의 통찰력, 그의 혜안, 그의 무게는 그야말로 압도적이다.

그는 결코 신학적으로 탈선하지 않으면서, 깊이 있게 다루며, 영성의 이름 아래 현실을 외면하지도 않으며, 안식의 원리와 함께 책임의 원리를 소리 높여 열창한다. 그의 영향은 그의 시대를 뛰어넘어 주의 날까지 계속 되리라고 믿어진다.

주님을 사랑하는 한국 교회에 샌더스의 열풍이 불어와, 좀더 뜨거운 열망을, 좀더 엄숙한 결의를, 좀더 진지한 부흥의 도전을 주었으면 좋겠다. 아울러 이 책이 개인에게는 경건의 참된 명상록으로, 교회에서는 신앙 생활의 참된 예배서로 사용되어지기를 바란다.

성숙한 내일의 우리들의 삶의 모습을 위해서 - 나침반社가 그의 글을 계속, 그리고 좀더 많이 펴내고자 할 때 주께서 앞장서 주시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동원



하나님께 나아가서, 부르심(Calling/召命)을 구하라.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향한 계획과 소명을 갖고 계시며, 또한 당신을 그 계획안으로 인도해 가실 것이기 때문이다. 이 숨겨진 하나님과의 연합, 또는 그와의 교제에 의해, 우리는 우리가 자신에 관해 알고 있는 것보다 더 깊은 통찰력과 지혜를 얻기 때문이다. 즉 우리는 하나님의 뜻과 일치하며 그의 사랑과 하나가 되게 되는 것이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계획 가운데로 들어가며, 하나님에 의해 그 길로 이끌려 가며, 하나님께 동의하고 협조하며 반응을 보이고 그의 감추어진 지혜가 우리를 감싸며 세상을 향해 보내시는 좋은 목표를 향해 가장 멋진 정확성을 가지고 일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하나님의 조언(Counsel)과 계획을 발견할 수 있다. 문제들이 제기될 때 이것들은 다음(next)으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 줄 것이며 우리가 신뢰하며 안전하게 지나가게 될 것인데, 우리가 현재에 당면하는 문제는 하나님께서는 과연 어떤 일을 하라고 우리를 부르셨는가에 관한 것이다. 하나님 없이 사는 모든 사람들은 하나님의 세계 바깥에서 모험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길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하나님을 무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글픈 처지가 되고 만다. 오, 내가 그들에게 그들의 메마름과 말할 수 없는 슬픔이 어디로부터 오는지를 알려 줄 수 있다면 오 내가 그들을 일의 소란과 혼잡가운데서 한 시간 동안만 침묵시키고 더 낫고 열매맺는 더 놓은 삶과 하나님께서 준비해 놓으신 축복을 볼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다면......               Horace Bushnell




1. 인도하심에 관한 교훈



"내가 너의 갈 길을 가르쳐 보이고 너를 주목하여 훈계하리로다”(시편 32편 8절).


인생의 넓은 길과 사잇 길에서 하나님의 지도를 받는 것은 가능한가?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인 개개인을 위해 계획을 가지고 계시는가? 우리가 하나님의 뜻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의심의 여지없이 확신할 수 있는가?

이 질문들은 학구적인 관심 이상의 것들이다.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가장 높은 뜻을 알기를 열망하는 사람들에게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각 사람의 삶을 위해 특별한 계획과 이상(理想)이 없다면, 사람들은 제각기 자신의 것을 고안해 내고 그것을 향해 일해야만 할 것이다. 만일 이상적인 계획이 있다면, 사람은 자신의 계획을 포기하고 부지런히 하나님의 뜻을 찾아서 그것을 따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잘못 인도된 인생만큼 비극적인 것이 없으며, 처음의 약속을 잃어버리고 부적격자가 되는 것보다 더 큰 비극은 없을 것이다. 결혼에 있어서의 잘못된 결정이나 인생의 갈림길에서의 잘못된 선택은 많은 그리스도인들을 고통과 비극에 휘말려 들게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을 위한 인도하심과 지도하심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난이 반복될 필요는 없다.


인도하심은 약속되어 있다



명백한 사실은. 인도하심 받기를 원한다고 말하는 모든 사람이 다 하나님의 뜻대로 인도하심 받기를 정직하게 열망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한 건축가가, 고객중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집을 설계해 달라고 요청은 하지만, 실제로 그들은 이미 자신을 위해 집을 설계해 놓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고 불평했다. 그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은 그들의 계획이 인정 받는 것이었다. 그들은 자신이 이미 결정한 것이 종이 위에 그려지는 것을 보기 원하는 것이다. 같은 모양으로써, 때때로 우리는 우리 삶의 위대한 건축가에게 나아간다. 우리는 그에게 지혜와 인도를 구하지만, 우리가 우리의 길을 이미 결정해 놓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찾는 것은 그의 길이 아니고, 우리의 길에 대한 그의 인정인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그의 인도하심을 성실하게 구하는 이들에게, 하나님께서는 그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는 사람의 삶의 가장 세세한 부분에 대해서까지도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조종하시며 통제하신다는 사실에 관해 만족할만한 증거를 제시해 주고있다. 성경은 이러한 확신들로 가득차 있다.


"나 여호와가 너를 항상 인도하여”(사 58:11).

”여호와께서 사람의 걸음을 정하시고”(시 37:23).

”너는 범사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을 지도하시리라”(잠 3:6).

”우리는 그의 만드신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이 일은 하나님이 전에 예비하사 우리로 그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하심이니라”(엡 2:10).


이 구절들이 말하고 있는 그대로를 의미하고 있다면, 우리는 이 순간부터 하나님께서 우리 삶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이상적인 계획을 가지고 계시며, 우리의 협력을 구하고 계시는 것이 자명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과거의 실패는 돌이킬수 없으며, 그 기회는 사라져버려 다시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실패가 최종적인 것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우리의 안내자는 격려로 가득찬 확신을 주시고 계시다.

”내가 전에 너희에게 보낸 ... 메뚜기가... 먹은 햇수대로 너희에게 갚아주리니”(욜 2:25).

죄를 뉘우치는 사람들에게 그는 다시 새로운 기회를 주신다. 이 순간부터 당신이 그를 초대하기만 한다면, 그는 키를 잡으시고 실패하지 않으시는 솜씨로 방심할 수 없는 숨은 위험과 숨겨진 암초를 지나 소원의 항구로 우리 인생의 배를 저어가 주실 것이다.

하나님께서 완전한 계획을 가지고 계신 것이 완전한 사실인 반면에, 그는 보통 바로 다음 단계 이상의 것은 우리에게 보여 주시지 않는다. 그의 인도하심은 믿음의 훈련(exercise of faith)이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나님의 계획이 요셉을 아버지의 집에서 웅덩이로 떨어지게 하고, 먼 나라에서 애굽의 지하감옥에 갇히게 했을 때, 그것은 틀림없이 요셉에게는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결말을 볼 때, 종국에 그를 왕좌로 이끈 모든 발자국마다에서 그는 하나님의 사랑의 인도를 볼 수 있었다. 그는 염려하는 그의 형들에게 기쁨가운데 외쳤다. ”그런즉 나를 이리로 보낸 자는 당신들이 아니요 하나님이시라”(창 45:8). 모든 외적인 양상에 있어서는 그는 낮아지고 또 낮아져서 수치스러운 비천한 신분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세월이 지난 뒤, 그는 위로 위로 명예와 권세와 부(富)로 인도되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리라”(요 8:12). 이것이 하나님의 약속이다. 그러나 하나님을 인도자로 모시지 않는 사람은 최선을 다해 스스로 자신의 길을 더듬어 찾아야 한다.

토마스 카알라일(Thoms Carlyle)이 일찌기 말했다. ”인간은 어떤 길이든지 들어설 수 있지만, 어떤 주어진 순간에도 각 사람을 위한 최선의 길이 따로 있다. - 지금 이 곳에서 모든 것 중에 그가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것이 있다. 즉 이것은 그가 그렇게 인도되거나 억지로 강요되어서 우리가 말하는 것처럼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 그의 성공은 완전하며, 그의 행복은 최대의 것이 된다.” 자기 삶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을 발견하고 따르는 사람은, 진정한 의미에서 성공적이 되며 참된 의미의 즐거움을 누리게 된다.


인도하심은 절대 필요한 것이다



"걸음을 지도함이 걷는 자에게 있지 아니하니이다”(렘 10:23).

인간의 경험은 이 절대적인 주장을 확증해 준다. 수많은 난파된 인생들이 자기 운명을 형성하고 배(bark)를 지도한 인간의 무능을 무언(無言)으로 그러나 웅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날마다 인도하심을 받는 것은 필요 불가결한 것이며 또한 우리의 특권이기도 하다.

인생이란 옳고 그른 것과 더 좋은 것과 가장 좋은 것 사이의 끊임없는 선택의 긴 연속이다. 두 길이 우리 앞에 열려 있다. 분깃점에서는 둘다 매혹적으로 보인다. 우리는 한 길 밖에는 걸을 수 없다. 그러나 어느 길을 택할 것인가? 인간의 지혜와 통찰력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앞에 있는 길은 불확실하고, 우리의 통찰력에는 결함이 있고, 우리의 지혜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건들을 배치하는 것은 우리 손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손 안에 있다. 그분만이 다음 순간에 일어날 일을 아시며, 따라서 그분만이 우리의 발걸음을 인도하실 수있는 것이다.

다시한번 말하거니와, 우리는 길에 혼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무의식과 알지도 못하는 절대적이고 초자연적인 힘에 둘러 싸여 있다.

”정사와 권세와 이 어두움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에게 대함이라”(엡 6:12).

그러나 우리가 우리 적의 책략을 모를지라도, 그것들은 우리를 끝까지 안전하게 인도하실 하늘에 계신 우리 지도자에게는 다 드러나 있다.

부적응되고 잘못 인도된 삶의 육체적, 영적 결과는 심각한 것이어서, 하나님의 뜻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되고 있다. 대영 학술 협회(British Association)에서는 신경질환과 정신질환의 5백가지 사례중 단지 2%만이 과로가 그 주요 원인이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 경우중 대다수의 원인이 더 개인적(per-sonal)인 것이고, 외적인 긴장과 압박보다는 개인적인 불행과 마음의 갈등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 진술되었다. 하나님의 계획을 발견하고 그것에 순응하는 것은 내적인 조화를 가져다 준다. 하나님의 계획을 놓치게 되면 불가피하게 부조화가 생기게 된다.


인도하심은 개인적인 것이다



우리를 인도하시는데 있어서,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로보트로 취급하지 않으시고 분별력있고 책임성있는 존재로서 대우하신다. 그는 사람들을 단체로 다루지 아니하시고 각 사람을 개별적이고 개인적으로 다루신다. 각 사람은 세상에서 독특하고 유일한 존재이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많은 사람들의 수 만큼 많은 방법과 계획을 가지고 계시다. 그의 다루심에 있어서 우리의 유전이나 환경, 기질, 재능은 남김없이 모두 다 고려된다. 무한한 지식으로 무한한 동정과 이해를 가지시고 계획을 세우신다.

특히 젊은 사람들 가운데 자신이 다른 사람과 같지 않은 것을 유감스러워하며 고민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에게 없는 재능이나 장점을 가진 것을 부러워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들에게 주어진 두드러진 재능을 발견하고 훈련하는 대신에, 다른 사람의 모범을 재현하고자 노력한다. 이런 태도는 사실상 각 사람을 향한 개인적인 계획을 부인하는 것이다. 각 사람의 환경은 우연히 주어진 것이 아니고, 각자가 어떻게 하면 하나님을 가장 잘 영화롭게 하며 인생에 있어서 최선의 것을 성취할 수 있는 지 아시는 전능하신 아버지에 의해 계획된 것이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능력이 최대로, 가장 조화롭게, 사용될 특정 분야의 일을 위해 당신을 갖추어 놓으셨다는 것을 알게 될 때, 당신이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는 것은 어렵지 않게 될 것이다.

이것을 깨닫게 될 때, 인생의 사소한 부분까지도 모두 중요해지게 된다. 인생은 하나의 길고 낭만적인 발견의 여행이다. 하나님께서 빌립에게 사막으로 내려가라고 명했을 때에, 만일 그가 자신이 사마리아의 위대한 부흥운동에 꼭 필요하다는 이유로 한 시간만 지체했더라도, 그는 에디오피아 국고를 맡은 내시를 만나지 못했을 것이며, 에디오피아는 복음을 일찌기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잃어 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인도하시는 영의 음성에 대한 그의 즉각적이고 의심치 않는 순종에 따라 정해졌다. 하나님의 계획은 개별적일 뿐만 아니라, 시기(time)도 조심스럽게 정해진다.



인도하심은 조건적이다



영적인 훈련(spiritual exercise) 중에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는 것보다 더 크게 우리의 재간(caliber)과 성숙을 테스트하는 것이 없다.

온유함은 필요불가결한 조건중 하나이다. 고집과 자기 주장은 인도하심을 받을수 있는 가능성을 닫아 버린다. ”온유한 자를 공의로 지도하심이여”(시 25:9). 온유한 사람은 하나님의 뜻을 더 좋아한다. 우리 주님께서는 삶의 인도하심을 받고 진리가운데 인도되는데 적용될 영원한 원리를 제시하시며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알게 되리라”(요 7:17).

발람 선지자는 입으로는 인도하심을 구한다고 하지만 내심으로는 나타내어진 하나님의 뜻을 좇기를 원치 아니하는 사람들에게 경고가 된다. ”초연한 감정과 유동성있는 뜻”을 소유하는 대신에, 그의 시선은 언제나 약속된 돈에 고정되어 있었다. 그는 ”불의의 삯을 사랑했다”(벧후 2:15). 발락 왕의 명령에 따라 이스라엘을 저주할 것을 허락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의 뜻에 만족지 못하고, 그는 하나님께서 허락해 주실 때까지 하나님께 매어 달렸다. 하나님께서는 그 뜻을 바꾸셨는가? 잠시동안도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발람의 고집을 인하여, 하나님께서는 ”좋다. 네가 원한다면, 하라”고 말씀하셨고, 그것은 발람에게 재난을 가져오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분명하게 나타난 하나님의 지시적인(directive) 뜻은 그가 가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허용적인 뜻은 그가 갈 수는 있으나, 그것은 불순종의 행동이며 그 자신의 책임이 되는 것이다. 비극적인 결과는 그 자신의 행동의 결과인 것이다. 같은 예로 아브라함이 애굽으로 들어갔던 일과 요나가 다시스로 도망갔던 일에 적용되었다.

하나님께서 그의 뜻을 나타내 보여 주셨을 때, 우리 자신의 계획과 상상을 가지고 장난치는 일을 계속하는 것은, 하나님께 그 뜻을 바꾸어 달라고 간청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과언이 아니다. 지시적인 하나님의 뜻과 허용적인 하나님의 뜻과의 차이는 하나님의 목적과 우리의 목적과의 차이다.

평범한 일상생활에서의 순종은 우리가 인생에서 큰 위기를 만날 때 인도하심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을 갖추게 해준다. ”너는 범사[인생의 넓은 신작로]에 그를 인정하라, 그리하면 네 길(갈라지는 샛길)을 지도하시리라.” 개인적인 기호(pre-ference)는 정직하게 포기되어야 한다. 그러면 우리는 ”정직한 자의 성실이 그들을 인도하는”(잠 11:3)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우리의 영적 성숙과 분별력은 인도함을 받는 문제와 관계가 된다. 기드온의 양털과 같은 외적 표적은, 우수한 영성(spirituality)과는 거리가 멀고, 실제로 약한 믿음에게 주어진 것이다. 구름기둥과 불기둥, 우림과 둠밈과 제비 뽑는 일은 이스라엘의 유치원적 체험에 속하는 것이다. 그들이 성숙해 졌을 때, 인도하심은 내재(內在)하시는 성령을 통한 인격적인 것이 되었다.


인도하심에는 질서가 있다



하나님의 뜻인지를 보증해 주는 몇가지 원리와 준수해야 할 것들이 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결코 그의 말씀과 모순되지 않는다.


인도받기를 원하는

 일에 관해 성경이 명확하게 말해 주고 있다면 더 이상 인도하심을 구할 필요가 없다. 하나님께서는 이미 그의 뜻을 보여 주신 것이다. 성경에 모순되는 것으로 보이는 인도는 분명히 가짜이다. ”마땅히 율법과 증거의 말씀을 좇을지니 그들의 말하는 바가 이 말씀에 맞지 아니하면 그들이 정녕히 아침빛을 보지 못하고”(사 8:20).


R. A. 토리(Torrey)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성경구절을 성경에서의 위치와 그 해석에 관련시켜 취함으로써 인도하심을 받으며, 성경의 문맥 가운데서 성령의 인도하심을 받음으로써 인도 받는다. 만일 본문이 암시하며, 사용된 언어와 문맥에 의해 발견한 의미가 당신의 상황에 적용된다면, 그것은 틀림없이 하나님으로부터의 메시지이다. 만일 적절한 의미와는 왜곡되어 있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이었다고 볼 수 없다.”


성경 말씀이 때로 그 페이지로부터 튀어 나와서, 성령에 의해 조명되어서 그 상황에 명백하게 적용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그것이 문맥상 해석의 의미가 논리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면) 그것은 자신있게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 것이다.


- 성령은 언제나 하나님의 계획을 증거하신다.


”무릇 하나님의 영으로 인도함을 받는 그들은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롬8:14).

성령께서는 우리의 분별력과 판단력을 말살시키시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사용하심으로 우리를 인도하신다. 복잡한 환경 가운데서의 성령의 인도하심에 관한 고전적인(classical) 귀절에서, 바울과 그의 동행이 자신들의 계획을 속행하고자 했을때, ”금지되고” ”안되어서 고통”을 받은 후에야 마게도니아에서 복음을 전하라는 주님의 부르심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행 16:10). 그러나 주위 환경을 살펴볼 때, 그것은 갑작스런 결정이 아니었다. 그것은 많은 기도와 연단된 마음과 성숙한 사고에서 얻어진 분명한 확신이었다.

요한 웨슬레는 하나님께서는 보통 마음 속에 어떤 특정한 길로 행하고자 하는동기를 주심으로써 그를 인도하셨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유용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그 다음에는 결정을 내리기에 앞서 찬반 양쪽을 조심스레 심사숙고해 보아야 한다. 우리가 기도하는 동안에, 성령께서는 어떤 길이 하나님의 뜻인지 끊임없이 깊은 확신을 주실 것이다. 선교지나 기독교 사역의 분야의 인도하심을 구하는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장소를 장엄하게 계시해 주시기보다는, 기도할 때에 깊어지는 확신을 구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 -외적인 환경이 내적 확신을 확증해 준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과 일치하게 행할때, 주위 환경은 그에 맞게 변화되어 간다.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이, 믿음으로 외칠 때 사라져 버린다. 기록된 말씀과 성령의 증거와 환경에는 완전한 조화가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환경은 시험(testing)을 필요로 한다. 남풍이 순하게 불었던 것은(행 27장), 바울이 잘 알듯이, 때 아닌 일이었고 신중히 생각할 때 지체하는 것이 옳은 것이었다. 좋은 듯 보이는 날씨의 유혹에 굴복하는 것은 배가 파선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우리는 단순히 환경이 좋게 보인다고 해서 상식과 경험의 경고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요나가 다시스로 도망했을 때, 하나님의 말씀과 환경 사이에는 불일치가 있었다. 기브온 사람들에게 속았던 경우에도(수 9:14), 여호수아는 성령의 증거하시는 음성을 기다리지 않고 환경적 증거에 따라 행동했다. 그의 어리석음은 그가 ”여호와의 입의 말씀을 묻지 아니하고” 자기 자신의 통찰력을 믿었던 데 있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말씀과 별도로 성령에 의해서만이 아니며, 성령과 별도로 말씀에 의해서만도 아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어떤 원리들을 위배하지 않는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양심, 상식 또는 생활의 예절에 위배되지 않는다. 또한 사람으로 하여금 삶의 명백한 의무를 무시하게끔 인도하지도 않는다. 앓고 있는 아이를 돌보고 있는 어머니는 당분간은 그녀의 봉사 분야에 관해서 인도를 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괴팍한 행동으로 이끄는 인도는 즉시 의심해 볼 만하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그리스도인이 온전한(Christian sanity) 가운데에 나타난다.


-자격있는 친구들의 충고를 구해야 한다.


객관적인 견해는 상황에 빛을 던져 주며, 우리가 쉽사리 간과할 수 있는 사실을 이끌어 내준다. 우리가 원하는 길로 동조해 주리라고 생각되는 사람과만 의논해서는 안된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의 의견이 가치있는 정확도 검토(cross-check)가 될 수도 있다.



당신 자신을 신뢰하지 말고

당신 자신의 결점을 알라

모든 친구뿐 아니라

원수도 이용하라


만일 우리 계획이 하나님의 것이라면, 반대 의견이 열심을 끄지 못하고 오히려 확신을 강화시켜줄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충고를 매우 존중해야 하지만, 남들로 하여금 우리를 대신해서 결정내리도록 해서는 안된다. 우리의 미래에 관련된 것이므로, 우리가 책임을 져야한다.


인도하심은 보호(safeguards)를 요구한다



우리는 과오없음을 당연히 주장하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불가피하게 영적 교만과 가르치기 어려운 마음(unteachableness)을 조장시키기 때문이다. ”주님께서 내게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말씀하셨다” 또는 ”주님께서 이것을 내게 나타내 주셨다”는 표현 등은 피해져야 한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 결과가 참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해 주셨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심지어 기도에 대한 직접적인 응답조차도, 만일 우리 뜻이 어떤 방향으로 잘못치우쳐 있다면, 그것이 하나님의 승인을 의미한다고 할 수 없다. ”여호와께서 저희의 요구한 것을 주셨을찌라도 그 영혼을 파리하게 하셨도다”(시 106:15)는 말씀은 이와 관련된 적절하고 엄숙한 경고이다. 이러한 인도는 테스트 되어야 한다.

만일 실망, 어려움, 좌절 또는 실패가 우리의 결정에 영향을 주었다면, 우리는 행동하기 전에 두배로 조심해야한다. 만일 바울과 실라가 빌립보에서의 환영이 그들의 진로를 좌우하도록 했더라면, 유럽은 아직도 복음을 듣지 못하게 됐을지도 모른다.

만일 결과가 잘못된 방향으로 갔다는 것이 드러난다면, 우리는 잘못했다는 것을 고백하기를 부끄러워 하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께서 인정치 아니하시는 어떤 행동을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고 주장하는 것은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것이 된다. 우리의 최선은 기껏해야 오류에 빠지기 쉽다. 인간이 성실하게 하나님의 뜻을 행하기를 구했을 때 한 실수에는 죄가 없다.

복 주머니(lucky dip) 방법을 씀으로써 성경을 마술책으로 취급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성경과 사람의 지성을 모두 욕되게 하는 것이다. 성경은 그 안에 들어있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기를 부지런히 구하는 사람에게 그 비밀을 보여주는 온당한(reasonable) 책이다.

편견의 음성과 하나님의 음성이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이것은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 빈번히 일어나는 일이다. 바울은 교회를 열심으로 핍박하면서 하나님의 음성에 순종하고 있다고 확신했다. 사실은, 자신의 편견에 눈이 멀었던 것이다. 하늘에서 내려오는 빛에 쓰러지기까지 그는 자신의 잘못을 발견하지 못했었다.

우리는 성급하거나 분별없는 행동으로 이끄는 인도를 경계해야 한다. 사울왕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희생을 드렸다. 그의 불순종은 그의 왕국을 댓가로 치루게 했다. 기다리면서 보낸 시간은 잃어지는 것이 아니다. 결정의 필요가 긴급하게 보일 때에도 우리는 인도하심을 완전히 확신할 때까지 서둘러서는 안된다. 불확실할 때에 유일한 안전한 길이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 마음의 평안의 비둘기가 날아가 버렸을 때 행동하는 것은 어리석다. 인도함을 받는 데 있어서, 대부분의 실수는 인내에서 실패할 때 생긴다.

결정의 시기가 왔을 때, 두려워하거나 염려할 필요가 없다. 오직 하나님의 뜻만을 열망하는 순종과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인도하실 것이라는 확신인 믿음이 있는 곳에는 마음에 비할 바없는 안식이 있을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찾고, 영적으로 현명한 친구를 만나고, 기도로 성령의 인도를 열심히 구한 후, 환경과 하나님의 내적인 평강이 이루어진 결정을 확증해 주고 있다면, 그 결정은 자신있게 하나님의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바울은 다음과 같이 충고한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골 3:15). 개인적인 기호(preference)와 편견을 버린 후 기도 가운데 이런 결정에 이르면 당신은 인도하심을 재점검 하거나 의문을 가질 이유가 없다. 믿음으로 심은 것을 불신앙으로 파헤치지 말라. 하나님께서 인도하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시작하고, 그가 인도하셨다는 화신을 가지고 끝마치라.



일들이 곤란해 보일 때에 용기를 잃지 말라. 하나님께서는 항상 폭풍우를 꾸짖으시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는 폭풍에 마음이 요동하는 신자를 언제나 안심시켜 주신다. 그는 항상 ”평안하고 고요하라”고 말씀하시지는 않으신다. 그러나 그는 항상 ”나를 의지하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우리로 길의 끝을 보게 하시지는 않으신다. 그러나 그는 믿음과 순종과 항복과 충성으로 다음 걸음을 내디디기에 충분한 빛을 우리에게 주신다. 그리고 안개가 걷히고 어두움이 사라지고 폭풍이 가라앉는 날에는, 우리는 임마누엘 땅의 햇빛 비치는 언덕에서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때 우리는 이것이 집으로 이끄는 올바른 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모든 구속받은 사람들과 함께 노래할 것이다. ”주께서 모든 것을 형통시키셨도다.”           J. Stuart Holden




2. 하나님의 주권에 관한 교훈



"영원 무궁히 하나님의 이름을 찬송할 것은 지혜와 권능이 그에게 있음이로다. 그는 때와 기한을 변하시며 왕들을 폐하시고 왕들을 세우시며 지혜자에게 지혜를 주시고 지식자에게 총명을 주시는도다”(다니엘 2장20, 21절).


모든 사람의 삶 가운데에는 신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심한 싸움이 생길 때가 있다. 심지어 우리가 하나님의 목적을 깨달았고 그것이 입증되었을 때에도, 그것을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방법이 때로 이해할 수 없게 보일 때가 있다. 그러나 성경은 어떤 곳에서도 하나님께서 그의 자녀를 다루시는 방법을 설명하거나 변명하고 있지 않다. 그는 언제나 믿음의 훈련(exercise)을 해 볼 여지를 남겨 두신다. 우리가 잘 깨닫지 못하는 무엇이 삶가운데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만일 해답을 얻지 못한다면 영구적으로 자녀의 삶을 그늘지게 할 문제들도 있다. 그의 긍휼하심과 사랑을 인하여, 우리가 질문을 던질 때 우리 아버지께서는 대답지 아니하시는 것들이 있다. ”웅변보다 더 가치있는 침묵이 있다”고 스튜어트 홀덴(Stuart Hell-den)박사는 말했다. ”빛보다 더 천국이 충만한 어두움이 있고, 고요보다 더 나은 폭풍이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의 삶으로부터 이기주의와 교만과 모든 가증스러운 것들을 불어 날리며 용기와 신앙을 떠받쳐 주기 때문이다.”

정치적, 사회적 혁명의 열기 속에서 평안과 평정을 유지하려면 하나님의 주권에 대해 깊이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하나님의 주권



하나님의 심판으로 느브갓네살 왕이 이성(理性)을 잃은 후 총명이 다시 그에게 돌아왔을 때, 그는 하나님의 주권의 본질과 그 깊이에 관해 놀라운 이야기를 했다. ”땅의 모든 거민을 없는 것 같이 여기시며 하늘의 군사에게든지 땅의 거민에게든지 그는 자기 뜻대로 행하시나니 누가 그의 손을 금하든지 혹시 이르기를 네가 무엇을 하느냐 할 자가 없도다”(단 4:35).

하나님은 도덕적이고 영적인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자녀들이 언제 무엇을 원하든지 주시며 멋대로 방치하는 아버지가 아니다. 하나님은 실로 하늘에 있는 우리 아버지시지만 또한 주권적인 왕이시며 도덕적인 우주의 통치자이시다. 그는 사람들을 책임성있는 도덕적 존재로 대우하시며 로보트로서가 아니라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로 대우하신다. 만일 그들이 죄를 선택한다면, 그는 그들의 자유 의지를 침해하지 않으시고 그들의 죄가 자연의 법칙대로 피할 수 없는 그 결실을 맺도록 그대로 허용하신다. 현 세계의 참으로 많은 곳에서 일어나는 비극은 오직 냉혹한 법칙의 작용이다. ”사람이 무엇으로 심든지 그대로 거두리라”(갈 6:7). 지상의 수많은 나라들은 바람을 심었으므로 회오리바람을 거두고 있으며 무죄한 사람들이 죄 지은 사람들과 함께 고통을 당하고 있다.

인간들은 하나님을 무시하고 모독하며, 하나님의 법을 업신여기며, 주일을 속되게 했으며, 그의 교회를 경멸하고 그의 아들을 거절했다. 그리고 뻔뻔스럽게도 그들의 죄에 대해 하나님을 비난했다. 갈보리에서 죄의 형벌을 받으신 분에게 고통과 피흘림을 가져온 것은 바로 죄악이었다. 공산주의의 생성과 성장에 있어서도 국가의 고통과 피흘림을 초래하는 교훈은 죄라는 것을 하나님께서는 불의 편지속에서 교훈하셨다.


-주권과 아버지 되심


토기장이의 비유는 하나님의 학교의 학생들에게 위안을 가져다 주기에 적합하다. ”이 토기장이의 하는 것같이 내가 능히 너희에게 행하지 못하겠느냐”(렘 18:6). 토기장이가 진흙을 다루는 것처럼 하나님은 국가들에 대해 절대적인 권세를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셨다. 다른 성경에 의해 해석되기 전에는 이 비유는 거칠고 잔인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여호와여 주는 우리 아버지시니이다. 우리는 진흙이요 주는 토기장이시니”(사 64:8). 토기장이는 또한 우리 아버지시다. 하나님의 주권은 절대적인 반면에, 그것은 하나님의 아버지되심과 결코 충돌하지 않는다. 진흙을 빚는 손은 못박힌 손이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의 주권가운데 행하시거나 허락하시는 모든 일이, 비록 우리는 알 수 없어도, 언제나 우리의 가장 큰유익을 위한 것이라는 무한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우리 주님을 인하여 우리는 우리 아버지의 뜻이 ”온전한 지혜에 나타난 온전한 사랑”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다. 우리의 믿음이 바로 여기에 있다.


-부여하심과 물러나 계심


믿는 사람들의 마음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무엇을 주실 때 뿐만 아니라 우리 삶으로부터 물러나 계신 것처럼 보일 때에도 하나님의 손을 확실하게 볼수있다. 그러나 후자보다도 전자에 있어서 훨씬 더 쉽게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알게 된다. 이런 우리의 자세는 욥의 것과는 전혀 다른 대조를 이룬다. 비록 그는 하나님의 계시의 여명기에 살았었고,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한 하나님의 계시를 누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거칠 것 없는 번영의 기간 뒤에, 욥은 갑자기 고통의 회오리바람에 휩싸이게 되었다. 비극에 비극이 잇달았다. 갑자기 그는 연이어 양떼와 소떼, 가정, 하인들, 아들과 딸들을 잃어버렸다. 그는 이 예기치 않은 일들에 의해 정신을 잃었지만, 그러나 사람의 믿음의 질이 드러나는 것은 이런 환경에서이다. 그는 어떻게 반응했는가? 그는 하나님을 비난하고, 그의 사랑을 의심하고, 하나님의 임재에서 뛰어나갔는가? 아니다. 결코 그렇지 않았다. 그는 그의 믿음에 대해 놀라운 표현을 했다.


"주신 자도 여호와시요 취하신 자도 여호와시오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찌니이다.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재앙도 받지 아니하겠느뇨? 그가 나를 죽이실찌라도 나는 그를 의뢰하리니”(욥 1:21/2:10/13:15).


이 말들은 무감각한 운명주의자의 말이 아니라 믿음의 승리이다. 욥은 그의 주권자이신 하나님을 알았다. 주셨던 하나님께서 또한 취하실 권리도 가지고 계시다는 것을 알았다. 비록 마음을 다 쏟아 찾았어도 그는 재앙의 이유를 알 수가 없었다(그는 자신의 순전함을 의식하지 않았던가?). 그는 결말을 미리 생각지 않고도 즉시 대답을 했고 주권적인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무릎을 꿇었다. 이것은 분명하고 확실한 복음의 빛가운데서 사는 우리도 역시 깨달아야 할 교훈이다.

나는 이전에 사랑하는 친구와 이별의 슬픔을 함께 나누었던 적이 있다. 그녀가, 그녀의 세 자녀의 아버지가 결코 집으로 돌아올 수 없다는 것을 알았을 때, 우리는 그녀를 병원에서 데리고 나왔다. 우리는 차 안에서 마음을 하나님께 쏟아 놓으면서 눈물을 흘렸다. 상처받은 마음에 갑자기 평안이 오며 눈물이 멎었다. 그리고는 결코 잊지 못할 기도가 뒤따랐다. ”오 주님. 나는 당신께서 나의 사랑하는 사람을 당신께로 데려가신 것을 압니다. 그러나 당신께서 그를 데려가시기 전에 나는 그를 내게 주신 당신께 그분을 돌려드렸습니다. 나는 당신이 우리가 함께 보낼 수있었던 행복한 시간들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어두운 날이 온다해도 나는 당신께 '왜?'라고 묻지 않겠습니다.” 향기로운 이 기도가 빈 말이 아니었음을 그 후에 향기로운 간증이 증명해 주었다.

하나님의 섭리에는 많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들이 있다. 하나님께서는 베드로에게는 3,000명의 영혼을 주신 반면에, 왜 신실한 스데반은 돌에 맞아 죽게 하셨을까? 왜 하나님께서는 베드로는 구출해 주셨는데 동일하게 헌신된 야고보는 목베임을 당하게 하셨을까? 그것은 이 사람이 저 사람보다 더 낫기 때문이 아니었다. 우리는 우리의 모든 질문에 대한 대답을 얻기 위해서는 온전한 날이 밝기를 기다려야만 한다. ”기껏해야 우리는 그의 길의 부분만을 볼 수 있을 뿐이고 그의 진리 중 일부만을 깨달을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믿음의 테스트가 있는 것이다. ”나의 하는 것을 네가 이제는 알지 못하나 이후에는 알리라”(요 13:7)라고 말씀하신 우리 주님의 순전하심과 인격에서 우리는 안전함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농아학교 방문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질문을 칠판에 적도록 요청받았다. 생각이 부족했거나 아니면 무정했던 한 사람이 물었다. ”왜 하나님께서는 다른 어린이들은 말하고 들을 수 있게 하신 반면에, 너희들은 귀머거리, 벙어리가 되게 하셨겠느냐?” 잠간동안 긴장된 침묵이 흘렀고, 몇몇 어린이들의 눈에는 눈물이 반짝였다. 그러나 한 소년이 분필을 쥐고 놀라운 대답을 썼다. ”그렇다할지라도, 아버지여, 그것이 당신의 보시기에 좋기 때문입니다.” 이 어린이는 많은 나이든 그리스도인들이 배우기에 실패하는 설명하기 어려운 주님의 다루심에 관한 깊은 교훈을 배웠던 것이다. ”누구든지 나를 인하여 실족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마11:6).

욥과 같이 우리가 머리를 숙이고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찌니이다”라고 말할 수 있을 때, 우리의 영적 성숙을 향한 믿음의 길에서 멀지 않은 것이다. 아직은 비록 그의 행하심이 신비하고 알 수 없어 보여도, 임마누엘의 땅에서 하나님의 길이 온전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서 우리를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또다른 요소는 하나님의 더디심(slowness)이다.


하나님의 더디심



우리는 언제나 우리의 욕망이 속히 허락되고 기도가 응답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미숙한 행동으로 대패주(大敗走)하는 것을 거부하신다. 우리의 성급함은 훈련되지 못한 영혼의 결과이거나, 모든 것에 대한 부족한 이해와 모든 사실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에서 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더디신 것처럼 보이는 것은 오직 온전한 지식과 일어날지도 모르는 모든 우발사건에 대한 온전한 통제를 위한 것이다.

전쟁시에, 피를 흘리면서 사람들은 외쳤다. ”하나님께서는 이 모든 살인과 피흘림을 한 순간에 종결시킬 수 있다. 왜 그는 기다리시는가? 왜 그는 중재하시지 않는가?”

그렇지 않다 ! -물론 그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시다거나 그렇게 하시고 싶지 않으시기 때문이 아니다. 유일한 대답은 도덕적으로 그렇게 하실 수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께는 도덕적으로 영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그는 거짓말 하실 수 없다. 자기 자신을 부인하실 수 없으시다. 하나님은 회개와 믿음이 없이는 죄인을 구원하실 수 없으시다. 그는 전쟁과 피흘림을 기뻐하지 않으시며, 도덕적으로 올바를 때에 중재하신다. 국가가 겸손가운데 국가의 죄에 대해 고백하며 고개숙이는 것을 보실 때에 비로소 중재하시는 것이 가능하고 정당해지는 것이다. 사악한 니느웨가 공적으로 회개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즉시 심판을 거두셨다. 하나님이 너무 느린 것이 아니라, 인간의 죄가 너무 많은 것이다. 때로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기도를 응답하시기에 너무 더디신 것으로 보이지 않는가! 달과 해가 지나가도 아직도 분명한 응답이 없다. 죠지 뮐러(George Muller)는 두 사람의 구원을 위해 60년 이상 기도했다. 한 사람은 뮐러(Muller)의 임종시에 구원받았고, 또 한 사람은 죽음 직후에 구원받음으로 응답되었다. 얼마나 길게 끄는 믿음의 시험이었는가, 그러나 그것은 기도하는 사람에게는 믿음의 기도에 관한 얼마나 놀라운 교훈이 되는가!

때로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다른 방법으로는 배울 수 없는 교훈을 배울 수 있도록 기도를 더디게 응답하신다. 우리는 자녀의 구원이나 성화(聖化)를 위해 기도하지만, 응답이 때로 이전 것보다 더 먼 것처럼 느껴진다. 성경에 기록된 아브라함을 통해 우리는 확신있는 믿음의 태도를 유지할 것을 배운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의지했고... 두려워하지 않는 믿음으로 사실을 바라보았고... 그는 하나님의 말씀에의 본신이 자기를 흔들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그는 믿음으로 힘을 얻고...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약속을 이행하실 수 있으시다는 것을 절대적으로 확신하는 가운데 있었다”(롬 4:19-21).


당신이 마음의 고뇌가운데 간구하는 기도가

여러 해동안 아직도 응답되지 못했는가?

믿음이 떨어지기 시작하는가?

소망이 사라지고 있는가?

흘리는 눈물가운데 모든 것이

헛되다고 생각하는가?

아버지께서 당신의 기도를

듣지 않으셨다고 말하지 말라.

당신의 소원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언젠가, 그리고 어디에선가.


우리가 긴급히 행동해야 할 것처럼 보이고,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을 다 잃어버리게 될 것처럼 보일 때 하나님의 더디심은 다시 한번 우리 믿음에 큰 도전이 된다. 그러나 역사와 경험은 하나님께서는 정확하게 알맞는 순간에 움직이신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그의 섭리에 의한 돌보심은 언제나 그의 자녀를 위해 활동하신다. 우리는 조용히 맡기고, 신뢰하고, 쉴 수 있다.

긴장과 슬픔의 시기에 가장 당황하게 하는 문제는 하나님의 침묵이다.



하나님의 침묵



깊은 고통의 시간 가운데 카알라일(Carlyle)은 불평하기를, 무엇보다도 가장 최악의 것은 하나님께서 아무 것도 하시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잘못되었다. 비록 하나님께서 어두움 가운데 서서 그의 임재와 관심을 나타내 보여 주시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의 실수하지 않는 손은 결코 고삐를 놓지 않으신다. 당황한 이사야는 애처롭게 부르짖었다. ”진실로 주는 스스로 숨어 계시는 하나님이시니이다”(사 45:15). 그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 속에서 하나님의 활동하시는 증거를 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고통의 부르짖음에 대해서 하늘로부터 어떤 대답도 오지 않았다.


하나님이 보이지 않을 때에,

그가 일하고 계신 것을 알 수 있는 사람은

진실로 복이 있도다.

-페이버(Faber)


이것은 놀라운 믿음의 활동의 하나이다. 그리스도께서 높이 들어올림을 받으셨을 때, 천사들은 그의 재림을 약속했고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그의 재림에 대한 소망을 품었었다. 길에서 나누었던 그들의 인사말은, ”마라나타(Maranatha), 주께서 오실 것입니다”였다. 그러나 나팔소리와 천사들의 음성은 아직도 잠잠하다. -2000년이 지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교회 안과 밖의 조롱하는 자들은 말한다. ”주의 강림하신다는 약속이 어디 있느냐?” 그러나 침묵은 깨어지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침묵에 대한 한가지 이유를 말했다. ”주의 약속은... 더딘 것이 아니라 오직...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치 않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벧후 3:9).

세(침)례 요한은 그리스도를 위하여 투옥되었었다. 광야의 넓은 지역이 질식할것 같은 동쪽으로 향한 토굴 감옥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리 멀리 떨어진 곳에 계시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방문하시지도 않으셨고 감사와 위로의 메시지도 보내지 않으셨다. 드디어 요한은 의문을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그는 제자들을 보내어 질문을 했다. ”오실 그이가 당신입니까, 아니면 다른 이를 기다려야 합니까?” 이 질문조차도 직접적인 대답을 끌어내지 못한다. 다만 예수께서는 그들을 돌려보내시면서 그들이 목격한 기적-예수께서 메시야이심을 증명해 주는 기적들-에 대해 보고하도록 하셨다. 그리고 다음의 말씀을 덧붙이셨다. ”누구든지 나를 인하여 실족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마 11:6). 요한이 예수의 침묵을 부당하고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참 복은 그가 어둠 가운데서 조차도 그의 주를 의지할 때 오는 것이었다.



베다니의 가정은 주님이 사랑하시고 편히 쉴 수 있는 장소였으며 주님께서 어떤 손님보다도 가장 환영을 받는 곳이었다. 마리아와 마르다와 나사로의 훈훈한 사랑이 주님을 영접하는 곳이었다. 이제 나사로가 심한 병에 걸렸다. 그의 누이들은 그들을 도와 고쳐주실 주님의 능력을 확신하며 즉시 예수께 전갈을 보냈다. 그는 서둘러서 필요한 때에 그들 곁으로 와 주실 것이다. 그런데 그는 오지 않으셨다. 그들의 고뇌에 찬 눈은 사랑하는 이의 얼굴에 덮힌 죽음의 창백함을 보았다. 다음의 기록은 이상하게 들린다. ”나사로가 병들었다함을 들으시고 그 계시던 곳에 이틀을 더 유하시고”(요 11:6). 그의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은 얼마나 기이한가! 심지어 제자들에게 ”내가 거기 있지 아니한 것을 너희를 위하여 기뻐하노라”고 말씀하셨다.

드디어 예수께서 오셨을 때에, 나사로는 죽은지 나흘이나 되었고 마르다와 마리아는 같은 말로 그를 원망했다. ”주여, 주께서 여기 계셨더라면 내 오라비가 죽지 아니하였겠나이다.” 그들은 그의 이상한 침묵과 냉담하심에 대한 만족할만한 대답을 찾지 못했다. 그의 순수한 동정에 관해서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왜냐하면 곧 우리는 ”예수께서 눈물을 흘리시더라”는 말씀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더 큰 목적을 가지고 계셨다. 그는 그들에게 현재의 슬픔을 허락하시는 것을 피하지 않으셨다. 왜냐하면 오직 이렇게 해서만이 그들이 하나님의 영광을 볼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는 그들이 불렀을 때 오시지 않은 것을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을 위해서 기뻐하셨다. 두 자매와 제자들은 나사로의 부활 후에 더 영광스럽고 새로운 주님을 보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그를 ”부활과 생명”으로 알게 되었다. ”그 후” 그들은 간구에 응답이 없을 때에도 사랑 안에서 기뻐할 수 있게 되는 유익을 얻었다.

”주님에 관한 놀라운 것은 그분은 그 기간 동안 자기 자녀들에게 오해받는 것을 만족하신다는 것이다”라고 J. 스튜어트 흘덴(J. Stuart Holden)박사는 기록하고 있다. ”때가 온전히 차기까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후에는 알게될 것이다. 우리가 현재에 해석하려고 애쓰는 많은 일들을 세월이 흐르면 알게 될것이다. 시간은 하나님의 협력자이며, 미래는 모두 하나님 편에 있다. 시간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해 준다.”

주권자이신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현재의 위안보다는 궁극적인 유익의 관점에서 다루신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의 침묵은 인간의 이성에는 이해할 수 없을지 모르나, ”그럴지라도, 아버지, 그것이 당신의 보시기에 좋기 때문입니다”(마 11:26)라고 말하는 겸손한 믿음을 가진 사람에게는 받아들여 질 수 있는 것이다.



중, 일(中日)전쟁때였다. 다리를 저는 중국인 여신도가 교회의 연중(年中)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13마일을 걸어왔다. 매 걸음마다 아픔을 느꼈고 먼지 긴 바람때문에 그녀의 슬픈 눈은 충혈되어 있었다. 숨을 늦추며 그녀는 말했다. ”지난 해동안 우리 집은 두번 불에 탔으며 아무것도 건지지 못했습니다. 6명의 친척 중에서 동생을 포함해서 4명이 죽었습니다. 며느리는 내가 보는 앞에서 총에 맞아 죽었고, 하나 뿐인 손자는 발각되어 죽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놓지 않겠습니다. 주님을 결코 비난하지 않겠어요.”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영원불변성에 관해 생각해 보기로 하자.


하나님의 영원 불변성



"우리가 믿는 것처럼 하나님은 선하시며 사랑이신지 궁금합니다.”

평생동안 교인이었던 사람의 입술에서 이런 말이 나오면서, 온통 당황하게 만들었던 이러한 신앙의 실패야말로 결코 한 개인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 주변의 일들은 유동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이 사실이다. 전세계는 전례없는 위기 가운데 있음을 감지하고 있다. 국제법은 더 이상 존중되지 않는다. 국경선은 밤사이에 변경된다. 소중히 여기던 공공시설(institutions)들이 산산조각이 난다. 높은 이상(理想)은 비양심적인 지도자에 의해 강탈당한다. 그러면 하나님은 어떠하신가? 그도 변화하셨는가? 신앙의 뿌리를 심을 수 있는 견고한 땅이 있다.


"나 여호와는 변역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야곱의 자손들아 너희가 소멸되지 아니하느니라”(말 3:6)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히 13:8).


나는 변하지만,

하나님은 변하지 않으시며,

나의 기쁨은 밀려왔다가 사라지곤 하지만

하나님의 평안은 그대로 남아 있으리.

여호와께서는 결코 변치 아니하시도다.


우주를 지배하시는 손은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서 못박히신 바로 그 손이다. 커다란 모욕을 당하신 분의 우리에 대한 태도는 결코 변치 않으신다. 그의 마음은 오늘날도 나사로의 무덤과 파멸될 예루살렘을 보시며 우시던 때와 같다. 그는 변하지 않으셨다. 그는 진리로서 그의 인격과 모순된 일을 하시지 않는다. 그가 그의 사람들 가운데 행하시는 것은 언제나 그의 변함없으신 성품과 조화를 이루며, 언제나 그의 사랑을 품고 계시는 가슴속의 고동에 맞추어 일하시는 것이다!

아주 가깝고 그 우정이 시험되고 증명되었기 때문에 무엇을 하든지 비록 외적으로는 우정 없는 행동처럼 보이는 것도 우리가 거리낌없이 믿을 수 있는 친구들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하나님께 대한 신뢰가 충분히 성장해서 우리가 하나님에 대해 ”나는 그분을 너무 잘 알기 때문에 그가 무엇을 하시든지, 그의 변함없는 사랑을 믿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기까지 우리는 영적으로 성숙해 가고 있는 중이다. 이것이 바로 마음에 안식을 가져오는 태도이며 우리 마음에 대답을 가져다 주는 태도이다. 왜냐하면 참 안전은 결국 하나님의 영구불변성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내가 천사의 말을 하며, 예언가의 말을 할지라도, 사랑이 부족하면, 내 말은 모두 공허하며 심벌즈의 덜걱거리는 소리와 놋쇠의 울리는 소리보다 낫지 못할 것이다. 만일 내가 선지자와 현인처럼 알며 신비한 것을 명백한 페이지처럼 읽고, 믿음이 산을 옮길 만 하더라도, 내게 만일 사랑이 없다면, 나는 아무 것도 아니다. 만일 내가 번 무든 부(富)를 가난한 자들에게 주고, 순교자처럼 내 몸을 불사르게 내어준다 해도 재능이나 고통에 사랑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나를 조금도 유익하게 못하며 내가 구제한 것은 헛된 것이 된다. 사랑은 오래 참고, 끝까지 친절하다. 사랑은 투기하지 않고 교만하지도 않는다. 사랑은 거칠지 않다. 사랑은 자신의 것을 구하지 않는다. 사랑은 원한과 복수를 알지 못한다. 사랑은 악한 것을 칭찬하지 아니하며 진실하다. 사랑은 듣고, 믿고, 소망한다. 지식도 그치고 예언도 폐하지만, 사랑은 결코, 결코, 결코 사라지지 아니한다. 믿음과 높은 소명과 사랑은 항상 있을 것이지만, 그러나 모든 영광, 기쁨, 권세 위에 가장 위대하고, 행복한 것은 사랑이다.

Amos  R, Wells




3. 사랑에 관한 교훈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사랑은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하나 예언도 폐하고 방언도 그치고 지식도 페하리라”(고린도전서 13장4-8절).


기독교 신앙의 구별되는 특성은 사랑이 뛰어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어떤 종교에서도 사랑을 첫째의 덕(德)으로 높이고 있지 않다. 사랑을 주된 동기로 소유하고 있지 않은 삶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이라고 말할 수 없다. 사랑의 주님이 말씀하셨다.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내 제자인줄 알리라”(요 13:35). 왜냐하면 사랑은 주님의 상징이 되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자들아, 사랑하자.

사랑하는 자

그들만이,

위로부터 난,

하나님의 자녀들이기 때문이다.


바울의 사랑에 대한 찬송은 성경 전체에서 가장 아름답고 겸허한 말씀이다. 생각이 깊은 독자라면 고린도전서 13장을 일고 나서 읽기 전과 같은 상태에 놓여 있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 눈부신 동기(動機)를 드러내고, 성격을 분석하고, 봉사를 테스트한다. 신자의 삶을 향한 하나님의 기준은 율법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사랑의 화신인 주님의 온전한 삶이 그 기준을 결정한다.

그의 흠없는 삶과 성품의 가장 아름다운 발췌(epitome)는 이 시(詩) 속에서 발견된다. 「사랑」 대신에 「그리스도」를 대치시켜 읽으면 모든 말씀이 그의 비할 데없는 성품에서 성취되며 어울리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사랑” 대신에 자신의 이름을 넣어 읽으면 우리를 겸손케 하는 대조를 이루게 된다.

”나는 오래 참고 나는 온유하며 투기하는 자가 되지 아니하며 나는 자랑하지 아니하며 교만하지 아니하며 무례히 행치 아니하며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하며 성내지 아니하며 악한 것을 생각지 아니하며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하고 모든 것을 참으며 모든 것을 믿으며 모든 것을 바라며 모든 것을 견디느니라 나는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한다.”

이 거룩한 이상(理想)의 광채 앞에 정직하게 자기를 비추어 평가할 때 영적으로 민감한 그리스도인의 마음 속에는 확신과 더불어 회개의 심령을 갖게 되며 강한 열망으로 기도하게끔 이끌어 줄 것이다.


은혜의 영, 성령이시여,

당신께 배우며 우리가 가장 탐내는 것은,

오순절의 당신의 은사중,

거룩한, 하늘의 사랑이옵니다.


사랑의 우월성(1-3절)



어느 작가는 이 장을 성경에서 아마도 가장 놀라운 부분이며, 미묘한 논쟁으로 야기되었던 긴장을 제거해 주는 감격스런 찬송이며, 감정이 점점 뜨거워지는 것같을 때 서늘하게 해 주는 영향력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장(章)에서는 본(本)장에 나타나고 있는 아름다움과 평안에 뚜렷이 대조되는 떠들썩한 논쟁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논쟁의 여지가 없고, 논의의 여지가 없다. 모든 말씀은 절대적이다. 사랑의 지고(至高)함은 그리스도인 생활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무릎을 꿇고 이 장을 읽는 것이 성 앤드류 머레이(Andrew Murray)의 날마다의 습관이었다. 그의 삶이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해 있어서 그의 향기로운 사역이 그가 죽은지 반세기 후까지도 전 세계에 영향력이 지속되었다는 것은 이상히 여길 것이 못된다.

이 예문을 살펴보면 사랑은 영적 은사가 풍성했던 고린도 교회의 몇몇 은사와 대조를 이룬다. 바울은 그들이 모든 은사에 부족함이 없다고 인정한다(고전1:17). 그러나 그는 어떤 은사도 사랑의 부재(不在)를 보상할 수 없다고 그들에게 경고한다.


-사랑은 방언의 은사보다 우월함을 이야기한다(1절).


황홀한 말아나 화려한 수사법이나 강력한 웅변의 은사를 소유한 것이 오순절 은사의 최상의 형태인데, 만일 사랑이 부족하다면, 소리나는 구리와 울리는 꽹과리보다 더 나을 것이 없다. 사람을 시험하는 방법은 입술로 말하는 사랑의 말이 아니라, 마음의 사랑을 나타내는 외적 증거이다. ”가장 좋은 은사를 사모하라”는 사도들의 명령에 우리는 순종해야만 한다. 그러나 우리는 동시에 은사들에 진정한 영적 가치를 주시는 성령의 은혜를 구하는 일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고린도교인들은 지혜로운 면에서는 부족함이 있었으나 바울은 사랑은 웅변보다 낫다고 주장한다.


-사랑은 예언의 은사보다 탁월하다(2절)


여기 말하는 예언이란 그것이 예언적인 것이든, 지적인 것이든지 간에 성령으로 감동된 설교를 말한다. 예언은 한결같이 은사의 목록 중 첫째가 된다. 교회를 교화시키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바울은 모두에게 그것을 사모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내가 더 나은 길을 보이리라.” 사랑의 길을 그는 쓰고 있다. 많은 열렬한 근본주의자들은 그들의 사랑없는 말과 비판에 의해 진리에 대한 그들의 간증을 무력하게 만들고 있다. 그들의 주님과는 다르게, 그들은 은혜와 진리사이의 온전한 조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꼭 진리를 말하도록 하자. 그러나 사랑가운데 하자.

”모든 신비”를 풀어내는 능력, 심오한 학식, 하나님의 깊은 것을 깊이 이해하는 능력-이 모든 것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것도 아닌 것이다. 매튜 헨리(Matthew Henry)가 말했듯이 ”명석하고 심원한 두뇌라 할지라도 자비심과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면 전혀 의미가 없다.” 사랑은 지식 이상의 것이다.


-사랑은 기적을 이루는 믿음보다 우월하다(2절).


크리스찬의 생활에 부딪쳐 오는 모든 국면이나, 적어도 바울이 제시한 모든 국면에서 믿음의 중요성과 가치를 과소평가할 신자는 없다. 믿음의 역할이야말로 아무리 높이 평가받아도 지나치지 않는 결정적인 것이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기”때문이다. 그러나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갈 5:6)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만일 믿음이 사랑과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면, 뛰어난 성공도 실패에 불과하다. 기도에 대한 놀라운 응답조차도 사랑이 충만한 삶의 대용물은 될 수 없다. 우리는 종종 기도해 왔다. ”주님, 우리의 믿음을 더하소서.” 그러나 다른 간구를 더 첨가할 것을 제안한 사람이 있다. ”주님, 우리 믿음이 헛 것이 되지 않도록 우리의 사랑을 더하소서.” 사랑은 믿음 이상의 것이다.


-사랑이 없는 구제보다 사랑이 뛰어남을 강조한다(3절).


당연한 일이지만 자선 행위는 다른 어떤 활동보다 사람들의 칭찬을 받는다. 그러나, 다이스만(Deissman)은 ”만일 내가 내 모든 물건을 다 나누어 주고도 사랑이 없다면 그것은 내게 전혀 유익이 없다”고 말한다. 동기의 순수성이 행동의 질을 결정한다. 아나니야는 아낌없이 바치려하는 바나바에게 지지 않으려 했으나, 그릇된 동기로 영적 가치를 잃고 말았으며 바친 것들은 하나님 앞에 열납되지 못하게 되었다. 혹 사랑 대신에 인정받기 원하는 열망이나 과시하기 위해서 구제하는 것은 아닌가 동기를 잘 살펴보아야만 한다. 사랑은 구제 이상의 것이다.


-사랑은 과시적인 순교를 능가한다(3절)


인간의 자기 희생의 최절정이 순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사람이 자기 생명 이상으로 무엇을 더 줄 수 있겠는가? 그러나 바울은 만일 사랑의 동기가 결여되어 있다면 자기 희생의 숭고한 행위도 순교자에게 아무 유익을 끼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대주교 H. C. 리즈(Lees)는 사도 바울이 ”알지 못하는 신(神)에게”라고 기록된 제단을 보았던 도시 아데네에서 그는 또한 인도의 수도승 자마노케가스(Zarmanochegas)의 무덤을 본 것 같다고 기록했다. 묘비명은 이렇게 쓰여 있다. ”인도인 자마노케가스, 바르코사출생, 인도의 고대 관습에 따라 불사신이 되어 여기 누워 있다.”

그는 어떻게 자기 자신을 불사신시켰는가? 자기 자신을 아덴의 거리에서 공개적으로 불사름으로써였다. 이 말들은 의심할 바 없이 이런 경우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저자는 하나님과 사람에 대한 사랑에서라기 보다는 개인적인 영광과 열망을 위하여 순교를 구하는 사람들을 알았다. 스데반(Stephen)은 얼마나 다른가, 그의 순교는 그의 주님께 대한 불타는 사랑의 동기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계집종이었던 블랜디나(Blandina)도 ”주님께 대한 사랑을 마음에 품고, 고통스런 죽음을 죽었다.” 사랑은 자기 희생 이상의 것이다.

여기 사랑의 탁월성이 있다. ”그것은 장엄한 웅변보다, 성경에 대한 지식보다. 최상의 희생도 능가한다.” 주님께서는 인간의 말과 천사의 말씀을 하셨다. 그는 예언의 은사를 발휘하셨고, 모든 신비와 모든 지식을 이해하셨고, 모든 믿음을 소유하셨었다. 모든 소유를 다른 사람들에게 주셨고, 그의 몸은 순교로 주셨다. 사랑이 그가 하신 모든 일의 동기와 원천이었기 때문에, 그의 말씀과 행하심은 사멸되지 않으며 그의 삶은 탁월하게 열매를 맺었다.


사랑의 속성들(4-7절)



인격과 사역 가운데 있음직한 결함을 이야기할 때에 바울은 1인칭을 사용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제 그는 사랑의 탁월성을 열거하면서, 제3인칭을 사용하고 있다. 설명된 사랑의 속성이 주로 부정적인 것이라는 점은 주목할만 하다. 사랑은 다양한 활동에서 보다는 무엇을 삼가하는가를 보고 더 잘 알 수 있다.



-사랑의 인내성


”사랑은 오래 참는다.” 사랑은 오래 참는다는 말이 처음에 나오는 것은 결코 무의미한 것이 아니다. 사랑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보다는 얼마나 오랫동안 참을수 있는가이다. 왜냐하면 여기서 살피고 있는 것은 사람들에 대해 오래 참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에 대해 가장 어렵게 찾아오는 테스트는 우리와 친구 사이에 관련되는 문제들이다.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번까지 하오리까?” 베드로는 의심할 바 없이 주님의 대답을 듣기 까지는 자신이 대단히 관대하다고 생각했을 것이 틀림없다. ”네게 이르노니 일곱번 뿐 아니라 일흔번씩 일곱번이라도 할찌니라”(마 18:21-22).

사랑은 첫번째 장애물에서 멈춰 서지 않는다. 사랑은 경주를 끝내고야 만다. 도전이 얼마나 강하든지 간에, 나중에 몹시 후회할 잘못된 말이나 경솔한 행동에 빠져들지 않는다. 사랑은 심한 불공평 가운데서도 평안을 유지하는 법을 안다. 갈보리산 언덕에서 고난 당하시던 주님께서 괴롭히는 사람들을 향해 저주를 비는 대신 그들을 위해서 기도해 주시던 그곳에서 사랑의 인내에 대한 더 할 나위 없는 실증을 찾아 볼 수 있다.


-사랑의 자비함


”사랑은 친절하다.” 친절은 다른 사람들의 지위나 기질에 구애받지 않고 다만 그들의 원하는 바에 자신을 맞춰주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차갑고 매정한 세상에서 친절한 사람들은 얼마나 큰 축복이 되는가! 그들은 언제나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일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바틀 프리어(Bartle Frere)부인은 한 젊은 손님에게 철도역에서 그녀의 남편을 만나줄 것을 요청했었다. ”그렇지만 내가 어떻게 그를 알아 볼까요? 나는 그를 만난 적이 없습니다.” 청년이 물었다. ”다른 사람을 돕고 있는 키가 큰 신사를 찾으시면 돼요 그 사람이 내 남편일테니까요.”


-사랑의 관대함


”사랑은 시기하지 않는다.” 시기는 부끄러운 기록을 가지고 있다. 최초의 살인을 각색했던 것이 시기가 아니었던가? 영광의 주님을 십자가의 길로 이끌도록 재촉했던 것이 시기가 아니었던가? 빌라도는 ”그들이 시기로 예수를 넘겨준 줄을 알았다.”

사랑은 더 많은 은사를 받은 자매를 시기할 줄 모르며, 더 존경받는 형제를 질투할 줄도 모른다. 사랑은 경쟁자에 대해 관대하며 넓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 다른 사람의 승진이나 업적을 유감스럽게 생각하지도 아니하며 순수한 기쁨을 느끼게 해 준다. 자기를 따르는 무리를 자기 경쟁자(예수)에게로 돌렸던 세(침)례 요한처럼 시기심이 없는 성자가 있었는가? 모든 설교자들이 자기 회중을 주변의 다른 교회에 참석하도록 권고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질문을 해봄으로써 우리 자신을 시험해 볼 수 있다. 다른 사람, 특히 나와 같은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의 성공이나 우월성이 나의 시기심을 자극하는가, 아니면 기쁨을 주는가?


이러한 죄들이

내가 당신에게서 제하기를 간절히 바라는 것들이다.

악의와 차가운 경멸,

격렬한 분노, 무뚝뚝한 증오,

비천한 자에 대한 냉소,

위대한 사람에 대한 시기,

그리고 일상 생활 가운데서

모든 빛나는 것들 위에

회색 그늘을 던져주는 불만족이다.

-헨리 반 다이크(Henry van Dyke)


-사랑의 온유함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한다.” 떠벌리지 않으며 과시하지 않으며, 허풍을 떨거나 주제넘지 않은 것이다. 여기 있는 말은 키케로(Cicero)가 폼페이(Pompey) 앞에서 한 위대한 연설에서 사용한 것이다. ”저런, 어떻게 내가 나의 새로운 청중인 폼페이 앞에서 나를 과시했을까?”

그러나 진정한 사랑은 허세를 부리지 않고, 주목받거나 갈채받는 것을 지나치게 원하지 않는다. 사랑은 다른 사람들이 말할 때 그들을 무안하게 만들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학식이나 고민에 대해 귀를 기울여 준다. 자기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을 얕잡아 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공작의 시끄러운 목소리를 듣기까지는, 그 깃털의 아름다움에 대해 감탄한다.” 공작은 자랑하는 자의 상징이다.


-사랑의 겸손함


”사랑은 교만하지 아니한다.” 자신이 중요하다는 의식에 사로잡혀 있지 않은 것이다. 아첨이나 선전을 구하는 대신에, 눈에 띄지 않는 것을 기뻐하고 주님의 모습이 더 드러나고, 주님께 유익이 되면 만족해 한다. 자신이 받지 않은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 마음에는 교만이 머무를 자리가 없다. 교만은사실상 본질적으로 경쟁이다. C. S. 루이스(Lewis)는 부유하거나 영리하거나 잘생겼기 때문에 교만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다른 사람보다 더 부유하거나 더 영리하거나 더 잘생겼기 때문에 교만한 것이다. 자랑을 좋아하는 경향에는 비교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비교 의식은 사랑과는 정반대의 대조를 이룬다.


-사랑의 정중함


”사랑은 무례히 행치 아니한다.” 언제나 예의 바르며 품행이 올바르다. 사랑은 무례할 수 없다. 그것은 사랑의 본질에 모순이 된다. 다른 사람을 편하게 해 주기에 열심이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예민한 사람은 결코 예절을 잊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무시하거나, 말로 의기소침하게 하거나, 차가운 시선을 던지는 것은 전혀 걸맞지 않는다. 사랑은 생활의 예절을 어기거나, 말의 예절을 잃지 않는다. 사랑은 빈정거릴 줄 모른다. 왜냐하면 그것은 언제나 상처를 주기 때문에 사랑이 될수가 없다. 정중함은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영혼의 문제이며 사랑하는 사람 안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예의범절은 훈련에 의해 이루어지고, 사랑은 본능으로 이루어진다.”

한번은 프랑스 루이 14세가 베르사이유에서 그의 궁정 신하들 앞에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었는데 그는 그 이야기를 갑자기 우물쭈물 끝내 버렸다. 몇분 후에 한 왕자가 방을 나갔다. 그러자 왕이 말했다. ”당신들은 내 이야기가 얼마나 불완전하게 끝이 났는가를 보았소. 나는 그것이 지금 막 방을 나간 왕자의 조상에 관한 이야기인 것을 잊고 있었소. 그래서 나는 좋은 이야기를 망치는 것이 좋은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한 것이오.”


-사랑의 비이기성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치 아니한다.” 호흡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우리는 우리 자신의 것을 추구한다.

이 장을 복사하면서, 바티칸 사본을 연구하던 율법학자가 이 놀라운 말씀에 놀라서 멈췄다. 그는 어딘가 실수가 있을 것을 확신했고 이 구문이 실제로 의미하는 것에도 실수가 있으리라고 확신했다. ”사랑은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구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는 ”아닌(not)”을 첨부시켰다. 그는 사랑의 비이기성을 이해할수 없었다. 그것은 그가 접촉했었던 사람들의 삶 가운데서 꽃피는 것을 볼 수 없었던 특성이었다. 진정한 사랑의 특성은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다.

”저희가 다 자기 일을 구하고 그리스도 예수의 일을 구하지 아니하되”(빌 2:21). 바울이 한탄했다.

”나는 나의 것을 구하지 아니하노라”(요 5:20)고 하나님의 아들이 증언하셨다.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 권리에 집요하게 매달려 있지는 않은가,아니면 우리 사랑의 대상의 유익을 위해 그것들을 포기했는가? 사도는 비이기성에 대해 말할 권리를 얻었을 때 다음과 같이 간증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이 권을 쓰지 아니하고 범사에 참는 것은 그리스도의 복음에 아무 장애가 없게 하려 함이로다.” ”아무도 자기의 유익을 구치 말고, 다른 사람의 유익을 구하게 하라.”


-사랑의 자기 절제


”사랑은 성내지 아니한다.” 몇가지 설명할 수 없는 이유에서 -아마도 인간 본성의 약점으로 인해 -공인된 번역 성서에서는 이 구절을 ”사랑은 쉽사리 성내지 않는다”로 번역하고 있다. 그러나 ”쉽사리”라는 말은 거기 있지 아니하다. 사랑은 결코 성을 내거나, 격노하거나, 화를 내지 않는다는 것이 진리인 것이다. 또한 성미가 까다롭거나 경멸하지도 않는다.

W. Y. 플러톤(Fullerton)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우리 주님의 더 없는 영광은 그가 결코 조급하시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믿듯이 죄가 없으셨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일과 피로와 끊임없이 몰려드는 군중 속에서도 결코 조급해 하시지 않으셨다.”

성을 내고 노를 발하는 것은 사랑의 내적 붕괴를 드러내는 외적 증거이다. 우리 집을 방문한 사람들이 아침 식사를 하러 내려 오면서 우리로부터 받을 대접에 대해 두려워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사랑의 너그러움


”사랑은 악한 것을 생각지 아니한다.” 자기가 당한 부당한 대우를 기억지 않는다. 사랑은 형편없는 수학자(數學者) 이다. 언제나 좋은 동기였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의심이 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항상 더 고귀한 동기를 부여한다.

순교자 크랜머(Cranmer)대주교는 사랑의 이 특성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모범을 보여 준 사람이다. ”주교에게 불쾌한 일을 하고도, 당신은 여전히 그를 친구로 사귈 수 있다”라는 말을 들었던 것이다. 그의 마지막 설교에서 그는 말하기를 ”내게 해를 끼치려 하는 사람에게 친절을 보이고 해 받은 것을 잊고 용서하는 것보다 더 큰 기쁨을 내 생애 가운데 맛본 적이 없다”고 했다. 아브라함 링컨(Abra-ham Lincolon)도 비슷한 기질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는 해 받은 것은 곧 잊어 버렸고, 친절은 결코 잊지 않았다.


-사랑의 성실성


”사랑은 불의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진리와 함께 기뻐한다.” 모패트(Moffatt)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사랑은 결코 다른 사람이 잘못되는 것을 기뻐하지 않으며 언제나 선한 것만을 기뻐한다.”

원수가 실패할 때에도 기뻐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이 더 나쁜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자신이 더 낫다고 느끼지도 않는다. 대신에, 불법을 슬퍼한다. 나쁜 이야기를 전하는 것도 기뻐하지 않는다.


-사랑의 침묵성


”사랑은 모든 것을 참는다(덮어준다).” 어떤 번역은 ”사랑은 침묵하는 방법을 안다”로, 또 다른 번역에는, ”사랑은 언제나 비밀을 폭로하는데 느리다”라고 되어 있다. 이 번역은 둘다 ”참는다”라는 말 뒤에 숨겨진 개념을 나타내 준다. 주님처럼 사랑이 모욕당했을 때, 대신 욕하지 아니하고, 다른 사람의 과실을 덮어 주기를 기뻐한다.

어느 미술가가 알렉산더 대제의 초상화를 그리기 위해 고용되었을 때, 그는 대제의 이마 위에 있는 흉터를 가리기 위해 그의 손그늘이 이마를 덮도록 했다. 사랑은 다른 사람의 잘못에 침묵의 덮개를 덮는 방법을 고안하기에 영리하다.


-사랑의 신뢰성


”사랑은 모든 것을 믿는다.” 사랑은 쉽게 속지는 않으나, 정직하며 의심하지 않는다. 사랑은 모든 애매한 행동 위에 최선의 건축을 한다. 사랑은 애정의 대상이 관련된 부분은 쉽게 믿으나, 악한 것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와 분명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는한 결코 신용하지 않는다.

A. B. 심슨(A. B. Simpson)박사는 여기 우리가 좋아 할 수 없는 사람을 사랑하는 비결을 말해 준다. 사랑은 보이지 않는 것을 믿는 것이다. 그들이 소유하고 있지 않은 특성을 그들에게 옷입혀 주는 것이다. 그리고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진실하게 만들어 줄 것을 믿으며, 그들이 진실한 것처럼 그들을 대한다. 하나님처럼 ”야곱 안에 있는 부정을 보지 않으시고, 이스라엘 안에 있는 비꼬인 성격을 보시지 않는다.” 사랑은 다른 사람의 악한 것을 믿기를 거부하고 선한 것을 믿기를 고집한다.


-사랑의 낙천성


”사랑이 모든 것을 바란다.” 사랑은 결코 낙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소망의 근거가 없는 것처럼 보일 때 조차도, 탁월한 낙천성으로 사랑은 소망을 가진다. 사랑은 아무에 대해서도 단념하지 않는다. 자신이 돕고자 하는 사랑의 계속적인 타락과 확신에 대한 배신만큼 그리스도인 사역자의 사랑을 청구하는 것이 없다. 사랑은 낙천성을 통하여 들어온다. 왜냐하면 사랑은 낙관하기 때문이다.



-사랑의 인내성


”사랑은 모든 것을 견딘다.” 팔머스톤(Palmerston)경이 프랑스의 귀족과 함께 유럽 여러나라 군인들의 장점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 일화가 있다.

”팔머스톤 경께서도 아시다시피, 나는 프랑스군이야말로 세계에서 가장 용감한 군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영국군에 대해 같은 주장을 할 수가 없군요.”

팔머스톤은 대답했다.

”나는 영국인들처럼 용감한 다른 군인들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러나 영국군인들은 다른 군인들보다 15분은 더 인내했습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환하게 빛난 것은 이런 특성에 있다. 그는 ”죄인들의 이같이 자기에게 거역한 일을 참으셨고”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않으셨다”(히 12:2, 3).

요약한다면,

사랑은

상처받을 때 견디며,

경멸당했을 때 믿으며,

낙담됐을 때 소망하며,

핍박당했을 때 참는다.


사랑의 영구성(8-13절)



"사랑은 언제까지든지 떨어지지 아니한다.” 우리는 결론에 도달했다. 사랑은 주님처럼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되, 끝까지 사랑하는 것이다.” 본문이 말하듯이, 사랑의 꽃잎은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영원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모든 것은 일시적이나 사랑은 줄어들 줄도, 쇠할 줄도 모른다.

3가지 은사-예언, 방언, 지식-는 사라질 것이다. 3가지 은혜는 남아있을 것이다. ”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이 세가지 은혜 중에서, 사랑은 그 우월한 자리를 즐긴다. 그것은 모든 것 가운데 왕관이며, 모방할 수 없는 불멸의 것이다.


사랑의 추구



"사랑을 따라 구하라.” 이 사랑은 자연적으로 우리 것이 되지는 않는다. 우리는 사냥군이 사냥물을, 운동가가 스포츠를 추구하듯이 열심히 추구해야 한다. 우리 추구는 열심히, 끈기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만일 사랑이 없는 은사가 무가치 하다면, 사랑이 영혼의 뜰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면, 사랑이 모든 은혜가운데 영원한 것이라면, 이것들은 우리가 사랑을 추구하는데 박차를 가해야 할 적절한 이유들이 된다.

한 설교자가 캠브리지 대학가를 거닐면서 꽃가게들을 지나가게 되었다. 한 진열장은 피지 않은 꽃송이와 씨앗들만 가득 있었다. 그것은 아름답지도 매력적이지도 않았으므로 한번 시선을 던지고는 지나갔다. 다른 진열장에는 대단히 아름다운 크로커스, 히야신스, 튜립꽃이 만발해 있었다. 그는 매혹되어 꽃에 감탄하며 이러한 아름다움과 향기를 간직한 아름답지 못했던 꽃송이와 씨를 사고자 하는 열망을 느끼게 되었다.

사랑의 왕으로부터 퍼져 나오는 향기를 맡으며 아름다움에 감탄하면서, 우리 마음의 주권을 주님께 드림으로써 그가 우리 삶 가운데 그의 향기와 매력을 재현하시게 하지 않겠는가.



어디서나 그리스도인들은 능력의 필요성을 정감하고 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기도를 위해 함께 모일 때마다, 이것이 그들의 부르짖음의 부담이 되고 있다. 이 필요는 명백하고 보편적인 것이므로 어떤 주장이나 강조를 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열매 없는 섦과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사역을 비추어 볼 때 모든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입증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하나님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백성중 대부분이 하나님의 말씀의 권고와 이상(ideal)에 모순되게도 힘없고 효과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사역을 위해 주시는 가장 충만한 능력 그 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능력을 주시는 하나님의 뜻에 맞는 온전한 분리가 있어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왕국을 위한 사역 외에 다른 것을 위해서 능력을 주시지 않는다. 영적인 것이 아닌 다른 모양의 지도력은 모조리 포기하는 사람만이 개인적인 오순절의 체험을 할 수 있다. 정치, 문학, 미술, 지적(知的)추구는 각기 그들의 정당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성령의 능력은 이러한 일들의 일꾼이나 지도자가 되도록 우리에게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 영혼들을 구원하는데 있어서 오직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해서면 거룩한 (능력의) 부여를 구할 수 있는 것이며 여기에 많은 열망과 기도들이 실패하는데 대한 설명이 있다.                 J. Stuart Holden




4. 능력에 관한 교훈



"나는 여호와의 신으로 말미암아 권능을 채움을 얻고”(미가 3장 8절).


오순절 신앙의 두드러진 특색은 효과적인 증거와 큰 권능이다. 반면에 20세기에 들어선 기독교 신앙의 두드러진 특색은 무기력과 증거에 있어서의 무능함이다. 이 모순의 이유는 추적하기가 어렵지 않다. 강단과 교회석에서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능력을 증거하시는 분이 성령을 실제적으로 무시하고 있다. 초대교회의 교육을 받지 못하고 무지한 사람들이 어떻게 세상을 뒤집어 놓을 수 있었을까? 그들은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 성령의 능력의 비밀을 발견하고 두드렸기 때문이다.


능력을 갈망함



우리는 능력에 굶주리고 능력을 의식하는 세대에 살고 있다. 모든 사람의 마음은, 중생했든 안했든 간에, 이 모양 저 모양으로 능력을 갈망하고 있다. 진실한 그리스도인들에게도 말은 하지 않지만 거룩한 생활과 성공적인 사역의 능력에 대한 열렬한 갈망이 있다. 이 갈망 뒤에 있는 동기는 부분적으로는 이기적일 수 있으나, 순수한 열망이 거기 있다. 능력은 신적인 것일 수도 있고 악마적인 것일 수도 있다. 히틀러나 스탈린에 의해 휘둘러졌을 때, 그것은 잔인하고 포악했다. 그 이유는 도덕성과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이며, 이런 종류의 능력보다 더 위험한 것은 없다. 헌신적인 사랑이 동기가 되어 낳은 능력보다 더 덕스러운 것도 없다.

죠나단 고포드(Jonathan Goforth)는 이 세기의 가장 영예로운 부흥사 중의 하나였다. 영적 능력에 대한 그의 갈망과 열정은 그의 말을 통해 가히 짐작할 수 있다.

”끊임없이, 불만스러워하며 나는 더 집중적인 성경공부로 이끌려 들어갔다. 능력을 얻는 댓가와 얻는 방법으로 이끄는 길에 관한 구절은 나의 생명과 호흡이 되었다... 그것이 나를 너무도 사로잡았기 때문에 내 아내는 내 마음이 그것을 견디지 못할까 염려하기 시작했다.”

하나님께서는 이 정열적이고 사모하는 사람을 실망시킬 수 없으셨고, 실망시키지 않으셨다. 고포드(Goforth)는 수천의 사람들이 마치 바람 앞에 옥수수처럼 하나님의 신에 의해 감동되는 것을 보았다. 만일 우리가 영적 능력을 열망한다면 우리는 그 댓가를 기꺼이 치루어야만 한다.


능력의 부족



소크라테스는 그의 가장 위대한 과업은 ”사람들을 무의식적인 무지로부터 의식적인 무지로 이끄는데 있다”고 했다. 그러므로 우리를 무의식적인 무능으로부터 의식적인 무능으로 이끄는 것이 하나님의 일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때에만 비로소 그는 우리 안에 영적 효율을 향한 갈망을 일으키실 수 있다. 우리의 무능은 우리 주변 사람들에게 아주 명백하다. 우리는 교회의 힘이 미치지 않는 젊은 남녀의 무리에 둘러싸여 있다. 접촉점이 없다. 해변과 거리에는 영적인 것과 상관이 없고 그리스도와 관련이 없는 많은 무리들이 있으며, 우리는 하나님을 향해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기에는 무력해 보인다. 우리는 설교하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진정한 회개와 믿음으로 그리스도께 돌아오고 있는가? 사실 교회는 인류의 곤두박질하여 내려가는 표류를 막기에 무기력하다. 그 음성은 타협과 불신감(infi-delity)으로 싸여 둔하게 된다. 무능한 교회는 그리스도께 불명예가 되며, 그 조직은 전혀 무익한 것이 된다. 반면에, 성령이 존중되는 교회는 안디옥 교회처럼 그 세대에 무한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그 교회의 증거가 대단히 강력했기 때문에 안디옥 시의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그리스도인으로 평판이 나게 되었다.

제자들이 변화산상에서 내려 왔을 때, 그들은 귀신들린 아들로 인해 괴로워하는 아버지와 마주치게 되었다. 일어났던 일을 자세히 이야기하면서 그 아버지는 고통과 놀람 가운데 말했다. ”내가 선생의 제자들에게 내어 쫓아 달라 하였으나 저희가 능히 하지 못하더이다”(막 9:18). 나중에, 그들이 주님과 함께 있게 되었을때, 제자들이 물었다. ”우리는 어찌하여 능히 그 귀신을 쫓아내지 못하였나이까?” 그들은 철저히 무력했고 그것은 비극이었다. 그러나 이것을 구해줄 수 있는 것은 그것을 의식했다는 점이다. 그들은 무력한 가운데 남아있는 것을 만족해 하지 않았다. 그들의 무력함은 의식되었고 고백되었다. 그러자 주님께서는 그들의 필요를 만나주실 수 있었다. 그의 대답은 원인을 밝혀냈다. 물이 수평선 위로 올라올 수없는 것처럼 인간 스스로 만으로는 인간의 수준이상으로 올라갈 수 없다. 초인적인 직무를 위해서는 초인적인 능력이 요구되었고, 그들은 그것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하나님의 자녀가 도끼머리가 떨어진 자루를 가지고 나무를 찍는 것을 보는 것처럼 애처로운 일이 없다.


능력에 대한 약속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 그리스도인들의 무력함은 결코 변명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부활의 주님께서 그의 제자들에게 능력을 약속하셨기 때문이다. 그가 승천하시기 전에 하신 말씀이 여기에 대한 확신을 준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

그리스도께서는 아버지께서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그에게 주셨다고 주장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내게 주셨다.”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의 선물인데, 그는 이 능력을 그리스도의 주권을 인정하고 그와 함께 동행하기 원하는 신자에게 개인적으로 나누어 주신다. 구약의 모형을 사용한다면 지도자(Head)에게 기름붓는 것은 모든 회중에게 유용한 것이 되었다. ”머리에 있는 보배로운 기름이 수염 곧 아론의 수염에 흘러서 그 옷깃까지 내림 같고”(시 133:2). 대제사장을 임명할 때 부어졌던 거룩한 기름은 대제사장의 관을 쓴 머리 위에 아낌없이 부어져서 그것은 그의 몸으로 흘러내려, 대제사장 의복의 술장식에까지 흘러내렸다. 오순절은 이 아름다운 상징적 행동의 해석을 제공해 주었다. 우리의 머리되시며 위대한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 위에, 성령께서는 측량할 수 없는 충만으로 부어 주셨다. ”하나님이 성령을 그에게 한량없이 주심이니라”(요 3:34). 성령께서 풍부하게 부어져서, 그 기름부음은 그의 신비로운 몸에까지 이르고, 심지어 가장 작은 지체에까지 -그의 옷자락에 까지-이르렀다.

약속된 능력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의해서만 신자의 것이 된다. 그것은 노력으로 얻거나 자생(自生)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공장의 기계류는 스스로의 힘으로 작동할 수 없다. 그것은 발전기와의 끊임없는 연결을 통해 동력을 얻는 것이다. 연합이 깨지면 능력도 사라진다. 이와 같이 그리스도 안에 거하면서 우리는 순간순간 성령을 통한 그의 능력을 받을 수 있다. ”나는 여호와의 신으로 말미암아 권능을 채움을 받았다”라고 미가는 말했다(3:8).

농과 대학생들의 한 그룹은 호박의 들어올리는 힘을 테스트하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그것을 위해 쇠로 만든 예민하게 조정된 장치를 해놓고 조그만 호박이 커가면서 발휘하는 힘을 저울에 정밀하게 기록하도록 했다. 날이 갈수록 놀라움도 커갔다. 처음에는 20파운드를 들어올렸고, 그 다음에는 50파운드, 그 다음에는 100파운드를 들어 올렸다. 그 식물이 계속 자라가면서, 저울은 500파운드를 기록했고, 그 다음에는 1,000파운드를 기록했다. 들어올리는 힘은 5천파운드가 될 때까지 증가되었다. 물론 이것이 한계점일 것이라고 그들은 말했지만 그것은 계속되었다. 그들이 그것을 줄기에서 잘라내자 그 즉시 힘은 없어져 버렸다. 저울은 0으로 떨어졌다. 덩굴에서 떨어져 나와서는 그것은 아무 힘도 없었다.

만일 우리가 진정한 그리스도인이라면 우리는 그리스도께 연합되어 있다. 그러면 왜 그렇게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영적으로 힘이 없는가? 팔이 쇠약한 사람을 생각해 보라. 팔은 몸에 연결되어 있으나, 전혀 힘이 없다. 연결하는 신경에 이상이있기 때문에 생명력이 팔에 흐르는 것을 막는다. 이것이 바로 우리 삶가운데 능력이 없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지 않겠는가? 능력을 공급받는 것을 방해하는 방해물이 우리 삶가운데 있기 때문이다. 능력을 받기 전에, 방해물이 제거되어야만 한다.


능력의 본질



능력은 여러 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참 본질을 알아야만 한다.


-단순한 지적 능력이 아니다

이 영적인 능력이 지성(知性)을 크게 자극시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지적능력이 모자란 사람들도 놀라울 정도로 그것을 누리고 있다. A. J. 고든(Gordon)박사는 종교 서적 행상을 하던 죤 바사 아저씨(Uncle John Vassar)라는 인물에 관해 다음과 같은 기록을 하고 있다.

”그 사람과 접촉하는 순간 문자 그대로 강력한 전기 쇼크와 같은 충격을 받았다. 매력적인 태도와 더불어 그토록 강렬한 열성은 즉각적이고 완전히 압도하는 인상을 주었다. 경건의 번개같은 침투가 언제나 최고 정점에까지 이르렀다... 졸고 있던 그리스도인들은 그가 오면 깨어 났는데, 마치 잠자던 군인들이 나팔소리에 깨어나는 것과 같았다.”

지성은 지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예수께서 말씀하신 능력은 그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단순한 인격의 힘이 아니다.

인격의 인사는 능력을 받음으로 고양되지만, 그러나 많은 비그리스도인들도 아주 고매한 인격을 소유하고 있다. 이런 자질만으로 성령의 영역을 한정지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단순한 웅변적인 힘이 아니다.

영적 능력에 관해서는 알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이 웅변으로 그들의 청중을 동요시킨다. 공적인 일에 있어서의 웅변이라면, 이 능력은 말의 효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여기서 이야기하는 능력은 아니다.


-우리의 지배하에 있는 능력은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무엇, 능력을 주시지 않는다. 시몬은 베드로의 능력을 탐을 내서 요청했었다. ”이 권능을 내게도 주어...그러나 베드로는 말하기를 네가 하나님의 선물을 돈주고 살 줄로 생각하였으니 네 은과 네가 함께 망할찌어다”(행 8:19, 20).


-능력은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부어 주신다.

이것은 우리 안에 잠재해 있던 어떤 것을 새롭게 발휘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시는 능력이란 ”성령께서 너희에게 오시리”라는 것이었다. 우리에게 임재하심으로써 능력을 주시는 분은 인격이시다-능력은 우리 자신의 인격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성령의 인격에서 나오는 것이다. 알기 쉬운 모습으로 설명하면 그리스도는 능력의 근거지(station)가 되시며, 성령은 그물 모양으로 펼쳐진 조직이다. 그는 우리 안에 내주하시며, 우리가 그 안에 거하는 한 그리스도의 능력을 우리에게 전달해 주신다. 여기에 능력 충만한 사역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F. B. 마이어(Meyer)박사는 ”나는 단지 평범한 사람입니다. 특별한 은사도 없습니다. 나는 웅변가도, 학자도, 심오한 사색가도 아닙니다. 내가 그리스도와 우리 세대를 위해 무엇인가 했다면, 그것은 내가 나 자신을 전적으로 그리스도께 드렸고, 그가 원하시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오랜 기간 동안 풍성한 열매를 맺는 사역을 해왔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성령의 역사하심에 있어서는 아무런 장애물도 두지 않을 때 영적 능력을 끊임없이 체험할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능력의 나타남



위로부터 능력을 입히운다는 개념은, 예수께서 그렇게 부르셨듯이, 종종 황홀한 경험과 연결되어 있다. 비록 그것 자체가 목적이 아닐찌라도. 그러나 이 경험의 감정적인 국면이 신약 성경 어디에서도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 이것이 심령의 고양과 동반되어 체험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어떤 지성적인 그리스도인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나, 그런 것은 부수적인 것이지 주요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주로 기질의 문제인 것이다.

이 능력이 반드시 의식되어 지는 것도 아니다. 복음 전도자이며 그의 사역에 있어서 비범하게 성령의 능력을 체험했던 W. P. 니콜슨(Nicholson)목사는 한번은 에딘버러에서 전기치료를 받았었다. 의사는 그를 의자에 앉혀 놓고 신문을 읽고 있었다. 얼마동안 기다린 후에, 그는 언제 치료가 시작될 것인가 물었다.

”당신은 지금 치료받고 있는 중입니다.”

의사가 대답했다.

”그러나 나는 지금 아무 것도 느낄 수 없군요.”



환자가 대답했다.

그러자 의사는 몇개의 전등이 달린 판을 꺼내 그의 가슴에 놓았다. 곧 그 등은 빛을 내었다.

”니콜슨씨” 의사가 말했다.

”당신의 몸에는 거리의 전차를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전기가 흐르고 있습니다. 당신은 절연되었기(insulate)때문에 그것을 느끼지 못한 것입니다.”

우리는 전능하신 하나님의 능력이 우리 안에 흐르고 있는데도 그 사용을 위해 특별한 부르심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그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언제든지 필요하면, 능력은 나타나게 된다. 왜냐하면 이미 그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 능력을 소유한 것에 대한 주된 증거는 다른 사람의 심령에 비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전도는 영적으로 열매를 맺는다. ”너희가 권능을 받게되고...내 증인이 되리라” 이것이 주님의 약속이다. 나단과 같이, 우리는 우리가 전도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다음과 같이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네가 그 사람이라.” 우리의 간증이 양심을 찌르고, 영적 진리를 실제화하고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할 것이다.

능력을 받은 설교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에는 막연하지만 그러나 명백한 차이점이 있다. 헨리 무어하우스(Henry Moorhouse)는 소매치기였는데, 회심한 후 벨파스트에서 회중 앞에 섰을때 단지 요한복음 3장16절을 거듭 거듭 되풀이했을 뿐이었지만, 놀라운 결과가 생겼다. 영혼들은 정죄 의식에 사로잡혔고 영광스럽게 회개하였다. 찰스 G. 피니의 경우, 그의 입술에서 한 말씀도 떨어지지 않았지만 그가 제분소에 나타났을 때 직원들은 회개의 눈물을 흘렸고, 그곳에서 열린 집회에서 수많은 영혼들이 그리스도의 부르심에 굴복을 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설교하도록 부르심을 받은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비록 보잘것 없는 일이라 해도 맡겨진 분야에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해드리며 교회의 머리되신 주님께서 맡겨주신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 할 때 이 능력이 나타날 것이다.


능력의 실례(examples)



대단히 중요한 사실은 하나님의 아들께서 성령의 능력을 받으실 때까지는 그의 공생애를 시작하고자 하지 않으셨다는 사실이다. 요단에서 세(침)례받으셨을 때, 성령께서 그의 위에 비둘기같이 내려 오셨고, 그는 다른 모든 영적 체험에서처럼 많은 형제들 가운데 맏아들이 되셨다. 만일 이러한 기름부음이 나면서부터 성령으로 충만했던 주님의 사역에도 필수적인 것이었다면, 우리 타락한 인간들에게는 백배나 더 그것이 필요한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 그런데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리스도께서 그처럼 필요로 하셨던 것을 갖지 못한 채 행하면서도 만족해 하는 듯이 보인다.

주님은 밝혀지지 않은 성장시기에도, 하나님의 뜻을 모든 세세한 부분까지 이루셨지만, 나사렛에서조차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침)례 요한은 왕좌에 앉은 왕에서 들의 촌부에 이르기까지 온 나라의 기초까지 뒤흔들고 있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성령이 강림하시기까지는 그렇지 않으셨다. 성령이 강림하셨을 때 모든 것은 바뀌었다. 하나님의 시계가 종을 쳤다. 곧 그의 선교 임무는 시작되었다. 그는 전에도 여러 차례 회당에서 성서의 교훈을 말씀하신 적이 있었으나 이제 그가 사역을 시작했을 때 사람들은 그 권세를 느끼기 시작했다. 모든 시선은 그에게 집중되었고 ”저희가 다 그를 증거하고 그 입으로 나오는 바 은혜로운 말을 기이히 여겼다. 그리고 그들은 이 사람이 요셉의 아들이 아니냐?”고 말했다. 그 차이점은 주님께서 읽으신 바로 그 귀절이 설명해 준다.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내게 기름을 부으시고 나를 보내사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눈먼 자에게 다시 보게함을 전파하며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눅4:18).

이 말씀은 메시야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예수님의 경우와 우리의 경우사이에 실제적인 유사성이 있는지 묻고 싶은 유혹을 느낄지도 모른다. 아마도 절대적 의미에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사도들은 어떠했는가? 주님의 명령에 순종해서 그들은 위로부터 능력을 입히우기까지 예루살렘에서 기다렸다(눅 24:49). 그들은 명령받은 대로 얼마동안 직접적인 활동과 간증을 중지했다. 이 중대한 열흘동안 자신들의 지난날의 실패를 회상하며 지상 명령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살피는 사람들이 있었을 것이라고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어마어마한 일에 비해 그들의 자원은 얼마나 하잘것 없는 것이었던가! 그들은 전적으로 영향력이 부족했으며 자질도 부족했다! 얼마나 무력하고, 자기 절망을 느끼며, 자기공허 가운데 있었는가!

그때 하늘로부터 선물이 내려왔다. 하나님의 기름부으심이었고, 제자들은 그들의 주님처럼 기름부음 받았다. 자, 이 변화를 보라. 강력한 오순절의 설교자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며칠 전에 그의 주님을 3번이나 부인했던 베드로였다. 야심만만했던 야고보는 불타는 사랑때문에 투옥되었고 사형을 당하게 되었다 -그는 첫번째 순교자가 되었다. 과격한 요한은 사랑의 사도로 변화되었다. 겁장이가 용감해졌고, 불안정한 사람이 불굴의 사람이 되었고, 고집장이가 온유해 졌고, 육적인 사람이 신령해 졌다. 어떤 일인가가 일어났고 그들은 이제 세계를 뒤집어 놓기 시작했다.



의심할 바없이 오순절의 사건에는 신적인 국면이 있었으나, 또한 경험적인 측면도 있었다. 사도들은 그들이 능력을 입히울 때까지 예루살렘에서 기다려야만 했다. 그러면 우리도 그래야 할까? 하나님편에서는 그렇지 않다. 성령은 이미 주어졌고 은사는 모든 신자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자신에 관해 말하자면, 대답은 그렇다라고 해야 할 것이다. 즉 우리가 능력의 통로를 방해하는 방해물을 제거할 때까지 말이다. 헐몬산에서의 설교자들의 모임에서 드와이트 L. 무디(Dwipht L. Moody)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능력 받기를 기다리기 위해 당신의 일을 중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얻기까지는 만족하지 마십시오. 젊은이들이여, 당신들이 무엇보다도 그것을 구할 때 당신들은 이 축복을 얻게 될 것입니다. 당신이 언제 능력을 소유하게 될지 아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만일 우리가 우리 자신에 대해 끝장내지 않은 상태에서 능력을 받기 위해 오랫동안 기다린다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이것은 때로 기나긴 길입니다. 만일 우리가 자부심으로 가득차 있을 때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능력을 부어 주신다면, 우리는 공작처럼 우쭐대게 될 것이며, 아무도 우리와 함께 살고자 하지 않을 것입니다.”


능력의 조건들



관련된 성경구절을 찾아보면 영적 능력은 우리 마음이 준비되어 있어서 하나님께서 그의 영에 의해 능력을 부어 주실 수 있게 될 때만 우리에게 주신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는 그의 능력을 특정한 조건 하에서 주신다.


-드러난 죄를 포기함

시편기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내가 내 마음에 죄악을 품으면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리라”(시 66:18) 우리는 정직하게 죄라고 알수 있는 어떠한 죄도 품고 있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우리 마음속에 죄에 대한 비밀스런 동조가 있어서도 안된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다른 사람에게 잘못을 하고 그들에게 자백하지 않은 것은 없는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고 용서하지 못한 것은 없는지, 배상하지 않은 죄는 없는지 스스로 물어보아야 한다. 또는 탐식하거나 지나친 탐욕은 없는지, 의심스러운 행동이나 세상과 짝한 것은 없는지 스스로 물어 보아야 한다. 죄를 보여 주신 성령께서 그것을 버릴 수 있게 해주신다.


-하나님의 뜻을 기꺼이 따르고자 함

영적 능력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추기 원하는 사람은 더 이상 자신의 길을 갈 권리를 주장하지 않는다. 더 이상 하나님 앞에 아무 것도 감추지 않으며,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을 연기하지 않는다. 능력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행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영광을 위하는 열정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능력을 부음받고 우리 자신은 기꺼이 감추어 지기를 원할 때 능력주시기를 기뻐하신다. 당신이 영적 기쁨이나 탁월해지는 것을 동경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영광을 구할 때, 능력을 받는 것은 멀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기적인 동기에서 구한다면 우리의 추구는 자멸하는 것이 된다.


-기도와 적용

예수께서 기름부음 받은 것은 ”기도하시면서”였다. 성령께서 오신 것은 제자들이 기도할 때였다. ”사역을 위한 자질을 갖추도록 성령의 기름부음을 구하는 것은 신자의 특권과 의무이다”라고 A. J, 고든(Gordon)이 썼다. 우리는 모든 다른 조건과 실패를 들 수 있으나 믿음의 적용을 대신할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나는 약속된 성령을 믿습니다.

나는 오순절의 능력을 믿습니다.

나를 온전히 채우소서,

나는 믿고, 그는 이루십니다.



이제, 만일 하나님께서 만유의 주인이시라면, 그는 사용료를 정하실 권리가 있다. 인근의 행동의 범주를 넘는 관용을 베푸셔서 그는 이 땅의 거주자들에게 아주 작은 비율로 요구하셨는데, 다시 말하자면 십일조를 요구하셨다. 사도들과 선지자들은 이것에 대해 논쟁하지 않았고, 그것을 무시하지 않았다. 부유하거나 가난하거나 그들은 하나님의 요청을 중시하고 그들의 십일조를 냈다. 일찍이 3세기경 시프리안(Cyprian)은 동시대에 의무를 망각한 그리스도인들을 통렬히 비난했다. ”우리 중 어떤 사람들은 재산의 십일조조차도 바치지 않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팔라고 명하실 때, 오히려 구입하고 축적한다.” 웅변가인 크리소스톰은 외치기를, ”오,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유대인 사이에서는 대단치 않은 문제가 그리스도인 사이에서는 그렇듯이 여겨진다는 것이 만일 그때에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것이 위험했다면, 지금은 얼마나 더 위험하겠는가!”라고 했다. 4세기경 앰브로우즈는 ”주님께서는 매년 십일조를 낼 것을 명령하셨다. 그는 당신에게 아홉을 주셨지만 그는 자신을 위해서는 10의 1을 떼어 놓으신다. 만일 당신이 하나님께서 10분의 1을 드리지 않으면 그는 당신으로부터 10분의 9를 가져가 버리실 것이다. 누구든지 하나님께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사람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진정한 회개와 고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죤 칼빈은 이교도들이 그들의 미신을 우상에게 표현하기 위해 드리는 것이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를 위해 드리는 것보다 더 많다고 이야기했다. 녹스는 우리 주님께서 복음서에서 바리새인들에게 십일조를 낼 것에 대해 ”이것도 행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었다.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라고 위대한 사도는 가르쳤으며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은 서로 반대가 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가 위대한 짝이며 한 책의 명령은 다른 책의 도덕률이라는 사실이 또 하나의 확증이 된다.

W. B. Riley




5. 청지기직에 관한 교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를 너희가 알거니와 부요하신 자로서 너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심은 그의 가난함을 인하여 너희로 부요케 하려 하심이니라... 이 은혜에도 풍성하게 할지니라”(고린도후서 8장9, 7절)


소득세, 토지세, 상속세 없이 투자액을 확보한 투자자는 스스로를 참으로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더우기 경기침체, 무서운 전쟁, 재난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우리 주님께서는 이러한 투자가 가능하다고 말씀해 주셨다. 재정적인 조언자로서, 그는 다음과 같이 권하셨다.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이 해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고 도적질하느니라. 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두라. 거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적질도 못하느니라”(마 6:19-20)

어떻게 하늘에 보물을 쌓을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그 대답은 찾기 어렵지 않다. 매주의 7일 중, 하나님께서는 하루를 떼어 드리기를 요구하신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신 수입이나 봉급 중에서 -동을 벌 수 있는 능력을 주신 분은 하나님이시다. -그의 이자의 증진을 위해 한 부분을 떼어 놓기를 요구하고 계신다. 이것은 불합리한 요구가 아니지만, 실제로 그의 요구는 대다수의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무시당하고 있다. 단지 극소수만이 규칙적으로 하나님의 사역을 위해 가치있는 한 부분을 떼어 놓는다. 십일조는 보통 채택되는 방법이며, 좋은 시작이지만,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

십일조는 율법의 행위이며, 우리는 더이상 율법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다고 하여 십일조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반대자들은 십일조는 율법이 주어지기 400년 전에 명백하게 하나님의 인정을 받으며 시행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살렘왕 멜기세덱이... 그를 축복하여 가로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창 14:18-20).



풍성한 헌금을 못하게 하는 방해물들



하나님의 왕국이 지상에 퍼지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선교 명령의 성취는 이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돈에 대단히 많이 의존된다. 그러므로 원수가 그리스도인들의 풍성한 헌금(liberality)의 원천을 마르게 하기 위해 많은 전략을 쓰고 있는 것은 놀랄 일이 못된다. 이와같이 세계 복음화를 위해 자금을 쓰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그의 계략은 여러 가지이다.

그는 좀 더 좋은 시기가 올 때까지 풍성한 헌금을 연기하라고 제안한다. ”내가 재정적으로 좀 더 나은 지위에 있게 되면 나는 하나님께 풍성하게 드리겠다”고 부요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말한다. 이러한 소망은 가치있고 진실한 것이지만, 만일 그가 그의 태도를 바꾸어 지금 드리지 않는다면 이 사람은 풍성하게 드리는 사람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풍성하게 드리고자 하는 충동을 연기하거나 억제하는 것은 결국 치명적인 결과로 되어 버린다.

땅 고르는 장치의 선구자인 로버트 G. 르트루노는 하나님의 일에 그의 수입의 90퍼센트를 드렸던 사람인데, 그는 청년 때에 그의 재정적 위치가 더 나아진 후에 하나님께 풍성히 드리기로 결심했었다. 1년이 지나자 번영하기는 커녕 그는 파산을 직면하게 되었다. 그때야 비로소 그는 풍성한 헌금을 연기하는 것이 어리석다는 것을 배웠다. 그는 즉시 이 점에 있어서 자세를 바꾸었고 번영을 되찾았다.

원수가 사용하는 또 다른 책략은 기꺼이 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청지기의 재산을 동결시켜서 그리스도의 기업을 위해 쓸 수 있는 유동적인 자본을 가지고 있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기업을 확장시키는 것은 그것이 풀리자마자 모든 돈의 재투자를 요구하고, 또 투자하는 것은 그것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더 많은 돈을 잠기게 할 것을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이 사람은 모든 좋은 뜻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주님의 일에 드려야 할 때는 만성적으로 무일푼인 것이다.

유혹하는 자의 또 다른 책략은 생활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입의 증가를 무력하게 만들어, 수입이 늘기 이전 보다 더 이상 쓸 수 없고, 오히려 부족할 정도로 만드는 것이다. 새로운 자동차, 더 큰 집이 남은 돈을 곧 다 써버리게 한다.

자신의 서적을 판매함으로 번 돈을 3, 4만 파운드 씩이나 드렸던 요한 웨슬레의 경우는 얼마나 다른가! 1787년 그가 술화한 바에 의하면 그의 설교자 중 한 사람인 사무엘 브래드번에게 그는 1년에 1천 파운드 이상씩 보내주었다고 하는데 그가 죽었을 때, 그의 사유재산은 단지 몇파운드 밖에 되지 않았다. 그가 이렇게 관대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그의 그리스도인 생활의 초기에 시작되었다. 1년에 30파운드를 벌었을 때, 그는 28파운드로 생활했고 나머지 2파운드는 주님의 일에 드렸다. 다음 해 그의 봉급이 두 배로 증가되었을 때, 그는 2배가 아니라 16배를 드렸다.

”나는 작년에 28파운드로 평안하게 살 수 있었다.”

그가 말했다.

”나는 다시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는 그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대신에 그의 헌금의 수준을 높였고 모든 증가된 수입을 그의 주님께 드렸다. 하나님께서 후에 그에게 진정한 영적 부(富)를 위탁하신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얼마전에 한 기부자가 선교기금에 25파운드 수표를 보냈다. 설명서에 그는 그의 가족들은 새 라디오를 원했지만, 그는 선교지에 이런 긴급한 필요가 있을 때 사치품에 그렇게 많은 돈을 쓰고 싶지 않았다고 이야기했다. 마침내 그는 자신을 위해 사치품을 살 때마다, 같은 금액의 돈을 기독교 사역을 위해 드리기로 결정함으로 해결했다고 했다-가치있는 경쟁의 본보기이다.

성경에서는 두가지 생활 표준을 가르치고 있지 않다고 아무리 강하게 이야기 해도 지나칠 수 없다-하나는 주님의 금고로부터 후원을 받는 그리스도인 사역자나 선교사의 생활 표준이며 또 하나는 집에 있는 사무원이나 사업가의 것이다. 선교사들도 우리가 집에서 누리는 사치품을 즐길 수 있는 동등한 권리가 있는 것이다. 우리가 만일 우리 일을 위해서 자동차를 갖는다면, 왜 선교사는 그의 일을 위해서 자동차를 가질 수 없겠는가? 우리가 주님으로 부터 모든 선물을 위탁받았다면, 어떻게 그 가치 기준이 있을 수 있겠는가? 십자가를 지신 그리스도를 따라가는 사람들 가운데에서는 복음을 위해서 드리는 희생이 같아야만 한다. 전시(戰時)에는 동등한 희생을 하는 것만이 공정하게 여겨진다. 이 원리가 우리가 참여하고 있는 끊임없는 영적 전쟁에도 적용되지 않겠는가?

사탄이 채택한 마지막 방법을 고(故) A. J. 고든(Gordon)박사는 「사후(死後)의 자선」이라고 칭하고 있다. 속이는 자는 죽은 후에나 기독교 기관에 많은 금액을 유증(遺贈)함으로써 관대하게 헌금하라고 사람들을 속인다. 고든 박사(Dr. A. J. Gordon)는 성경은 우리가 생존해 있을 때 행하는 것에 대한 상급만이 약속되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리스도인은 물론 부양 가족을 위해서 적절하게 공급해야만 한다. 그러나 그가 부양의 의무는 다하면서도 죽음이 그의 호주머니의 남은 돈을 흔들어 놓을 때까지 여분의 돈을 움켜쥐고 있다면 진정으로 하나님께 드렸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살아있는 동안 주님의 일을 위해 돈을 드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축복이 있어왔다. 이것이 참으로 하늘에 보물을 쌓아두는 것이다. 한번은 이 주제에 관해 저자가 설교한 후에 한 사업가가 나를 부르더니 그가 유언장에다 여러 선교 단체에 기증하기로 했던 9,000파운드를 그날 지불했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이와같이 그가 살아있는 동안 헌금이 열매맺는 것을 보는 기쁨을 가졌다.



풍성한 헌금의 정도



성경은 우리 수입의 어느 정도를 하나님께 드릴 것을 가르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사기꾼 야곱은 10분의 1을 드렸고 경멸당하는 세리장이 삭개오는 2분의 1을 드렸으며 무명의 가난한 과부는 「생활비 전부」를 드렸다. 결국 이 질문은 각자가 대답해야만 한다. 그러나 갈보리에 비추어 볼 때, 10분의 1이하가 될 수있겠는가? 의무적으로 10분의 1을 드리면서 구약 아래 살고 있던 사람들의 삶이 비로소 시작되었으며, 그것은 피할 수 없는 첫번째 의무였다. 열심있는 유대인은 적어도 수입의 6분의 1을 하나님께 드렸다. 경건한 유대인으로서, 이것은 우리 주님의 습관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십자가의 은혜를 모두 누리고 있는 우려가 시내산의 희미한 빛 가운데 살았던 사람들보다 덜 드리고서 만족할 수 있겠는가? ”거저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당신의 하나님과 당신의 재물(Your God and Your Gold)」이란 책에서 L. B. 플린(Flynn)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십일조를 드리는 것만으로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경제적 의무를 다 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대단한 거짓이다. 인간의 금전에 관한 의무는 10퍼센트 이상을 수반한다. 그것은 그의 금전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는 주님께 필요 경비를 받은 것과 같다. 우리가 쓰는 항목을 정당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여행하는 세일즈맨이 필요 경비로 자기 아내를 위해 털코트를 사며 아들을 위해 자전거를 구입해서는 안되는 것처럼 많은 그리스도인들도 깨끗한 양심을 가지고는 불필요한 사치품을 과도하게 구입하는데 돈을 쓰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은 발견해야 한다.”

모든 참된 헌금에는 희생의 요소가 있다. 생활비 전부를 드렸던 과부가 전형적인 본보기였다. 그녀의 헌금의 가치는 그 양에 있었던 것이 아니고 거기 수반된 희생에 의해 평가된 것이었다. 어떤 사람이 10분의 1을 드리는 것은 다른 사람이 10분의 9를 드리는 것보다 더 큰 자기 부인을 수반한다. 우리의 헌금은 무엇을 드렸는가 보다는 무엇이 남았는가에 의해 평가된다.

이 주제에 관한 다음의 이야기는, 상당히 좋은 지위에 있는 그리스도인 여성에게서 받은 편지에서 발췌한 것이다.

”나는 언제나 내 수입의 십일조를 드렸으며, 하나님의 일에 풍성하게 드렸다고 생각해 왔었습니다. 그러나 내가 얼마나 조금 드렸는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내게 상당히 많은 돈이 남았고, 상당한 봉급을 받은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주님께서는 내 수입의 절반을 바칠 것을 원하고 계십니다. 나는 기꺼이 그렇게 하겠습니다. 영적인 축복으로 나를 축복해 주실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내가 사랑으로 너무 많이 약속한 것이라면, 내가 수입의 남은 절반을 가지고도 살아갈 수 있도록 주님께서 도와주시기를 기도합니다. 당신께서도 기도해주시겠어요? 만일 그분이 더 많이 드릴 것을 원하신다면 나를 위해 그렇게 많은 것을 해 주신 그분을 위해 더 드릴 수 있는 은혜를 주시도록 말입니다.”

한 집회에서, 사고로 한 손가락을 잃은데 대한 보상으로 1천 파운드를 받은 젊은 외과의사가 희생적으로 드리는 데 대한 하나님의 부르심을 듣고, 선교 헌금으로 전부를 드렸다. 같은 모임에서 한 나이많은 부인이 아주 수입이 적은 여자였는데 그녀의 유일한 보석일듯 싶은 그녀의 금시계를 드리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보석도 드릴 수 있다면 나는 이 시계를 바치기 원합니다.”

주님의 것을 드리는 것을 미루고 있는 것은 아닌가 질문을 던지는 것은 어떤 사람에게는 괴로움을 주는 질문이 될 수도 있다. 한 사업가가 하나님의 것을 자신이 그대로 가지고 있었던 죄를 깨닫고는, 회계사를 불러들여 그로 하여금 그의 체화(arrears)에 관해 말하도록 한 후, 그는 하나님께 대한 빚을 그가 할 수 있는 만큼 축소시키기 시작했다. 당연히 아프리카나 아시아에서 복음을 전파하는데 사용되어야 할 돈이 은행에 들어가 있지는 않은가?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겠느냐?” 말라기 선지자가 물었다. 그렇다. 그럴 수 있다. 하나님께서 그렇게 대답하셨다.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적질하고... 곧 십일조와 헌물이라”(말 3:8).


관대함의 문제점들



우리가 청지기 역할을 하는데는 몇가지 실제적인 문제들이 있다.

한 농부가 미래에 하나님께 하나님의 부분을 드릴 것을 마음에 계획했을 때 실제적으로 난처한 상황에 당면하게 되었다. 시절이 좋지 않아 그의 봉급이 지체되었다. 그는 먼저 밀렸던 것을 내고 하나님께 드리기를 시작해야 할까, 아니면 즉시 십일조를 시작해야 하겠는가? 우리 생각에 그것은 하나님과 그 사이의 문제라 볼 수 있겠지만 이런 질문을 해 보게 되었다.

”주(洲)가 사회보장세를 징수할 때, 당신이 밀렸던 것을 낸 후에 남은 수입을 근거로 해서 징수하는가 또는 세금을 첫번째 의무로 간주하는가?”

”물론 그것이 내 수입의 첫번째 의무입니다”가 답변이었다.

”그러면 당신의 문제는 「하나님, 주(洲), 당신의 채권자중 누구가 우선권을 가져야 하겠는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만일 당신이 채권자를 첫번째로 둔다해도 아무도 당신이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만일 당신이 주님을 첫째로 둔다면, 그는 의심할 바없이 당신의 모든 의무도 채워 주실 것입니다.”

그러면 결과는? 비록 두렵고 떨리는 믿음이었지만, 그는 즉시 십일조를 시작했다. 그 다음 해에는 한발로 대단히 어려워서 그의 이웃들은 모두 손해를 보았는데 그는 수입이 좋았을 뿐만 아니라 빚도 줄일 수 있었다.



어떤 직업은 수입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또 다른 문제가 제기되지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자 하는 뜻이 있는 곳에서는 해결책이 발견될 것이다. 수입이 불규칙하다면 수입이 알려지는 대로 곧 그것을 불규칙하게나마 십일조를 할 수 있다. 만일 의문이 있다면 의문이 있는 여분을 하나님께 드리는 사람은 결코 잃은 자가 되지 않을 것이다.


믿음으로 드림


경제적인 불황의 시기에 한 선교 집회에서 사람들은 하나님께 드리는 일에 그들의 믿음을 구사하도록 도전받았었다. 하나님의 얼굴을 구한 뒤에, 그들은 그 당시에는 어떻게 될지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주실 것이라고 믿는 것을 믿음으로 드릴 것을 약속했다. 만일 선교사가 믿음으로 산다면, 그들이 믿음으로 드릴 수 없겠는가? 6개월 후에, 선교기금의 한 회계원이 한 청년으로 부터 20파운드 짜리 수표를 받았다. 다시 6개월 후에, 비슷한 수표가 다음의 편지와 함께 도착했다.

”믿음으로 드릴 것이 호소되고 도전받았을 때, 실직 상태였고, 일자리를 예견할수도 없었고 드릴 것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나는 주님께 나아갔고 그에게 정직했습니다. 나는 「주님, 당신이 내게 올해에 40파운드를 맡겨 주시면, 당신의 일에 그것을 드리겠습니다.」라고 기도했습니다. 집에 돌아가자 나는 곧 일자리를 얻게 되었고, 그때 이후 하루도 일자리가 없었던 적이 없으며 솔직히 1년 전에는 꿈도 꾸지 못했던 지위에 있게 되었습니다.”

십일조를 반대하는 사람은 십일조를 하자 않는 사람이라고 경험은 가르쳐 준다. 그리고 그의 반감과는 달리 그의 마음 속에서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있다. 하나님께 풍성하게 드리는 사람 중에 그것을 부담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어디있는가? 하나님의 몫을 열심과 사랑의 근실한 심정으로 떼어 놓을 때, 드리는 것은 기쁨이 된다. 그는 그것을 자신의 돈으로 생각지 않기 때문에, 하나님께 바쳐진 돈을 아쉽게 여기지 않는다.

한 젊은 아버지가 병으로 죽었다. 그의 전재산은 그의 주급과 그의 집에 있는 가구였다. 그는 아내와 세 어린아이를 남겨두고 죽은 것이다. 경제 불황기간 중에 그의 급료는 주급 4파운드로 까지 감소되었었다. 그들의 결혼생활 15년 동안을 이 두 청지기는 종종 개인적으로는 큰 희생이었지만, 세심한 주의로 매주 10쉴링씩을 주님의 몫으로 떼어 놓았었다. 그로인해 자주 그들은 많은 생활 필수품을 포기해야만 했으나, 십일조를 지성으로 지켰다.

그의 죽음 후에, 예기치 않은 곳으로부터 돈이 이 과부에게 흘러 들어오기 시작했다. 얼마 후에 회계 계산을 했을 때 그녀는 그 액수가 그들이 결혼생활중에 주님께 바친 액수와 같은 것을 발견했다. 게다가 이자가 덧붙여진 금액이었다. 그들이 세계 여러 곳에서 하나님을 위해 그들의 돈이 사용되는 기쁨을 느꼈을때, 하늘 아버지께서 그것을 틀림없는 은행에 맡아 두셨다가 필요한 때에 이자와 함께 돌려주실 것은 꿈도 꾸지 못했던 것이다. 그녀가 하나님께 풍성하게 드렸던 것을 후회할 아무 이유도 없었다.

오래 전에 16세의 젊은이가 입신출세의 길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났다. 그가 가진 재산이라고는 꾸러미 하나가 전부였다. 그가 터벅터벅 걸어가고 있을때 한 늙은 이웃을 만났는데 그는 화물선 선장이었다. 한 대화가 그 소년의 삶의 방향을 바꾸어놓았다.

”윌리엄, 어디로 가니 ?”

”모르겠어요” 그가 대답했다.

”아버지는 너무 가난해서 나를 집에 더 이상 데리고 계실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제는 내 힘으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그건 문제없는 일이다.” 선장이 말했다.

”바르게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라. 그러면 잘 지내게 될 것이다.”

윌리엄은 그에게 자기가 아는 유일한 일이 비누를 만드는 일인데, 집에 있는 동안 아버지가 하시는 그 일을 도왔었노라고 말했다. 노인이 말했다.

”자, 너와 다시 한번 함께 기도하고 충고를 한 마디 한 후, 너를 보내주마.”

그들은 뱃길에 무릎을 꿇었다. 노인은 윌리엄을 위해 열심히 기도한 후 그에게 이러한 충고를 했다.

”누군가가, 뉴욕에서 탁월한 비누제조자가 될 것이다. 다른 사람이 아닌 네가 그렇게 될 수도 있는 것이지, 나는 네가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좋은 사람이 되거라. 네가 번 돈 중에서 주님께 속한 것은 모두 주님께 드려라. 정직하게 비누를 만들어라. 무게를 정확히 채워라. 그러면 너는 부유하고 번창하게 될 것을 확신한다.”

소년이 도시에 도착했을 때 일을 얻는 것이 어려웠다. 쓸쓸하게 집을 멀리 떠나 있으면서, 그는 화물선장의 마지막 말을 기억했다. 그는 ”먼저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는 말에 이끌려 교회에 나갔다. 일을 얻게 되자 그는 선장에게 한 그의 약속을 기억했고 그가 번 첫 달러(dol-lar)를 주님의 것으로 돌렸다. 유대인들이 10분의 1을 드리라고 명령받은 것을 성경에서 읽으면서 그는 ”만일 주님께서 10의 1을 받으셔야 한다면, 나는 그것을 드리겠다”고 말했다. 그 이후, 매 달러의 10센트를 주님을 위해 바쳐졌다.

얼마 지나자 그는 그가 일하는 사업계에서 동업자가 되었다. 몇년 지나자 그의동업자가 죽어 윌리암은 단독 소유주가 되었다. 그는 선장에게 한 그의 약속을 지키기로 결심했다. 그는 정직하게 비누를 만들었고, 무게를 정확히 채웠으며, 그의 부기 계원(bookkeeper)에게 회계를 보게 하여 수입의 십일조를 드렸다.

그는 번창했다. 그의 사업은 커갔다. 그의 가족은 축복을 받았다. 그의 비누는 잘 팔렸고, 그는 그가 원했던 것보다 더 빠르게 부유해졌다. 그는 10의 2를 주님께 드렸고, 그리고 그는 이전보다 더 번영했다. 그는 10의 3을 드렸고, 그리고는 10의4, 그리고는 10의 5를 드렸다. 그는 그의 가족을 교육시켰고, 인생에 대한 그의 계획을 이루었고, 그리고 그후 그는 모든 수입을 주님께 드렸다.

그 젊은이는 누구였는가? 윌리엄 콜게이트이다. 콜게이트의 비누에 관해 들어보지 못한 사람이 있겠는가?

우리가 우리의 청지기직에 대한 결산을 하기 위하여 심판의 보좌 앞에 섰을 때, 우리는 주님에서 맡기신 돈을 어떻게 관리하였기를 원하는가?


"내가 쓴 것은 잃은 것이며,

내가 간직한 것은 다른 사람을 위해 남겨질 것이며,

내가 포기한 것은 언제까지나

내 것으로 남을 것이다.”



우리는 죄와 죄로 인한 오염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제를 분명히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우리는 그것들이 이와 같이 분리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하나님께서는 피를 통해서 죄를 전체로서 다루신다. 진정한 피의 작용은 죄와 죄로 인한 오염을 동시에 나타낸다. 화목과 깨끗케 하심은 언제나 함께 나타나며, 피는 끊임없이 작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피가 저 먼 곳에 있어, 만일 우리가 죄를 다시 범하면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서 깨끗케 함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분수가 항상 흘러 넘쳐서 그 속에 있는 것과 그 아래 있는 것을 깨끗케 하는 것처럼, 이 보혈의 샘도 죄와 더러움을 향해 열려 있다.(슥 13:1) 영원한 영(Eternal Spirit)의 영원한 생명의 능력이 피를 통해 역사하신다. 그로 말미암아 우리는 언제나 피의 샘과 깨끗케 하심 아래 거할 수 있다. 구약 서역에서는 갈 죄에 대한 깨끗케 하심이 필요했다. 신약 성경에서는 깨끗케 하심이 항상 살아서 중재하시는 분께 달려 있다. 믿음으로 이 사실을 깨닫고, 열망하고, 굳게 잡을 때, 우리는 매 순간을 보혈의 보호하시고 깨끗케 하심 아래 거할 수있게 된다.

Andrew Murray




6. 정결케 하심에 관한 교훈



"염소와 황소의 피와 및 암송아지의 재로 부정한 자에게 뿌려 그 육체를 정결케하여 거룩케 하거든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섬기게 못하겠느뇨(히브리서 9장 13-14절).


더럽혀진 양심, 죄에 오염되고 억압된 양심만큼 포악하고 견딜 수 없는 것은 없다. 일단 자극을 받으면 조용해질 줄을 모른다. 심지어 가장 거룩한 순간 조차, 그것은 정죄의 메시지를 은근히 비추어 준다. 효과적인 하나님과의 교제는 단절된다. 그의 임재 안으로 담대하게 접근하는 것은 단지 탐이 나는 추억에 불과하게 된다. 주님의 모습의 광채는 그늘지게 되고 교활한 적은 쉽게 승리를 거두게 된다. 기쁨은 날라가 버리고 봉사는 피곤한 고역이 되어 버린다. 마음의 평안과 승리의 가능성은 언제나 물러가 버리는 신기루처럼 보인다. 이 모든 것은 양심이 더럽혀졌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다른 모든 인간의 마음의 열망과 필요를 채우실 수 있지만 더럽혀진 양심을 깨끗케 하기 위해서는 아무런 예비도 해놓지 않으셨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이야기이다. 이 괴로운 영혼의 병을 위한 만병통치약이 있을 것이 틀림없다. 그리고 실제로 존재한다.

히브리서 9장13-14절의 암송아지의 재에 관한 말씀은 구약의 그림 특히 민수기 19장에 기록된 이상한 예식으로 우리를 데리고 간다. 이 붉은 암송아지의 예식이 우리가 기대하는 것처럼 제사장의 책인 레위기에 있지 않고 이스라엘의 순례여행에 관한 책인 민수기에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모세오경의 각 책에는 그리스도의 죽음의 어떤 독특한 면을 예시하고 있는 장이 있다는 것은 인상적인 것이다.

창세기 22장에는, 아브라함이 이삭을 드리는 것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독자들은 십자가의 신비스런 사건의 본질을 보게 된다. 아버지(Father)가 아들(son)을 희생으로 바치는 엄청난 희생이 그곳에 그려져 있으며, 그와 마찬가지로 아들(son)이 신비한 구속의 계획 속에 있는 그의 아버지(His Father)의 뜻을 기꺼이 이루어 드리는 것이 예표되어 있다.

출애굽기 12장의 유월절 밤의 기록은 재앙을 피하기 위해 믿음으로 적용된 죄없는 희생물의 피를 묘사하고 있다. 피때문에, 보복자는 보호자가 된다. 또 하나의 그림이 레위기 16장에 속죄일 예식에 관한 설명으로 나타나 있다. 범죄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와 ”무인지경으로” 더러운 죄를 영원히 지고 가는 두 가지를 충족시키는 그리스도의 죽음이 나타나 있다.

히브리서 9장13-14절과 연결하여 읽을때, 민수기 19장에는 일상생활 가운데 피할 수 없이 더러워지며 살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을 끊임없이 깨끗케 하기 위한 변함없는 하나님의 예비하심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그것은 하나님과의 깨어지지 않는 교제를 위한 하나님의 예비하심이다. 과거의 죄뿐만 아니라 미래의 죄를 포함하며, 우리가 의식적으로 짓는 것 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짓는 죄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장은 죄를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만 한다. 이것은 바울의 질문, 대답과 전적으로 조화를 이룬다. ”죄에 계속 거하겠느뇨? 그럴 수 없느니라”(롬 6:1-2).

요한도 신자들을 위해 분명히 이야기했다. ”나의 자녀들아 내가 이것을 너희에게 씀은 너희로 죄를 범치 않게 하려 함이라”(요일 2:1). 그러나 같은 절에서 그는 죄를 지을 수 있는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런 상황을 위한 치료책을 보여주고 있다. 죄를 짓는 것은 더 이상 필요치 않다. 그러나 그것은 가능한 일이므로 그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 구조선이 준비되었는데, 그것은 배가 꼭 가라앉을 것이기 때문이 아니요 가라앉을 경우를 위해서인 것이다. 위의 의식은 이와같은 하나님의 대책인 것이다. 그것은 구약 형태에 나타나는 영적 가르침중 가장 풍성한 것이며, 깊이 연구함으로써 충분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바울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확신시켜 주고 있다. ”저희에게 당한 이런 일이 거울이 되고 또한 말세를 만난 우리의 경계로 기록하였느니라”(고전 10:11).


죄의 오염



모든 질병 중에서 죄는 가장 전염성을 지닌 것이다. 죄는 불가피하게 잇달아서 오염을 가져온다. 민수기 19장에는 부정이라는 단어를 끊임없이 반복함으로써 이 사실을 강조하고 있는데, 15번씩이나 나온다. 우리는 외부의 죄뿐만 아니라 내부의 죄에 의해서도 더럽혀진다.


● 오염의 원인들


이것은 명확하게 정의 내려져 있는데, 모든 경우가 이런 방법 또는 저런 방법으로 죽음에 접촉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죄는 죽음의 원인과 이유이기 때문에, 죽음은 현존하는 죄에 대한 외면적이고 눈에 보이는 증거이다. 죄는 영적 죽음이다. 붉은 암송아지의 의식이 주어졌을때, 죽음은 불신앙으로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를 거부했던 불운한 이스라엘 세대의 무시무시한 댓가를 의미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은혜롭게도 이 백성들에게 구원의 길을 주신 것이다.

시체를 만지면 이스라엘 백성은 오염이 되는데(11절), 이것은 실제로 죄와 접촉하는 것 즉 자신이 개인적으로 책임져야할 죄의 행동을 상징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영혼의 불화가 조화로 바뀌기 위해서는 고백되고 처리되어야 할 분명하고 의식적인 죄가 있다. 또는 시체가 누워있는 장막에 들어가는 것을 통해 오염이 된다. 실제적인 접촉이 없었다 해도. 그 영향은 같다. 악과 교제하는 것은 오염의 결과를 가져온다. 죄 없으신 주님께서는 그의 거룩함을 훼손함이 없이도 세리와 죄인과 함께 잡수셨지만, 이 더러운 세상은 우리 옷에 오점을 남긴다. 우리는 더럽혀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대화, 책, 신문, 농담, 세상의 광고는 모두 오염을 가져오는 것이다.

분위기조차도 오염의 책임을 지고 있다. 왜냐하면 무릇 뚜껑을 열어 놓고 덮지않은 그릇도 부정(15절)하기 때문이다. 숨겨진 죄의 감염은 가정에서 조차도 활동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와 T. V. 가 문화적, 영적으로 큰 가치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프로그램을 주의 깊게 선택하지 않으면 세상의 분위기가 가정의 영역에 교묘하게 침투하는 것을 허락하는 무의식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악의 현존가운데, 우리의 모든 기능은 보호를 요구한다. -입술 위에 파수꾼을 세우고, 더러운 광경에서 눈을 돌리고, 더러운 말에는 귀를 막는다. 단지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죄의 오염을 피할 수 있다.

심지어 우연히 뼈를 만지게 되는(16절) 하찮은 일도 시체를 만진 것만큼 심각한 결과를 가져온다. 작은 죄에 오염되는 것은 잘못해서 큰 죄를 부르는 것만큼 큰 것이다. 모든 죄의 크기는 같다. 크고 작은 것으로 나뉘어질 수 없다. 죄는 하나님 보시기에 너무나 사악하고 오염된 것이기 때문에 조금만 접촉해도 사람의 전체를 더럽히게 된다. 한 가지 생각, 상상, 한번의 시선이 공개된 죄의 행위만큼 하나님의 얼굴을 어둡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심지어 들에서도(16절) 이스라엘 사람들은 더러움에 대해 면제되어 있지 않았다. 그가 어디로 가든지 -격리된 수도원으로 가든 혹은 번잡한 시장으로 가든지 -그리스도인은 죄의 감염을 초월해 있지 않다. 그것은 불가피한 것이다.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a Kempis)는 ”아주 거룩한 사회가 없으며, 비밀한 장소도 없으며, 유혹이 없는 장소도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모르고서 잡초 우거진 무덤 위를 걷는(16절) 사람은 그의 발밑에 있는 시체에 대해서는 전혀 잊고 있지만, 오염을 피할 수 없다. 숨겨진 죄는, 영적 지각이 둔해진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지만 그로 인해 죄를 미워하시는 거룩한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교제에는 구름이 덮이게 된다. 우리는 우리의 불완전한 기준에 따라 충분히 죄를 지을 수 있다. 그러나 거룩한 하나님께서는 그것을 간파해내신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적극적인 죄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인 죄를 위해서도 대책을 마련해 놓으셔야 했다. 우리의 자각(self-knowledge)은 대단히 불완전한데, 그 이유는 우리는 언제나 우리에게 유리하도록 편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자책할 아무것도 깨닫지 못하나 그러나 이를 인하여 의롭다 함을 얻지 못하노라”(고전 4:4)라고 바울이 말했다. 그는 자기 안에 깨닫지 못하는 죄가 있음을 알았던 것이다.

이 전형적인 의식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모든 죄를 미워하시며 죄가 크고 작고간에 실제로 범했든지 또는 우리의 성품 안에 잠재해 있든지 간에 죄에 대해서 민감하시다는 사실을 아주 생생하게 나타내시고 계신다. 이것은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의 부락 생활에 잘 예증되어 있다. 타부(부정함의 뜻)는, 마오리족 가운데서는 죽은 사람을 만졌던 사람에게 따라 다니는 것으로 간주되었는데, 이것은 그가 어느 집으로 들어가든 또는 어떤 사람과 접촉을 갖든지 더러움을 전달할 뿐 아니라, 자신이 먹는 음식에 조차도 손을 뻗쳐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 오염의 결과


옛날에는 죽음과 접촉함으로 오는 오염은 무서운 결과를 수반했다. 부정한 사람은 진(camp)에서 쫓겨날 뿐만 아니라, 더 심각한 것은 성소에서 예배드릴 수 없게 되는 것이었다. 죄의 결과는 외적으로는 다를지라도 오늘날도 결코 덜 심각하지 않다. 그리스도인의 죄는 세상 사람의 죄보다 더 비난을 받는다. 왜냐하면 죄는 언제나 특권과 비례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의식적(儀式的)인 부정으로 고대의 범죄자들이 성전에서 먹는 것이 금지되었던 것처럼 하나님과의 교제를 방해한다.

히브리서의 저자는 양심이 더럽혀진 사람의 사역은 단지 ”죽은 행실”에 불과하므로 하나님께 전혀 열납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죽은 행실은 결코 살아계신 하나님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는-생명을 주시는 영이 함께 하시지 않는 활동, 분주한 자기 생활에 이끌려 한 활동, 그 자체는 옳을지 모르나 비영적인 동기에서 나온 일들이다. 열의없는 기도, 능력없는 설교, 사랑없는 봉사-이것들이 죽은 행실이다. 아주 깊이 깨끗케함을 필요로 하는 죄로 인한 오염이므로 오직 그리스도의 피만이 효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혼자 살며 다른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결과는 그리 심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장의 엄숙한 마지막 말이 이런 가능성을 배제한다. ”부정한 자가 만진 것은 무엇이든지 부정할 것이며 그것을 만지는 자도 저녁까지 부정하리라”(22절). 하나님과 끊어진 가운데 있을때, 우리의 호흡조차도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이 의도하신 대로 생명의 향기가 되는 대신에, 우리는 사망의 냄새가 되고 만다.



단 한 마디를, 그래, 그 한 마디를 말하라!

성령께서는 세미한 음성으로 속삭이셨다.

그러나 그는 축복도 받지 못한채 연약함 중에 가버렸다.

당신은 그에게 용기를 주고

사랑과 헌신을 새롭게 해주어야 했는데,

당신에게 메시지가 왔을 때

당신은 주님과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단 한 통의 짧은 편지를, 그래, 한 통의 편지를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에게 쓰라고

성령께서 말씀하셨다.

그러나 그 때 당신은 다른 일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중요치 않은 일이라고 생각했다.

당신이 한 영혼을 죄와 비애로부터

구원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면서 말이다.

당신은 당신의 주님과 멀리 떨어져 있었다.


죄의 청결



우리의 상황이 위에서 말한 것처럼 나쁘다면, 질병처럼 근본적인 치료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치료책은 의식(儀式)에서 암시되었다.


● 전형적인 의식


의식의 어떤 부분도 의미가 없는 것은 없다. 우리 자신을 탐구하는 관찰자로 가정해 볼 때, 우리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대표가 붉은 암송아지를 대제사장에게 가져가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왜 붉은 것일까? 왜 검정색이 아닐까, 죄에 대한 제물이기 때문일까? 아마도 검정이 아닌 붉은 색이 성경에서 죄에 대해 사용하는 빛깔이기 때문일 것이다. ”너희 죄가 주홍같을찌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진홍같이 붉을찌라도 양털같이 되리라”(사 1:18). 또는 ”순수한 진홍색”같은 그리스도의 중재적인 사역을 예표할 수도 있다. 그것은 ”온전하여 흠이 없고 아직 멍에 메지 아니한 붉은 암송아지”(2절)임에 틀림없다.

희생물을 선택하는 데는 세심한 주의가 기울여졌다. 붉은 색이 아닌 다른 빛깔이 세 터럭 이상이 있어도 실격이 되었다. 외적으로 전혀 흠이 없어야 했다. 멍에를 메어보지 않은 것이어야 했는데, 만일 암컷이 멍에를 메면, 손상되는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엘르아살이 그의 아버지 아론의 직무를 대신했는데, 그는 부정했고 직무께 적합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를 위한 의식을 행해야만 했다. 당신을 통해 더 깊은 지시를 관찰할 수 있다.


"너는 그것을 제사장 엘르아살에게 줄 것이요 그는 그것을 진 밖으로 끌어 내어서 자기 목전에서 잡게 할 것이며 제사장 엘르아살은 손가락에 그 피를 찍고 그 피를 회막 앞을 향하여 일곱번 뿌리고”(3-4절).


거룩하심에 그토록 심한 손상을 입으신 하나님의 성막 앞에 암송아지의 피가 뿌려져야만 했으며, 하나님 한 분만이 죄를 정결케 하실 수 있는 것이다.


"그 암소를 자기 목전에서 불사르게 하되... 동시에 제사장은 백향목과 우슬초와 황색실을 취하여 암송아지를 사르는 불 가운데 던질 것이며... 이에 정한 자가 암송아지의 재를 거두어 진 밖 정한 곳에 둘찌니... ”(5-9절).


열왕기상 4장 33절로 부터 우리는 레바논 백향목과 우슬초는 나무중 가장 큰 것과 가장 작은 것, 인간의 본성을 최선의 상태와 최악의 상태로, 삶의 가장 강한 면에서 약한 면까지를 적절하게 나타내 주고 있다는 것을 배운다. 이 주위에는 붉은 양털을 묶었었다(히 9:19). 전체는 태워서 재로 만들었고(이것은 적용을 위해 제물을 보존하기 위해서였다.) 재는 모아서 양심의 가책을 받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쉽게 갈 수 있는 깨끗한 장소에 보관되었다.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결한 사람이 흐르는 물에 재를 약간 섞어서, 이 ”분리의 물(water of separa-tion)”에 우슬초 묶음을 담갔다. 그리고 제 3일과 7일에 범죄자에게 뿌리면 그는 다시 한번 성소에서의 예배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예식이었다.


● 실물에 대한 인식


이 경우의 특성에 있어 식물은 언제나 모형보다 우월하다. 그리고 의식이 의미하는 바를 히브리서 기자는 명백하게 이야기 해 주고 있다. ”염소와 황소의 피와 및 암송아지의 재로 부정한 자에게 뿌려 그 육체를 정결케 하여 거룩케 하거든 하물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으로... 깨끗하게 하고”(히 9:13-14).

선택된 제물처럼 그리스도는 점도 흠도 없었다. 동정녀 탄생의 기적과 성령의 역사로 인하여, 그는 원죄로 더럽혀지지 않으셨다. 그의 순결함은 본질적이고 타고난 것이었다. 흠이라는 말은 비판의 신인 모무스(Momus)로 부터 나온 말이다. 이 땅에서 사시는 동안 그는 심한 비판을 받았었지만 ”그에게는 죄가 없다”(요일3:5)는 것을 드러냈다. 죄의 멍에가 어깨 위에 결코 놓인 적이 없었으며, 구속(拘束)의 멍에 아래도 있었던 적이 없으므로 우리의 죄를 위한 희생물이 되실 수 있으셨다. 그의 희생은 전적으로 자원하신 것이었다.

제물처럼, 그리스도도 ”자기 피로써 백성을 거룩케 하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받으셨”(히 13:12)는데, 이 곳은 문둥이와 더럽혀진 사람들이 늘 출입하는 곳이었다. 그들의 죄는 제물에게 전가되었다-영문 밖에서 영광의 주님의 비할데 없는 겸손의 행동에서, 하나님의 끝없는 용서의 사랑이 나타났다. 장막 앞에서 피를 뿌리는 것은 그 자체로는 오염된 사람을 정결케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없었고, 그들이 정결케 되기 전에 속죄제가 있어야만 했다.

붉은 양털을 묶은 백향목과 우슬초를 태우는 것은 죄많은 자아의 삶(self-life)인 ”옛 사람”이 매력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든 불쾌한 모습을 가지고 있든지 간에 그것을 불 속에 던져 버리고, 신약의 표현대로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히는 것을 의미한다(롬 6:6). 만일 우리가 자아의 삶을 죽음의 자리에 두지(롬 6:11) 않는다면 언제나 부패하고 더럽혀지게 될 것이다. 우리는 십자가에서 내려달라는 옛 사람의 애원을 단호하게 무시해 버려야 한다.

재는, 희생이 드려진 증거인데, 제물의 주요한 부분이 농축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것은 부패하지 않으므로, 그리스도의 희생의 효력이 완전하고 영원하다는 것을 나타내기에 적절한 상징이다. 깨끗한 장소에 저장된 재는 주 예수님 안에 있는 공로의 저장을 나타내며, 죄로 인한 날마다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보존된 것이다. 가장 적은 분량의 재를 가지고도 죄를 깨끗케 하기에 충분하다. 유대인의 전통체는 유대 전 역사 가운데 단지 6마리의 암송아지가 요구되었을 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만일...암송아지의 재가...하물며 그리스도의 피가...”


죄로부터 깨끗케함



정교한 예식은 자신이 더럽혀진 것을 느끼고 그 정결케 하는 능력을 적용하는 사람에게만 가치가 있다. 그 정결케 하는 능력을 자신에게 적용하지 않는다면 그리스도의 피가 그리스도인의 더럽혀진 양심에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겠는가?


● 치료책으로의 접근


재는 쉽사리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보존되었고, 진 바깥의 깨끗한 장소에 있어서, 고통받는 이스라엘 사람이 지체하지 않고 정결케 하기 위해 하나님의 대책을 자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는 그가 갈망하는 양심의 평안을 얻기 위해 긴 순례 여행을 할 필요가 없었다. 여기서 다시 한번 실물이 모형을 능가한다. 의식을 행한 후에도, 더럽혀진 사람은 7일간 하나님과의 교제가 단절된가운데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갈보리 이후로는, 긴 소원(疎遠)의 기간이 필요치 않다. 그리스도의 피는 언제나 접근할 수 있으며, 우리가 믿음으로 적용하는 바로 그 순간 더럽혀진 양심을 깨끗케 해 주며, 즉시로 하나님과의 교제를 회복시켜 준다. 우리의 회복은 다윗이 경험했듯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윗이 나단에게 이르되 내가 여호와께 죄를 범하였노라 하매 나단이 다윗에게 대답하되 여호와께서도 당신의 죄를 사하셨나이다”(삼하 12:13).


● 치료책의 적용


적용하기 이전에, 재는 흐르는 물에 혼합되어야만 한다-이것은 언제나 그리스도의 중재 사역의 은혜를 우리 마음에 적용하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신 성령의 상징이다.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오염에 관해 의식하게 하시고, 그리스도의 피의 가치와 덕(德)을 나타내 주시는 분은 그 분이시다. 7번 뿌려진 피는 우리의 위대한 대제사장에 의해 하늘에 이루어진 성결에 관해 확신을 주지만, 제물이 더럽혀진 양심을 깨끗케 하는데 효력이 있도록 만들어 주시는 분은 성령이시다.

정결케 하는 물을 적신 우슬초는 믿음을 예표하는 것으로 적용되었고, 그 자체만으로서는 구원을 가져다 줄 능력이 없으나, 우리는 하나님의 무한하신 능력과 그의 대비책에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양심을 정결케 하는 놀라운 대책에 관하여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그것은 개인적으로 적용되어야만 한다. 우리는 죽은 행실로 부터 양심은 깨끗케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가? 우리 위의 하늘은 맑게 개었는가? 우리의 삶은 그리스도의 달콤한 향내를 드러내는가? 우리의 기도는 응답받고 있는가? 우리의 사역은 영적 열매를 맺고 있는가? 아마도 우리의 실패의 원인은 우리의 양심이 더럽혀졌고 우리 사역의 대부분이 죽은 행실인데 있다. 그러면 이제 깨어지지 않는 교제로의 회복을 위한 대책을 우리 자신에게 적용시키도록 하자. 언제나 접근할 수 있으며 영원토록 사용할 수 있는 그리스도의 피로 인하여 우리는 한 시간도 더 하나님과 분리되어 있을 필요가 없게 되었다. 다음의 말이 우리에 관해 말해지지 않도록 하자. ”들은바 말씀이 저희에게 유익되지 못한 것은 듣는 자가 믿음을 화합지 아니함이라”(히 4:2).



첫 언약이 있었으며 그 임무는 죄를 깨닫게 해 주는 일이라는 사실과 우리에게 그것이 없이는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그토록 필요한 새로운 언약이 올 수 없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다. 회심할 때에 사람들은 성령에 의해 죄를 깨닫는다. 이것은 주로 죄의식과 또 죄에 대한 혐오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 그러나 죄의 권세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과 죄를 버리는데 전적으로 무능하며 선한 일을 할 능력도 우리 자신에게 없다는 사실을 배우는 것은 단번에 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인간은 자기 스스로 자신을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킬 수 없으며 자신의 영혼을 살릴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될 때에야 비로소 새 언약의 진가를 알게 되며, 하나님께서 모든 것은 자기 안에 이루시도록 기꺼이 기다릴 수 있게 된다. 당신은 새로운 언약 가운데 충만하게 살고 있지 못하며 아직도 어느 정도는 당신 안에 있는 구약의 멍에 가운데 살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가? 오라, 그리고 구약이 당신 안에서 그 역사(役事)를 끝내도록 하라. 당신의 모든 노력은 실패라는 그 가르침을 받아들이라.

Andrew Murray




7. 내재하는 죄에 관한 교훈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열조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세운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파하였음이니라”(예레미야 31장 31절).


교회의 가장 큰 손실은, 옛 언약과 새 언약에 관한 영적 교훈에 포함되어 있는 진리의 풍성한 혈맥이 오늘날 실제로 개발되지도, 이용되지도 않고 있다는 것이다. 숨겨진 보물들을 채굴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언약인가 질문해 볼 필요가 있다.


언약의 정의



언약은 두 편 사이의 엄숙하고 구속력있는 상호간의 계약이다. 삶의 일상적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모두 계약과 언약에 친숙해 있으나, 성경 속에서의 많은 세월에 걸쳐 이 말은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히브리어 베리트는 ”쪼개진 제물을 통해서 협정을 성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관한 예화가 창세기 15장 9-10절에서 발견된다. 계약을 비준할 때에, 희생제물을 두개로 쪼개는 것이 습관이었다. 반쪽씩 두 제단의 양 편에 놓여졌고, 이 사이로 계약하는 사람들이 지나갔다. 예레미야는 이 의식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송아지를 둘에 쪼개고 그 두사이로 지나서 내 앞에 언약을 세우고 그 말을 실행치 아니하여 내 언약을 범한 너희를”(34:18). 의식은 언약에 엄숙함과 취소할수 없음은 더해 주었다.

언약이라는 말은 성경에 번번히 나타나며, 청교도 신학의 정수를 이룬다. 이것은 씩씩하고 용감한 스코틀란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계약자라는 이름을 부여해 주었다. 이 말이 신학(神學)형태에서 사라져 가고 있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우리 성경의 분류는 하나님께서 새 언약의 축복이 나타나지 않았던 동안에 옛 언약 밑에서 그의 백성들을 다루신 기록을 간직하고 있다는 사실에 따라 성경의 명칭이 붙여졌기 때문이다. 왜 언약이 필요한가 묻는다면, 대답은 간단하다. 그것은 인간들이 서로 신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언약이 필요하다는 바로 그 사실이 서로 간에 신뢰가 부족한 것에 대한 증거인 것이다. 우리는 그 말을 전적으로 신뢰하기가 어려운 사람에게 서명이나 엄숙한 계약을 요청한다.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친구들사이에는 기록된 계약이 필요치 않은 것이다.

사람들이 서로 믿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인간 사이의 이 언약을 아시면서, 하나님께서 그들의 수준에까지 내려오셔서 자신이 언약에 의해 속박되기를 동의하신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닌가? -마치 자신도 신뢰받을 수 없는 분인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겸손에는 어떤 목적이 있는 것일까?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상실된 신뢰를 되찾고 두려움 때문에 하나님의 임재를 떠나야했던 타락의 순간까지 존재했던 온전한 신뢰를 인간에게 회복시키기를 원하셨기 때문이다.


옛 언약의 특징



옛 언약을 몇 귀절로 묘사 또는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여호와께서 그 언약을 너희에게 반포하시고 너희로 지키라 명하셨으니 곧 십계명이며”(신4:13).

”너희가 이 모든 법도를 듣고 지켜 행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 열조에게 맹세하신 언약을 지켜 네게 인애를 베푸실 것이라”(신 7:12).

그 때의 옛 언약은 시내산에서 주어진 모세의 율법이었다. 새 언약을 이야기할 때, 예레미야는 그것을 구약과 대조시키며 모세의 율법과 동일시하고 있다. ”내가 새 언약을 세우리라...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열조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세운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파하였음이니라”(31:31-32).


-불완전성

히브리서 기자는 이 언약이 불완전하다고 말한다.

”율법은 아무 것도 온전케 못할찌라”(7:19).

”저 첫 언약이 무흠하였더면 둘째 것을 요구할 일이 없었으려니와”(8:7).

율법이 도덕 법전으로서 완전치 못했다는 것이 아니고, 그 축복이 인간의 순종이라는 조건에 달려 있고 인간은 그 높은 기준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불완전했다. ”나아오는 사람을 온전하게” 만드는 대신에 절망 가운데 돌려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바울이 갈라디아로 보내는 그의 편지에서 썼듯이, 그것은 그리스도께로 우리를 이끄는 몽학선생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무력함

그것은 또한 무력했다. ”율법이 육신으로 말미암아 연약하여 할 수 없는 그것을... ”(롬 8:3). 바울은 율법이 그 자체에 타고난 약점을 가지고 있다거나, 전장(前章)에서의 ”계명도 거룩하며 의로우며 선하도다”는 그의 말에 모순이 되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결점이나 약점은 율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육신에 있다. 우리가 실패의 원인이지, 율법이 아니다. 옛 언약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을 삼가해야 하고,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며, 어떤 사람이 되어서는 안되는지를 말해 준다. 그러나 비유에 나타나는 제사장이나 레위인처럼 우리는 길가에 거의 반은 죽은 채로 무력하게 버려두고 가버린다. 율법은, 그 자체는 완전한 반면에 우리 안에 그것이 명령하는 거룩함을 창조해내기에는 무력하다.


-불가능함

율법은 무력할 뿐만 아니라 전적으로 지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육신에 있는 자들은 하나님을 기쁘게 할 수 없느니라”(롬 8:8).

우리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개관하기만 해도 이 말씀에 대한 충분한 확증을 얻을수 있으며, 슬프게도 우리의 개인적인 간증 또한 종종 그 사실을 입증해준다. 우리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자 최선을 다했지만, 그리고 다시는 죄의 감언에 굴복치 않겠다고 결심했지만, 결국 또 다시 실패하지 않았던가? 이것은 우리가 하나님의 율법을 준행하지 않으려고(will not) 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할 수 없기(cannot) 때문이다. 율법의 요구는 너무 엄격하기 때문에 인간이 그것을 지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하나님께서는 왜 불가능하다고 알고 계신 것을 요구하고 계신가를 묻는 것은 합리적인 질문일 것이다. 이 질문은 하나님께서 율법의 언약을 주신 전체 목적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실때 하나님의 모든 속성을 가장 많이 닮게 하시며 자기 결정(self -determinati-on) 또는 자유의지를 부여해 주셨다. 완전하며, 그와 충만한 교제를 가질 수 있으며, 자신의 운명의 주인이 될 수 있도록 창조하셨다. 그러나 타락으로 창조주와의 관계가 깨어졌고 교제는 여지없이 깨어지고 말았다. 신뢰는 두려움으로 바뀌어졌다. 에덴 이후, 하나님은 인간을 죄의 결과로 부터 구하고, 이전의 상호 신뢰와 확신의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역사(役事)해 오셨다. 그는 물론 그의 능력의 말씀 한 마디로 이 일을 성취하실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인간은 자유 의지의 상실이라는 댓가를 치르게 된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언제나 인간의 인격의 존엄성을 존중하신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율법을 지킬 수 없다는 사실을 아시고 계시지만, 인간은 그 사실에 대해서 전적으로 무지하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인간의 구제하기 어려운 무능과 죄성을 가르치고 다시 한번 전적으로 하나님을 의지하게 하시기 위해서 이 방법을 택하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인간과 하나님의 뜻이 각기 올바른 위치를 찾을 수 없다.



-불가결함

이 언약은 인간의 영적 발전과 최고의 이익을 조장시키는 데 불가결한 것으로 보인다. 인간에게는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만족할만큼 과시해 볼 충분한 기회가 주어져야만 했는데, 옛 언약은 이 목적에 대단히 적합했다.


언약의 목적



그것은 간단히 말해서 인간에게 두가지의 위대하고 필수 불가결한 교훈을 가르쳐서 하나님과의 충만한 교제에 꼭 필요한 것에 정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첫째, 죄의 무시무시함과 무서운 능력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롬 3:20).

”율법이 가입한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롬 5:20).

”이는 계명으로 말미암아 죄로 심히 죄되게 하려함이니라”(롬 7:13).

질병이 치명적인 것을 환자의 감각으로는 판단 내릴 수 없다. 많은 치명적인 질병들을 고통의 감각으로 느낄 수 없다. 오히려 치료하는 의사가 측정한 방법에 의해서 그 심각함을 알게 된다. 마찬가지로 죄의 심각성과 중대함은 죽음을 초래하는 죄의 영향력을 구속(arrest)하신 갈보리에서 채택하신 방법에 의해서만 알 수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죄의 죄됨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구약(舊約)은 인간이 스스로의 힘으로는 그것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가르치기 위해 주어졌다. 언약을 지키고자 하는 인간의 최선의 노력이 갈보리의 비극에서 그 결실을 보게 되기 때문이다. 부활은 새 언약으로 안내한다.


둘째, 거룩함

그것은 아름다우며 뛰어나게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간이 스스로의 힘으로는 그것을 얻을 수 없다.

”이로 보건대 율법도 거룩하며 계명도 거룩하며 의로우며 선하도다”(롬 7:12).

”거룩함의 아름다움”(시 96:9)

구약은 하나님의 거룩함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있다-너무 높기 때문에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는 거기 도달할 수 없다. 그 기준이 완전하기 때문이다. 구약이 역사(役事)한 마음에는 회심이 일어난다. ”내가 거룩해져야만 한다면, 나는 도저히 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해 주셔야만 한다.” 이런 태도는 우리를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시키기 원하시는 성령님께 기회를 제공해 드리게 된다.


구약의 결과



"저희는 내 언약 안에 머물러 있지 아니하므로”(히 8:9).



”그들이 내 언약을 파하였음이니라”(렘 31:32).

옛 언약은 두려움을 동반하면서 임했으며, 백성들에게 엄숙하게 임했다.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내려 오셨을 때 산은 온통 연기로 가득했고 심하게 흔들렸다. 산을 둘러싼 짙은 어두움으로부터 나팔소리가 들렸고, 소리가 점점 커지면서, 십계명의 선포가 들려왔다. 멀리 떨어져서 무시무시한 두려움에 떨면서, 백성들은 모세에게 그들이 더 이상 음성을 듣지 않도록 간청했다.

그러나 하나님의 임재의 놀라운 광경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그 인상은 영구한 것이 아니었다. 계명이 선포되었을 때, 그들은 ”주께서 말씀하신 모든 것을 우리가 행하겠나이다”라고 쉽사리 동의했다. 그러나 심지어 모세가 돌판을 가지고 산에서 내려오는 동안에도, 이스라엘 민족은 첫째 계명을 이미 어겨 버렸다. 율법을 주신 하나님의 처음 행동도 은혜의 행동이었다. 만일 그렇지 않았으면 온 민족은 멸망했을 것이다.

구약 아래서 인간의 의무를 이행하고자 하는 계속적인 노력은 결코 성공하지 못했다. 구제할 수 없는 실패가 연속되었다. 하나님께서는 언약에 있어서 자신의 부분을 이행하기 원하셨으나, 인간들이 인간 쪽의 언약을 지키지 못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이행하실 수 없게 되었다.


구약의 교훈



"내 속 곧 내 육신에 선한 것이 거하지 아니하는 줄을 아노니 원함은 내게 있으나 선을 행하는 것은 없노라.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치 아니하는 바 악은 행하는도다”(롬 7:18-19).

하나님께서 그의 자녀들로 하여금 수치를 경험하고 쓰디쓴 패배를 맛보도록 허락하시는 것은 옛 언약이 그 일을 끝마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아직 자기절망(self -despair)의 지점까지 이끌어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기 향상(self-improvement)에 대한 희망이 아직도 사라지지 않았다. 아직도 언약을 자신의 힘으로 지켜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들은 주어진 교훈을 아직 체득하지 못한 것이다. C. I. 스코필드(Scofield)박사가 로마서 7, 8장을 설명하면서 7장의 패배로 부터 8장의 승리로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성 바울이 어찌 된 일입니까? 왜 선하게 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했을까요? 나는 선하게 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학급의 한 학생이 이야기했다.

”당신은 선하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한다고 봅니까?” 스코필드 박사가 물었다.

”깨끗한 삶을 살고, 정직하고, 빚을 갚고, 사람들을 옳게 대하고, 이웃이 궁핍할 때 구제하는 것입니다.”

”아, 성 바울은 그의 일생동안 이 모든 일을 했습니다. 어떤 신사들도 이런 일은 할 수 있지요. 바울이 선하게 되려고 애쓴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그런 것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스코필드 박사가 대답했다.

”그러면 무엇을 의미한 것입니까?”

그가 다소 놀라서 물었다.

”당신은 온유하기 위해 노력해 보았습니까?”

”아니오, 나는 온유한 사람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요? 그런데 하나님은 원하십니다. 그의 아들은 온유하고 겸손했습니다. 자, 내게 말해 보십시오 당신은 어떤 일이 일어나든지 간에 온유하기가 쉽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은 내 성미에 맞지 않아요. 나는 그런 식으로 자라지 않았어요.”

우리 거의 모두가 어떤 환경에서든지 온유하고, 인내하고, 오래참고, 겸손하며, 비판적이 아니고 비이기적이 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거룩한 기준에 이르는 것이 우리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과 최선의 노력도 단지 로마서 7장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의 고백으로 끝나고 만다는 구약의 가르침을 남김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많은 신자들이 새 언약의 시대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옛 언약 밑에서 살고 있다.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고는 선행으로 성화되고자 애쓰고 있다. 성령으로 시작해서 육신으로 온전케 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그들은 부분적으로는 육신적이고 부분적으로는 영적이며 점증하는 내적 투쟁을 안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부활절과 오순절 사이에 달라붙어 있다.”

하나님께서는 혼합된(mixed) 삶을 묵인하지 않으신다. 영적인 세계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 세계에서도 그것을 볼 수 있다. 황소는 당나귀와 함께 밭을 갈려고 하지 않는다. 농부는 혼합된 씨를 뿌리는 것을 허용치 않는다. 제사장의 예복은 부분적으로는 베로, 또 다른 부분은 모(毛)로 짤 수 없다. 이스마엘은 계집 종의 아들이므로 자유하는 여자에게서 난 이삭과 같은 지붕 밑에서 살 수 없었다. ”계집 종과 그 아들을 내어 쫓으라”는 것이 하나님의 명령이었다.

이 원리는 성경에 아주 명확한데도, 우리는 아직도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기에 대단히 지체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생활과 동기는 이상하게 섞여있다. 우리는 ”자신으로 부터 얼마와 하나님으로 부터 얼마간”을 가지기를 열망한다. 바로 우리의 겸손이 우리의 교만을 키우며, 친절이 자만심을 살찌우게 한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우리의 마음의 샘에서 솟아 나오는 더러운 것으로 오염되어 있다.



새 언약에 대한 예언



예레미야는 옛 언약의 기초 위에 살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해 철저하게 실망했다. 하나님의 조명하심으로 그는 옛 언약이 다른 것, 즉 옛 것의 모든 결점을 치료할 전혀 새로운 것으로 대치될 날에 대해 예언했다. 그것은 단순히 명령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력을 줄 것이며 단지 요구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력을 공급해 줄 것이다. 실패로 책임져 줄 대비책을 마련해 주며 그것은 보호될 것이다.

실망하고 패배한 신자는 하나님께서는 기꺼이 그를 구원해 주시려 하지 않으며 능력도 없으신 것이 아닌가 의심이 된다고 반대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그가 두려워 하는 것은 자신의 타고난 약점인 것이다. 새 언약이 마련된 것은 바로 이 약점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인 것이다. 우리가 연약하지 않고 우리 자신을 구할 수있다면, 구약으로 충분했을 것이다.

우리는 경험상으로 옛 언약아래 살고 있는지 새 언약아래 살고 있는지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가 아직도 구약아래 살고 있다면, 우리 삶은 노래보다는 한숨으로 특징지워질 것이다. 자주 승리하기보다는 정복당하며, 자유하기보다는 노예 상태로 지낼 것이다.

정복자가 되어야할 사람이 매어 있으며,

자유해야 할 사람이 노예로 있다.

삶은 평온하기 보다는 소란할 것이다. 우리는 왕자같은 인상보다는 거지같은 인상을 줄 것이다. 우리의 외모는 행복하기 보다는 소망이 없어 보일 것이다.

만일 이것이 우리 상태에 대한 참 진단이라면, 우리는 단번에 구약의 교훈을 받아들이고, 8장에 설명된 매력적인 새 언약으로 돌아서야만 할 것이다.



구약의 공식은 ”하지 말라”이다. 이 위대한 말씀은 번개의 섬광과 같이 인간으로 하여금 그의 존재 깊은 곳에 무엇이 있는가를 발견했다.- 이행하기에는 전적으로 무능력한 도덕적 의무, 마치 무질서(chaos)가 되돌아 오는 듯한 암흑과 절망. 신약의 공식은 ”내가 하리라”이다. 훨씬 위대한 말씀으로, 청명한 하늘처럼 훨씬 더 높으며 혼란 되지 않는 고요함(serenity)이며 하나님의 은혜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 대조적인 공식보다 더 명확하게 두 언약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없을 것이다. 한편은 도달하고자 하는 헛된 노력, 마음의 법과 지체의 법 사이의 갈등, 인간 존재의 중심에 불안을 초래하는 소망 없는 인중성에 대한 의식이다.-고귀하지만 치명적이다. 다른 편은 믿음의 안식 영적 능력이 위대하게 비축되어 있고 하나님의 이상(理想)과 인간의 삶의 실재가 은혜로 조화를 이룬다. 복음 아래서도 도덕적 의무는 존속한다. 그러나 그것은 새 생활의 더 높은 자유 안에서 해결된다. 파스칼이 말했듯이 ”율법은 줄 수 없는 것을 요구하고 은혜는 요구하는 모든 것을 준다.”  Great Texts of the Bidle




8. 자유에 관한 교훈



"또 주께서 가라사대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으로 세울 언약이 이것이니 내 법을 저희 생각에 두고 저희 마음에 이것을 기록하리라. 나는 저희에게 하나님이 되고 저희는 내게 백성이 되리라 또 각각 자기 나라 사람과 각각 자기 형제를 가르쳐 이르기를 주를 알라 하지 아니할 것은 저희가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나를 앎이니라. 내가 저희 불의를 긍휼히 여기고 저희 죄를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리라”(히브리서 8장10-13절).


하나님께서 구약을 주셨을 때에는 거기에 아무 결함이나 흠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프게도 이스라엘은 그것을 지키는데 실패하고 말았다. 고통을 일으키는 뿌리는 인간의 마음이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법에 심하게 반역한 데 있다. 바울이 말했듯이, ”육에 속한 자는 하나님과 원수가 된다.” 만일 하나님의 거룩하심이 요구하는 바를 만족시킬 수 없는 인간의 만성적인 무력(無力)에 대한 치료책이 있다면 그것은 적절한 원동력을 제공해 주어야만 하며, 인간 본성의 편견과는 반대로 활동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하나님께서 새 언약 속에 이루어 놓으셨다. 구약과 신약의 근본적인 대조를 분명하게 파악하는 것은 이 주제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언약들의 대조



구약은 사람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보여 주지만, 그것은 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질은 부여해 주지 않았다. 오히려 자신이 줄 수 없는 것을 요구했다. 반면에 신약은 모든 요구하는 것을 준다. ”오, 하나님, 당신이 명하는 것을 주소서. 그리고 당신이 원하시는 것을 명령하소서”라고 성 어거스틴(St. Augustine)은 기도 속에서 이 영광스런 진리를 표현했다. 마음과 근원(source)이 일단 바로 놓여지면 올바른 행동은 자연스럽게 흘러나온다.

구약은 스스로는 하나님의 법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인간의 최선의 노력도 무익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신약은 우리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모든 신뢰를 버리고 우리 자신을 남김없이 그에게 의뢰할 때 우리의 연약함과 약점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무엇을 하실 수 있고 무엇을 하시는가를 보여주신다.

구약은 기계적이고, 일과 예식에 대한 인간의 노력의 체계이다. 그들은 단지 ”육체의 예법만 되어 개혁할 때까지 맡겨 둔 것이니라”(히 9:10).

신약은 살아있는 내적 근원으로부터 솟아나는 생명력을 지닌 것이다. 그 차이는 나무의 성장과 집의 건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집은 밖에서 부터 한 부분 한 부분 건축된다. 나무는 안에서 부터 한켜 한켜 자라난다. 위엄이 당당한 나무는 안에 숨겨진 생명의 자연스러운 표현이다.

구약은 연구되었으며 그 교훈과 금지는 냉정하고 정확하게 진술되고 있다. 중심단어는 ”하라”와 ”하지 말라”이다. 순종이 요구된다. 신약은 자연적(spontaneols)이다. 은혜아래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순종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진정한 기쁨의 일이 되었다. 그는 하나님의 법에 순종한다. 그는 이제 그렇게 하고 싶은 경향과 사랑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심 단어는 ”하라”(Thou Shalt)에서 하나님의 ”내가 하리라”(I will)로 바뀐다.

구약은 돌비에 쓰여졌다. 그것은 외부로부터 부과된 엄격한 법이었고 실패에 대한 형벌을 가져왔다. 신약은 육의 심비에 쓰여졌다. 이것은 하나님의 뜻을 행하고자 하는 욕망과 능력이 신자의 내면 깊숙이에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그의 두번째 천성(nature)이 되고 그의 선택과 욕망의 원천이 된다. ”그(예수)의 기쁨은 주의 법에 있었다.” 그의 주님처럼 그도 이제 ”오 나의 하나님, 내가 당신의 뜻 행하기를 기뻐하나이다”라고 말할 수 있게 된다.

요약컨대, 구약이 요구하는 모든 것을 신약은 제공해 준다. 옛 것의 모든 결점은 인간 본성의 연약함이 원인이 되는데, 신약 안에서 그 치료책을 발견한다.

이 새 언약은 이스라엘의 집과 유다의 집과 더불어 세운 것이므로(렘 31:31) 어려움을 느낄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말씀으로 인해 이 시대의 이방 신자들은 그 은혜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주장할 지도 모르겠다. 타당성이 있는 반론이기는 하나 그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갈라디아서 3장 28-29절에서 찾을 수 있다.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주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너희가 그리스도께 속한 자면 곧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니라.”

그리스도와의 생명력있는 연합을 통해 우리는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주어진 모든 약속을 영적으로 성취하는 상속인이 될 수 있다. 아브라함은 그의 세상적인 자손에 대해 ”바다의 모래와 같이” 될 것이라는 약속과 영적 자손에 대해 ”하늘의 별과 같이”(창 22:17) 되리라는 약속을 받았다. 우리는 그의 영적 자손으로서 모든 새 언약의 축복을 받는 상속인이 된다.



새 언약의 특성들



-용서함

새 언약의 첫째 가는 근본적인 특성은 용서이다.

”(왜냐하면) 내가 저희 불의를 긍휼히 여기고 저희 죄를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리라”(히 8:12/비교; 렘 31:34)고 하셨기 때문이다. 이 귀절 서두의 ”왜냐하면”은 그것이 앞의 모든 내용에 기초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양심을 깨끗케하는 것과 죄 용서함을 받는 것은 교제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기초를 이룬다. 하나님의 긍휼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곳에서는 은혜의 자리에 이르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두 언약사이의 놀라운 대조를 주목하라.

”그러나 이 제자들은 해마다 죄를 생각하게 하는 것이 있나니”(히 10:3).

”내가... 저희 죄를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리라”(히 8:12).

그의 용서의 풍부하심을 생각해 보라.

”내가 자비롭게 여기겠다.”

그의 이해의 풍성하심을 생각해 보라.

”그들의 불의와 죄.”

그의 취소하지 않으심을 기뻐하라.

”더이상... 아니하리라.”


-성화

두번째 특성은 성화이다.

”... 새 마음을 너희에게 주되 너희 육신에서 굳은 마음을 제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며 또 내 신을 너희 속에 두어 너희로 내 율례를 행하게 하리니 너희가 내 규례를 지켜 행할찌니라”(겔 36:26-27).

”내 법을 저희 생각에 두고 저희 마음에 이것을 기록하리라”(히 8:10).

죄 용서함이 새 언약의 근본적인 확신이라면, 성화는 중심적인 약속이다. 더이상 율법은 돌비에 쓰여지지 않고, 믿는 사람의 육의 심비에 쓰여진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마음 깊숙이에 그의 뜻을 행하고자 하는 욕망을 주신다.

”내가 여호와인줄 아는 마음을 그들에게 주시겠다는 것이 약속이다”(렘 24:7).

이것은 하나님의 영의 주권적이고 초자연적인 활동이다. 하나님께서 과거에 역사하신 기적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우리는 종종 우리의 삶에 그가 역사하실 것을 기대하는 것은 이상하게도 주저하고 있다. 우리의 불신앙으로 그를 제한함으로써 그는 불가피하게 우리 안에 놀라운 변화를 일으키실 수 없게 되고 만다.

두 언약이란 책에서 앤드류 머레이(Andrew Murray)박사는 마음에 쓰여진 하나님의 율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아름답게 설명하고 있다.



”율법이 마음에 쓰여진다는 생각은 때로 어려움과 낙심을 초래한다. 신자들이 자신들 속에서 거기에 해당하는 무엇을 보지도 느끼지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예화가 이 어려움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즉시 혹은 나중에도 눈에 보이지 않다가, 태양빛을 쪼이거나 화학액에 닿았을 때에는 보이게 되는 액체가 있다. 그 액체로 글씨를 쓰면 쓴 글씨는 거기 있지만 모르는 사람은 글이 쓰여진 것을 생각할 수 없고 어떻게 그것을 읽을지도 알지 못한다. 비밀을 알고 있는 믿음의 사람은 비록 그것을 볼 수 없다 하더라도 그것이 거기 있다는 것을 안다.

새로운 심령도 이와 같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법을 그 안에 넣어 주셨다. ”마음에 하나님의 법이 있는 자는 복이 있도다.” 그러나 보이지 않게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약속을 믿음으로 취하는 사람은, 그것이 자신의 마음 속에 있다는 것을 안다. 이 점에 대해 분명한 믿음이 없는 사람들은 그것을 찾기 위해 수고하고 율법을 지키려 하겠지만 결국 헛수고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단순한 믿음으로 약속을 굳게 잡을 때, 그것을 깨닫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우리 느낌에 하나님이 우리 마음에 그의 법을 쓰셨다는 증거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불신앙에 의해 그것이 우리에게 이루어질 것이다. 반대로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그 위에서 행할 때, 그것이 우리 경험 가운데 진실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하나님께서 참나무의 마음(heart)에 그의 법을 쓰셨으므로 그것은 언제나 나무의 품종에 맞는 열매, 도토리를 맺는다. 전나무는 언제나 그 안에 쓰여진 법을 순종하여 전나무 열매를 맺는다. 철새는 언제나(심지어 지구를 우회하게 될 경우가 있을지라도) 그 마음에 쓰여진 법에 순종한다. 동일한 하나님께서 믿는 자의 마음속에 그의 법을 기록하셔서, 기꺼이 순종하게 하실 수 없다고 단언하는 만용이 있을 수 있겠는가?

새 언약의 하나님은 과거를 용서하실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위에서 부른 부르심에 합당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적절한 능력을 보증해 주신다. 이런 방법으로 구약의 요구는 신약의 대책(provision)에 의해 충족된다.


-연합

세번째 특성은 연합이다.

”나는 저희에게 하나님이 되고 저희는 내게 백성이 되리라”(히 8:10).

하나님의 그의 자녀에 대한 사랑은 한 두가지 축복을 보내시는 정도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주신 사랑이다. 그는 자신과의 생명력있는 연합으로 그들을 이끌고 그 안에서 그들이 하나님께 기대하는 모든 것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씀하신다. 탕자의 아버지의 말에서 하나님께서는 말씀하시기를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다”라고 하신다. 그는 우리에게 온전히 충족한(ail-sufficient) 하나님이 되신다.


-조명

마지막으로, 새 언약은 조명을 약속한다.

”또 각각 자기 나라 사람과 각각 자기 형제를 가르쳐 이르기를 주를 알라 하지 아니할 것은 저희가 작은 자로 부터 큰 자가지 다 나를 앎이니라”(히 8:11/ 비교; 렘 31:34).

이것이 오순절의 현저한 특징이 아니었는가? 외적인 가르침보다는 내적 조명이었다. 성령을 받은 사도들의 손에 들린 구약은 이제 새로운 빛으로 빛났다. 모든 것이 그리스도를 가리키고 그리스도에 관해 말하는 것으로 보였다. 하나님께서 각 신자들에게 가장 높은 사람뿐 아니라 가장 비천한 사람에게도 가장 잘 아는 분이 되어 주시겠다는 것이 약속이다. ”가장 낮은 자에게 높은 자까지 다 나를 알리라”. 이 언약은 얼마나 보배로운 특권을 지니고 있는가-위대한 교사에게 개인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성령에 의해 개인적인 지시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이미 새 언약의 첫번째 특성인 죄 사함을 믿으며 즐기고 있으나, 모든 사람이 다른 3가지 안에 있는 그들의 몫을 요구하는데까지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죄를 용서하시는 것에 관한 언약을 이루시도록 하나님을 의지할 수 있다면, 그가 우리 마음에 그의 법을 기록하시겠다는 약속을 지키실 것을 믿기를 왜 주저하겠는가? 이스라엘 민족이 약속의 땅에서 쫓겨난 것은 그가 약속하신 것을 이루시는 신실하심을 믿지 아니한 바로 그 죄 때문이었다.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찌니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찌라도 너희 중에 혹 미치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히 3:19, 4:1).


언약의 보증인



보증인이란 약한 친구를 편들어 주는 사람이다. 그는 일이 충실하게 이행되며 재정적 의무가 제 시간에 지켜질 것을 보증한다. 우리 주님은 우리에게 이런 보증의 관계에 서 계신다. ”이와같이 예수는 더 좋은 언약의 보증이 되셨느니라”(히 7:22).

하나님께서 그의 언약을 지키실 것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하나님께서는 보증이나 보증인을 필요로 하시지 않으시지만 우리는 필요로 한다. 우리 스스로는 무력하고 연약하다. 이것을 아시고 대제사장 되시는 우리 주님께서는 하나님의 뜻에 대한 우리의 순종을 확고히 해 주실 것을 의무로 삼으시겠다고 제안하신다. 그러나 그는 한가지 조건하에서만 그렇게 하신다-우리가 일방적인 노력과 자기 수고를 포기하고 우리 자신을 남김없이 그에게 의탁할 때이다. 우리의 신뢰에 대한 반응으로 그는 기적을 행하신다. 그러나 우리가 그를 신뢰할 때까지는 도우실 수 없는 것이다.

L. L. 레그터스(Legters)는 보증인의 역할에 대해 실감나게 예화를 들었다. 한사람이 급히 1,000파운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는 은행 대리에게 그 금액을 대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은행 대리가 보증인이 될 수 있는 사람의 이름을 대라고 했을 때, 내세울만한 보증인이 없었기 때문에 결국은 불친절한 대접을 받으며 은행을 나와야 했다. 절망 가운데 그는 부유한 친구에게 그의 사정을 이야기 하고 함께 그 은행으로 갔다. 전의 그 은행원이 그들을 맞이 했는데, 태도가 전과는 너무도 달라져 있었다. 그의 친구는 사무원에게 자기 대신에 1,000불을 줄 것을 지시했고, 그는 이의없이 그렇게 했다. 차용인은 그의 친구가 배서(背書)한 어음에 서명을 했다. 1,000파운드 어음을 가치있게 만든 것은 차용인의 서명이 아니고 보증인인 친구의 서명이다.

불행히도 이 사람은 낭비가였다. 오래지 않아 돈은 다 없어졌고 다시금 곤란을 받게 되었다. 게다가 멀리 떨어진 도시에서 그의 아내가 몹시 앓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 그는 그녀에게 갈 여비조차도 없었다. 어음은 만기가 되어서 지불요구를 받게 되었다. 절망가운데 그는 일을 구해서 그가 번 1파운드를 가지고 은행으로 달려갔다. 은행원은 그의 돈 1파운드를 밀어 제치며 1,000파운드와 그에 대한 이자를 요구했다. 빚을 갚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변명도 은행원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했다. 그의 아내는 죽어가고 있다. 드디어 비참한 절망 가운데, 그는 다시 한번 그의 친구를 찾아가 모든 것을 이야기했다. 다시 한번 그들은 그 은행에 가서, 친구는 치뤄야할 돈에 해당하는 개인 수표를 건네주고 채무자에게 해결된 어음을 돌려 주었다. 보증인으로서 친구는 뛰어나게 의무를 이행했다. 나아가서 그 친구는 고민하고 있는 사람에게 그의 아내를 만나러 갈 충분한 여비를 주었다.

그러면 왜 그 친구는 이 일을 전에는 할 수 없었을까? 왜 그는 자기 친구가 이처럼 고통스러운 경험을 맛보도록 내버려 두었는가? 자기 친구는 빚을 갚으려고 애쓰고 있었고 그에 대한 필요를 고백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가 필요를 고백하고 도움을 구할 때까지는 그의 보증인은 그를 위해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도움을 구했을 때 오직 그때에만 친구는 그를 위해 중재할 수 있었다.

주님 홀로만이 하실 수 있는 것을 우리가 하고자 애쓰기 때문에, 그리스도께서 언약의 보증인으로서의 그의 직무를 이행하실 수 없을지도 모른다. 율법과 은혜의 차이에 대해 지적(知的)으로는 명확하게 알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하다. 그리스도인 삶의 위대한 비밀은 율법의 지배에서 전적으로 빠져나와 은혜의 지배 밑으로 전적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구약 밑에서는 양편이 모두 그들의 역할을 해야 했다. 만일 어느 한 편이 실패하면, 언약은 깨어진다. 인간은 율법을 범하고 언약을 파괴했다. 그러나 새 언약아래서는 오직 한 쪽만이 책임을 지고 있다.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맡으신다. 반복되는 하나님의 말씀 ”내가 하리라”를 주시해 보라. 만일 인간이 믿음으로 하나님께서 주신 것을 받는 것외에 다른 의무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더 이상 거저 주시는 은혜가 아닐 것이다. 그것은 ”더 나은 언약”이 될 수 없을 것이다. 구약의 ”순종한다”가 새 언약에서는 ”믿는다”로 바뀌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순종은 아직도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은 믿음의 순종이다. 우리가 해야 할 몫은 하나님께서 우리 마음에 그의 법을 기록하셨으며 우리로 하여금 순종할 수 있게 해 주실 것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믿는 것이다.


언약의 조건들



역사적 사실로서의 옛 언약이 새 언약으로 변천된 것은 서서히 점차적으로된 것이 아니고 역사상의 가장 놀라운 한 사건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스도께서 피를 흘리심으로 옛 언약을 종결시켰고, 오순절 성령강림은 새 언약으로 안내해주었다. 한 놀라운 사건을 위한 준비는 서서히 오랫동안 이루어졌으나, 사건 그 자체는 지성소의 휘장이 찢겨질 때 나타났듯이, 순간적인 일이었다. 그리스도의 죽음이 구약의 무효력과 불충분함을 말해 주는 반면에, 오순절은 신약이 쓸모있게 되도록 해 주는 모든 것을 전해주고 가까이 가져다 주었다.

새 언약의 매력적인 축복과 자유가 어떻게 개인적 경험이 될 수 있게 되는가? 우리가 그것을 누리지 못하고, 아직도 구약의 경험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꺼이 자백할 때까지는 그것을 구하지 않을 것이며 사유(私有)할 수도 없을 것이다. 양심의 고소와 가족들과 동료들이 우리에 관해 알고 있는 사실만으로도 우리를 하나님 앞에서 낮추기에 충분하다. 우리는 하나님의 요구하심이라고 알고 있는 것조차도 행할 능력이 없음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새 언약에서 영적인 삶의 모든 필요를 위한 모든 준비 -죄로 부터 정결케 된 마음, 하나님의 뜻을 행하고자 하는 마음, 성령의 내주를 준비해 놓으셨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고 계신 모든 무거운 짐과 죄는 반드시 끊어 버려야 한다. ”내가 내 마음에 죄악을 품으면 주께서 듣지 아니하시기”(시 66:18) 때문이다. 그리고 새 언약의 성취가 우리 안에 이루어지도록 믿음으로 요구해야 한다. 우리 눈은 언약의 약속보다는 보증인이신 주님께 고정될 것이다. 우리가 그를 믿는 믿음에 의지할 때, 그의 피로 인쳐 놓으신 새 언약의 축복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내가 어떤 일을 진실이라고 생각하고 안하고 하는 것이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아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어려운 일이다. 만일 어떤 것이 사실이라면, 그것은 사실로 만드는 것은 그러한 간주가 아니며, 만일 거짓이라면 진실로 간주한다고 해도 여전히 거짓인 것이다. 많은 명색뿐인 신자들(so-called believers)에게 있어 간주한다는 것은 단지 상상하는 것이고, 쉽사리 믿어버리는 경신(輕信)과 자기 자신의 상상으로 자신을 기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생각은 간주한다는 말 뒤에 숨겨져 있는 참 의미를 전적으로 잃어버리게 한다. 단순하고 공허한 상상은 믿음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하나님이 말씀을 성취된 사실로 간주하는 것 그것이 바로 믿음의 핵심이요, 본질이 되는 것이다

1. 첫째로 그것은 하나님의 능력, 사랑, 신실하심에 드리는 믿음의 공물(貢物)이다.

2. 그것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신실한 약속 자로 보이시도록 간접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믿음의 도전이다.

3. 그것은 축복을 기대하면서 기다리는 믿음의 자세이다.

4. 그러므로 그것은 불신(不信)이 하나님 위에 두었던 제한을 제거해 준다.

5. 그것은 선하게 약속하신 것을 충만히 받기 위해 마음을 여는 것이다.

6. 그것은 적극적인 순종의 기초이며 마음으로부터의 자기 포기이다.

7. 평화롭고, 소망에 가득차 있으며, 적을 용감히 이겨낼 수 있는 비결이다.

A. T. Pierson




9. 승리에 관한 교훈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하리요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뇨? 죄가 너희를 주관치 못하리니 이는 너희가 법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음이니라”(로마서 6장 1, 14절).


"아, 그러면 우리의 적들은 외칠 것입니다. 「우리는 타협없는 율법의 지배 아래있지 않고 관대한 은혜의 지배 밑에 있으니 마음놓고 죄를 지어도 된다고 하지 않을까요」라고 그럴 수 없습니다 !” 믿음으로 의롭게 되는 것이 계속 죄를 짓도록 권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바울은 답변인 로마서 6장 15절을 A. S. 웨이(Way)는 이와같이 해석했다. 6장 전체는 칭의된 사람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생명에 연합되었기 때문에, 의지적으로 계속 죄를 짓는 것이 그에게는 불가능하다는 것으로 그 주장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은혜는 죄와 합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며, 죄의 용서없는 적이며 파괴자라고 사도는 주장한다.

이 장의 서두의 질문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뇨?”에 대해 4가지 답변이 제시된다.


-”그럴 수 없느니라. 왜냐하면 그리스도와 합하여 졌기 때문이다(1-2절)”고 바울은 논증하며,

-”그럴 필요가 없다. 죄의 통치권이 은혜에 의해 깨여졌기 때문이다(12-14절”고 바울은 호소하며,

-”그래서는 안된다. 그렇게 되면 죄가 다시 왕노릇하게 되기 때문이다(15-19절)”고 바울은 명령하며,

-”그러지 않는 것이 좋다. 그것은 재난으로 끝나게 되기 때문이다”(20-23절)고 바울은 경고한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내재하는 죄의 세력 -”내 안에 거하는 죄”를 의식한다. 그들은 옛 사람과 새 사람 사이의 끊임없는 전쟁을 예민하게 알고 있다. 때때로 그의 노력은 성공적이지만, 그러나 더 많은 경우 전쟁은 우울한 실패로 끝나고 만다. 죄에 대해 승리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을 써 보지만, 그러나 성공하지 못한다.

어떤 사람들은 옛 자연인의 삶을 정복하고 복종시키려 하며, 그런 목적으로 갈등하고, 싸우고, 금식하곤 기도한다. 때때로 그들은 성공한다. 그러나 실패가 더많다. 그 결과 인간의 자원은 소망없고 부적당하다는 것이 증명된다.

어떤 사람들은 엄격한 자기 훈련과 자기 부인으로 그것을 길들이고 굶주리게 한다. 이러한 훈련은 유익한 결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승리를 가져오지는 못한다.

또 어떤이들은 승리는 그리스도께 항복하고 복종하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이 면에 있어서 그들은 전적으로 옳다. 왜냐하면 그것이 없이는 승리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이 알기에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대로 이와같이 굴복하지만, 굴복된(surrendered) 그리스도인이 패배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다는 의심할 바없는 진리를 결국 발견하고 만다. 굴복은 단지 소극적인 것이고, 성화되는 것은 굴복에 의해서가 아니고, 우리가 받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 다른 사람들은 전적인 헌신의 시간에 옛 성품은 뿌리와 가지가 근절되고, 악을 향한 취향은 영원히 제거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그들의 헌신의 정도가 누리는 축복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그것은 결코 죄를 지을 가능성을 초월할 만큼 그들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비록 패배 가운데 만족하는 것보다는 훨씬 나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방법들은 원하는 결과를 가져다 주지 못한다. 이 장은 문제에 대한 열쇠를 제공해 준다. 옛생활은 죽음 그리스도의 죽음에 의해 철저하게 종결되어야 한다.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세(침)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침)례 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뇨?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롬 6:3, 6).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에는 양면이 있다는 것과, 그러므로 그들이 구원의 한 면만을 누리고 있다는 것을 아직도 배워야만 한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리셔서 은이나 금으로가 아니고 그의 보배로운 피를 흘리심으로 구속하신 것을 알았던 날은 얼마나 놀라운 날인가. 이것이 십자가 사역의 한 면이다-대속이라는 말은 그가 나를 사랑하사 나를(위하여)(대신해서) 자신을 주셨다는 말을 요약한 것이다. 우리가 그리스도인 삶에 있어서 얼마만큼 진보를 보였든지간에, 우리 믿음의 이 영광스러운 기본 사실을 벗어나서는 안된다.


나의 모든 죄는 그(Him)위에 놓여졌고,

예수께서는 나무 위에서 그것을 지셨으며,

그것을 아시는 하나님께서 예수께 그것들을 얹으셨고,

믿음으로 우리는 자유하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것은 십자가의 의미를 남김없이 이야기 해 주지만, 그러나 대단히 중요한 진리가 더 있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해 죽으신 것은 죄의 형벌로 부터의 구원을 확보해 준다. 그러나 성령은 그가 나를 위해 죽으셨을 뿐 아니라, 나로서(as me)죽으셨다고 가르친다. ”내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혔나니 그런즉 이제는 내가 산 것이 아니요 오직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신 것이라”(갈 2:20).

”내가 십자가에 못박혔나니”의 동사는 실제로 시제가 부정(不定) 과거형이며 과거에 이미 이루어진 어떤 것을 이야기한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있어서 그리스도와 동일시되는 진리이다. 그리고 이것은 대속의 진리만큼 명확하게 가르쳐져야 한다. 바울의 경험에서 이 진리는 신앙으로 믿어지고 받아들여지는 것이었으며, 죄의 권세로부터의 완전한 해방을 가져다 주었다.


해방의 방법-알다(3-11절)



죄로 부터 구원(deliverance)되는 체험을 하기 위해서는 성경에 나타난 몇가지 사실들을 이해해야만 한다. 우리 자신을 죄에 대해서 죽은 자로 여기라는 것을 자주 강조하는데, 이것은 간주할 토대를 이루는 사실을 아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간주하기 보다는 상상하는 것이 될 것이다-진실을 진실로 여기는 대신에, 진실이 아닌 것을 진실로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 자신을 죄에 대해 죽은 자로 여겨야 되는데 이것은 죄에 대해서 죽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리스도와 연합된 우리는 이미 죄에 대해 죽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둘 더하기 둘이 넷이기 때문에 그렇게 여기는 것처럼 우리는 그 사실대로 여길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옛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혔다는(롬 6:6) 하나님께서 계시해 주신 사실을 안다면 그렇게 여기는 것은 힘들 것이 없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이것을 납득하지 못했다면 그렇다고 여기는 것은 불가능해 진다.

어떤 사실을 우리가 알아야만 하는가? 그것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세례(침례)의 의미(3절)와, 중생하지 못한 자아인 ”옛 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못박혔다는 것(6절)과, 우리가 전혀 새로운 유형의 삶을 즐길 수 있도록 그의 부활에 있어서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연합되었다는 것(4절)이다.

죄의식과 죄의 형벌로 부터 구원(deliverance)받는 방법과 죄의 권세로 부터 구원받는 방법을 비교해 보는 것은 도움이 된다.

우리는 어떻게 죄의 형벌로 부터 구원받았는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셨다는 것을 믿음으로써이다. 어떻게 그가 우리를 위해 죽으셨다는 것을 알 수있는가? 물론 우리가 그것을 느끼기 때문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가 우리를 위해 죽으셨을 때, 우리가 그것을 볼 수 있도록 거기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정확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의 증거를 받아들이고 믿고 의지할 때, 우리는 죄용서의 확신을 누리게된다.

어떻게 하면 죄의 세력과 횡포로부터 구원(deliver)받을 수 있을까? 우리가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는 것을 믿음으로써이다. 그러면 어떻게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가? 물론 그것을 느끼기 때문이 아니다. 느낌은 그 반대를 증명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사실과 행동에 대한 정확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의 증거에 우리 믿음을 둘 때 우리는 죄에 대한 승리의 기쁨을 누리게될 것이다. 우리의 믿음은 변화되는 감정 상태에 있지 않고, 변치않는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히는 것은 소수의 뛰어난 신자들만 이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비록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닐찌라도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해당되는 사실이다. 우리가 사실을 의식하는 것과 상관없이, 우리는 그리스도와 연합되었고 십자가에서의 그의 죽음에 그리스도와 동일시 되었다는 것을 하나님께서 선언하신다.

어떤 의미에서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다는 것이 사실인가? 그 대답은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 이해함으로 찾을 수 있다. ”그리스도 안”이라는 말은 우리가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되었기 때문에 그(Him)안에 있는 모든 것과 그가 죽음과 부활로 성취한 모든 것이 우리 것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게 일어났던 모든 일을 하나님께서는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일어났던 것으로 여기신다.

신약성경은 비록 보이지 않는다 할찌라도 신자는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한 몸을 이루고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이 연합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상징가운데 포도나무와 가지의 비유가 있다. 포도나무와 가지는 동일한 생명을 나눈다. 유기적으로 하나이다. 또 다른 상징은 머리와 몸이다. 그리스도는 머리되시고 신자는 그의 신비로운 몸의 지체이며 동일한 초자연적 삶을 함께 나누고 있다. 신랑과 신부의 친밀한 상징이 있는데, 그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와 결혼할 것으로 되었기 때문이다(롬 7:4). 이러한 상징들은 그리스도와 우리 사이에는 신비롭지만 생명력있는 연합이 있다는 것을 확신시켜 준다.

히브리서 기자는 이 신비로운 연합에 관해 더 깊은 설명을 하고 있다.

”이 사람의 어떻게 높은 것을 생각하라 조상 아브라함이 노략물 중 좋은 것으로 십분의 일을 저에게 주었느니라. 또한 십분의 일을 받는 레위도 아브라함으로 말미암아 십분의 일을 바쳤다고 할 수 있나니 이는 멜기세덱이 아브라함을 만날 때에 레위는 아직 자기 조상의 허리에 있었음이니라”(히 7:4/9-10).

로마서 6장을 설명하면서, 유명한 중국인 성경 교사인 윌치만 니(Watchman Nee)는 이런 질문을 제기했다.

”만일 당신의 증조부가 3살에 죽었다면, 당신은 어디 있겠는가? 당신은 그 안(in him)에서 죽고 말았을 것이다. 당신의 경험은 그의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 두셨고 그리스도를 다루셨을 때, ”그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다루셨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혔을 때, 우리가 그 안에 있기 때문에 우리도 십자가에 못박힌 것이다. 그가 죽으셨을 때, 그의 몸의 모든 지체(손과 발과 머리 등)도 죽었다. 이와같이 그것은 그의 신비로운 몸의 지체인 모든 사람에게 해당된다.

그러나 우리는 그의 죽으심에만 동일시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부활과 그 결과로 오는 모든 축복(6:5, 8)에도 동일시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새 생명 가운데 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는 것은 바로 이 사실이다.


해방의 전유(專有) -여기라(12-14절)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고 그와 함께 다시 살아날 것이 사실이라면 이 이루어진 사실의 혜택을 우리가 어떻게 얻을 수 있겠는가? 바울의 대답은, '여김으로써'이다. 이것은 수학자의 말이며 참된 사실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감정과는 상관이 없다. 이 사실을 의심한다면, 그렇게 여기는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중국인 교사(윌치만 니)는 이 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사실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만일 내가 미쓰 D가 되려고 하고, 그녀로 가장하려면 나는 내 자신에게 종일 말해야 한다. 「당신은 미쓰 D입니다. 이제 당신이 미쓰 D인 것을 명심하십시오.」 아무리 많이 그렇게 여긴다 할찌라도 방심하고 있을 때 누군가가 「미스터 N」하고 부른다면, 나는 대답하게 될 것이다. 내가 미스터 N이므로 나 자신을 「미스터 N」이라고 간주하는데는 어려움이 없다. 나는 잠을 자고 거기 관해서는 모두 잊지만, 그것이 사실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잊고 있을 때나 내가 그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때나 그것은 분명하다. 그것은 내 기억이나 여기는 것에 달려있지 않다. 누군가가 「미스터 N」하고 부르면 나는 자연적으로 반응을 보일 것이고, 다른 사람의 이름이 불려질 때는 나는 신경쓸 필요도 없이 대답을 회피할 것이다. 그 이유는 내가 미스터 N이라는 것을 충분히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내가 누구인지를 알므로, 자연히 나를 그렇게 간주한다(나로서 간주한다). 로마서 6장 6절은 로마서 6장 2절에 선행한다. 성경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경험에 있어서 또한 그러하다.”


-우리가 무엇을 간주해야 하는가?

우리는 죄에 대해 죽었다. ”그렇지만 죄에 대해 죽었다고 느껴지지 않아요”

우리의 의식은 이의를 제기한다.

”어떻게 내가 죄에 대해 죽었다고 간주할 수 있나요?”

성경은 우리가 현재 죄에 대해 죽었을 뿐 아니라 미래에도 그러함을 확언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안다. 그것을 느끼기 때문이 아니라 거짓말 하실 수 없으신하나님께서 사실로서 선포하고 계시기 때문이다. 죄가 우리 안에서 죽은 것으로 여기도록 권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주목하라-우리는 고통스럽게도 그 반대의 증거를 가지고 있다-즉 우리가 죄에 대해 죽었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은 우리가 이 사실을 의지할 때 우리 경험 가운데 실현이 된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옛 중생치 못한 자아에게 하신 일을 믿고 동의하며 옛 자아에게 내리신 죽음의 선고에 동의하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다. 죄의 성품에 대항해서 더 이상 투쟁할 필요가 없다. 그것은 십자가에서 이미 종결되었기 때문이다. 그 폭군적 권세는 단번에 깨어졌다.

성경의 어떤 곳에서도 우리가 우리 자신을 십자가에 못박도록 권면하고 있지 않은데, 거기에는 2가지 상당한 이유가 있다.

첫째로,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힌 것은 언제나 과거 시제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십자가는 스스로 과할 수 있는 죽음의 형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우리에게 그렇게 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혔을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그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힌 것으로 보셨다. 왜냐하면 그가 죽으실때, 우리도 ”그 안(in Him)”에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믿음이 이 귀한 진리를 굳게 잡을 때, 우리는 죽은 사람이 그렇듯이 끊임없이 괴롭히는 죄의 유혹에 대해 둔감해진다. 우리 편의 어떤 공로 때문이 아니고 그의 십자가의 권능으로 말미암아 죄는 쇠퇴되고 전적으로 무력해진다.

그러나 우리는 묘지의 분위기 속에 살아서는 안된다. 죽은 사람은 하나님을 섬길 수 없으므로 사도의 권고의 두번째 부분이 있다.

우리는 하나님께 대해 살아 있다. 갈보리로 부터 그중의 흐름이 흐르고 있다-죄의 지배를 종결시키는 죽음의 흐름과 거룩한 삶의 능력을 주는 생명의 흐름이다. 자유케된 신자는 이제 자신을 모든 거룩한 것에 대해서는 산 자요 모든 죄된 것에 대해서는 죽은 자로 여긴다. 세상에 대해 십자가에 못박히고, 교회에 대해 살며, 춤에 대해서 죽고, 기도회에 대해 산 자로, 그리스도의 부활의 생명을 전유(專有)하면서, 우리는 바울과 함께 말할 수 있다.

”내게 능력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하나님을 위한 어떤 사역이 우리에게 맡겨졌을 때 더 이상 무력하게 ”나는 할수 없다”고 부르짖을 필요가 없다. 우리는 새 명령이 제시하는 것처럼 조용한 확신 가운데 우리 자신을 ”하나님께 대하여 산 자”로 여기게 될 것이며, 우리의 감정과 지성은 신적인(divine) 삶으로 가득차게 될 것이다. 성령께서 우리를 이 ”이중 간주”로 인도해 가실때 말로 다할 수 없는 축복의 전망이 우리 앞에 열릴 것이다.

죄는 우리가 그 죄가 지배하도록 허락하는 한에 있어서만 우리 삶을 지배할 것이다. 우리는 더 이상 숙명에 붙들려 있지 않다.

”죄가 너희를 주관치 못하리니”

”죄로 너희 죽을 몸에 왕노릇 하지 못하게 하라.”

본질적으로 죄는 전혀 무력하다.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박힌 목적은 ”죄의 병기였던 몸이 무력해지고 의의 병기가 되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되고

또한 그와 함께 다시 살아났으니,

내가 할 일이 무엇이 남아 있겠는가?

단지 갈등과 투쟁을 그치고

단순히 새 삶 가운데 행하는 것 외에는.

하나님께 영광이 있을찌어다!


영광스러운 머리되시는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아나,

거룩함이 이제는 내가 밟는 길이 되었고,

그 길을 걷는 동안 거기에는

아름다운 생각이 있나니,

죽은 그 사람은 죄로 부터 자유한 것이다.

하나님께 영광이 있을찌어다!


해방의 결과-굴복하라(15-23절)



죄의 지배로부터의 자유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삶의 새로운 거룩함과 사역에 있어서의 능력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관대한 은혜를 누리면서 죄 짓기를 계속하는 것에 만족하겠는가? 결코 그럴 수 없다. 반대로 우리 지체-손, 발, 눈, 혀-가 죄의 종이 되는데서 벗어나 의의 종으로서 하나님께 순종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께 굴복하는 최초의 행동이 전제되고, 이후에는 계속적으로 주님의 주권에 굴복하는 것이 뒤따라야 한다. 날마다 굴복하는 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부활한 것의 정상적이고 논리적인 결과이다. ”죄로 부터 자유케”해주신 사랑하시는 주님께 기쁘게 복종하는 것 말고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해방의 자연스러운 결과는 우리가 ”거룩함에 이르는 열매”(22절)를 맺는 것이다. 육신의 불쾌한 일 대신에, 성령의 달콤한 열매(갈 5:19-22)를 맺게 된다. 성화된 신자는 진정한 도덕적 자유를 누리는 사람이다. 그는 그가 좋아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성화된 사람은 그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든 다 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



한 사람이 물었다.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나와 함께 나이트 클럽에 갑시다.”

”아, 나는 그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가 대답이었다.

죄의 속박으로부터 자유케 된 의지는 하나님의 뜻만을 원하는 열망을 가져온다.


더 이상 죽지 않으시는

그리스도와 함께 살며,

앞서 가신 그리스도를 따르면서,

나는 속박으로부터 전혀 자유하며,

자아는 참으로 죽은 것으로 여긴다.

하나님께 영광 있을찌어다!

그리스도를 위해 살며,

나의 지체를 그에게 드렸으며,

영원히 인쳐진 하나님의 종이 되어,

율법아래 있지 아니하고,

이제 나는 은혜아래 있으니,

죄는 왕좌에서 쫓겨나고

그리스도께서 왕좌에 계시는도다.

하나님께 영광 있을찌어다!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며,

이제 나는 부끄러운 것들은

더 이상 이름도 부르지 않으며,

거룩함에 이르시는 열매를 맺을 것이며,

나의 영원한 기쁨의 삶을

나누게 될 것이로다.

하나님께 영광 있을찌어다!

-T. 라이더(Ryder)


아브라함 링컨(Abraham Lincoln)이 역사적인 노예 해방 선언에 서명하였을 때 미국의 모든 노예는 즉각적이며 자동적으로 노예 상태에서 풀려났다. 잉크가 문서 위에서 마르는 순간, 모든 노예는 잠재적으로 자유해졌다. 그러나 그것은 모든 노예가 즉시 실제적인 자유를 누린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어떤 주인들은 공교하게 노예들에게 그들의 해방에 대한 소식을 숨겼다. 자유를 누리기 전에, 노예들은 먼저 기쁜 소식을 들어야 했다. 그리고는 그들은 비록 너무 신기하게 보인다해도 기쁜 소식을 믿어야만 했다. 다음에 그들은 그 사실이 노예 일반에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특별히 자신들을 위한 것으로 간주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이 이 모든 것을 할 수 있지만 여전히 노예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그들은 자유를 주장하고 주인의 속박아래 더 이상 남아 있기를 거절해야만 했던 것이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그들은 미국정부의 권력이 그들 뒤에 있다는 것을 의지할 수 있었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성경으로부터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신자들을 잠재적으로 죄의 지배로 부터 해방시킨 자유 선언을 그의 피로 서명하셨다는 것을 배웠다. 그 사실을 믿고 우리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그리고는 거기 근거해서 행동하고, 더 이상 죄의 노예가 되기를 거절하는 일이 이제 우리에게 남아있다. 이렇게 할 때에 부활하신 하나님의 아들의 권세가 우리 편에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며, 참으로 자유케 될 것이다. 죄는 그 지배 아래로 우리를 이끌고 가는데 무력하게 될 것이다.



영혼의 안식은, 활동중일 때이든 휴식 가운데 있을 때이든지 간에 하나님과 조화 가운데 있을 때 존재한다. 성령의 능력으로 창조주와 온전한 조화 가운데 들어갈 수 있으며, 그 사랑이 하나님의 사랑에 흡수되고 그 의지도 하나님의 의지와 조화를 이루게 되면 거기에 안식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그것은 나태한 휴식이 아니고, 위치의 조화인 것이다. 창공을 장식하는 아름다운 천체는 언제나 움직이고 있지만, 그들은  부조화와 불안의 상태에 결코 들어가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움직임은 언제나 규칙과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 뛰어난 정확성과 무게의 조정에 의해 우주적 조화를 유지한다. 지구를 마치 聖域성역)과 같은 장소로 만들어 내는 것은 하나님의 질서와 법에 대한 사랑에서 기인한다. 인간들이 자연의 왕국의 조화를 이루는 범칙에 대해 발견하고자 하는 것처럼 우리가 진지하게 영적인 왕국에서의 우리의 생득권(生得權)인 평온(tranquillity)을 지배하는 법칙을 발견하고자 노력한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외적 투쟁의 한가운데서조차 갚은 내적 휴식을 누리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워즈워드(Wordsqorth)

”끝없는 동요가운데서도 마음가운데

존속하는 중심의 평안.”

J. Gregory Mantle




10. 평정에 관한 교훈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찌니”(히브리서 4장 9, 11절).


"왜 당신은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원하십니까?” 그리스도를 찾고 있는 이슬람교도에게 T. 봄파드(T. Bompard)목사가 물었다.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원하도록 만드는 유일한 귀절이 성경에 있습니다”가 그 대답이었다. ”그것은 마태복음의 귀절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러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라」입니다. 나는 이슬람의 책들을 알고 있지만 거기에는 쉼에 대한 약속이 없어요. 나는 그 안식을 원해요”

소란과 폭력, 좌절과 환멸로 뒤얽힌 이 세상에서 말로 표현되지 못하고 어렴풋하지만 휴식과 평온에 대한 갈망이 있다.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근심에 가득차 있으며 쉬지 못하는 발걸음들이다. 역사상 그 어느 때 보다도 인류는 두려움에 괴로워하며 근심에 애먹는다. 그러나 진정한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모두 안식에 대한 확실한 약속을 가지고 있으며, 이 안식은 언제든지 적용되고 즐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안식에 관한 약속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찌니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찌라도 너희 중에 혹 미치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 이미 믿은 우리들은 저 안식에 들어가는도다”(히 4:1-3). 고뇌에 차고 괴로운 세계에서 안식, 모든 슬픔과 시련과 당황 속에서 안식, 모든 염려와 걱정으로 부터 안식, 적어도 이 정도는 약속되어 있다. 지난 날의 경험에 의해 하나님께서 하실 수 있는 일은 판단하지 말고, 확신을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들여야 한다. ”그런즉 안식할 때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도다”(히 4:9).

히브리서 저자의 목적은 ”신앙의 안식”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독자들에게 거기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을 경고하는 것이다. 그는 신앙의 안식을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을 인도해 들인 것보다 더 나은 안식으로 그리고 있으며, 영적인 삶의 모든 적을


완전히 정복하고 몰아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성령 충만한 사가랴는 이러한 삶의 특성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우리 원수에게서와 우리를 미워하는 모든 자의 손에서 구원하시는 구원이라... 우리로 원수의 손에서 건지심을 입고 종신토록 주의 앞에서 성결과 의로 두려움이 없이 섬기게 하리라 하셨도다”(눅 1:71, 74-75).


그리스도의 오심과 속죄는 모든 영적 원수들로부터 구출되고 평안한(restful) 봉사의 삶을 누리는 것을 가능케 했다. 참으로 이것이 하나님의 백성에게 남아 있는 휴식이며,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참된 그리스도인의 경험이 아니다. 이 안식을 독자는 현재 경험하고 있는가? 아니면 당신의 삶은 붙잡기 어려운 평정을 얻고자하는 쉬임없는 투쟁의 삶인가?


안식의 유형



세 가지 ”안식”이 이 장에 묘사되어 있다.


● 창조의 안식


”하나님은 제 칠일에 그의 모든 일을 쉬셨다”(히 4:4).

무질서를 질서로 바꾸어 놓으신 후에, 하나님께서 제 7일에 누리신 안식은 완성된 일의 안식이었으며, 그 속에서 우리는 새 창조를 다루시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방법을 예시하는 빛을 볼 수가 있다. 버려지고 공허했던 이 땅 위에, 하늘 비둘기가 내려왔고, 이전의 창조의 폐허로부터 놀라운 세계가 나타났다. ”이와같이 천지가 다 이루니라... 하나님께서... 안식하시니라”고 기록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피곤하셨기 때문에 휴식이 필요했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땅끝까지 창조하신 자는 피곤치 아니하시며 곤비치 아니하시기” 때문이다. 그의 안식은 피곤으로 인한 안식이 아니라 만족의 안식이었다. 창조에 대한 그의 목적이 성취되지 않았는가? 그의 이상(理想)은 실현되지 않았는가? 도구(instrument)가 계획하신 분의 마음에 온전히 응답하여 작동될 때, 거기 안식이 있다. 피조물은 그 창조의 목적을 완수했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작품이 심히 좋은 것을 보셨고, 그리고 안식하셨는데, 그는 인간도 함께 이 안식을 누리도록 초대하셨다. 그러나 안식일의 안식은 그 안식을 함께 나눈 인간에 의해 깨어졌다. 아담과 이브는 그들의 비극적인 선택으로 인해, 밀톤(Milton)이 칭한 것처럼 ”안식이 없는 사단”의 불안때문에 하나님의 안식을 상실했다.



● 가나안의 안식


”만일 여호수아가 저희에게 안식을 주었다면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히 4:8).

애굽에서. 이스라엘은 유월절 어린양의 뿌린 피 아래서 죽음의 천사의 두려움으로부터 안식을 찾았다. 그러나 그들은 아직 바로의 폭군적인 권세로 부터 구출되어 있지 않았다.

광야에서. 그들은 바로의 권세의 위협으로부터의 안식을 알았다. 그러나 그들의 경험은 안식의 삶과는 정반대였다. 그들은 끊임없이 이동했으며, 애굽과 가나안의 경계선 사이에서 머뭇거렸으며, 계속 불만하며 불평했고, 결코 안식하지 못했다.

가나안에서. 그들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안식을 어느 정도 누렸다. 그러나 어떤 중요한 면에 있어서 그것은 하나님의 이상(理想)에는 이르지 못한다. 그들의 안식은 단지 부분적인 것이었다. 모든 이스라엘 사람이 다 가나안에 들어간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요단을 건너지 못하도록 선정된 모든 세대는 광야에서 멸망했다. 그들은 불신앙으로 인해 하나님의 안식을 누리지 못하게 되었고, 모든 후세대에게 그들의 죄의 치명적인 결과에 대한 경고가 된다. ”또 하나님이 누구에게 맹세하사 그의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셨느뇨 곧 순종치 아니하던 자에게가 아니냐 이로 보건대 저희가 믿지 아니하므로 능히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히 3:18-19).

요단을 건너 약속의 땅으로 들어갈 만큼 하나님께 대한 믿음이 충분히 강했던 사람들은 훨씬 더 나은 경험을 즐겼다. -그러나 하나님의 최선은 아니었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승리에 대한 확신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그 땅의 어떤 주민도 남겨두면 ”그들의 눈에 찌르는 것과 옆구리에 가시”가 되리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들을 쫓아내는데 실패했다. 그 결과 그들도 역시 하나님의 안식을 누리는데 실패하고 말았다.

여호수아가 인도한 안식이 불완전한 증거는 불순종과 징계와 은혜로운 구원의 단조로운 순환(cycle)이었던 사사시대에 만연했던 상황에서 보여진다.


● 그리스도의 안식


”이미 그의 안식에 들어간 자는 하나님이 자기 일을 쉬심과 같이 자기 일을 쉬느니라”(히 4:10).

이 귀절에 대해 두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신자가 성화의 방법으로써 자신의 율법 행위에 의지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으로 이것은 물론 진실이다. 그러나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것은 신자보다는 8절의 여호수아에 대조로 그리스도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여호수아가 실패한 것을, 그리스도께서 하신다. 하나님께서 창조의 일을 마치시고 쉬셨던 것처럼, 그리스도께서도 구속의 일을 마치셨고 이제 안식하고 계신다! 우리를 위한 그의 사역은 하나님께열납되었고, 그는 안식에 들어가 아버지 우편에 앉아서 안식하고 계신다.

심지어 그의 지상 생애에서도 그리스도는 자신의 일을 완전히 멈추셨고, 여기서 그의 삶의 평정에 관한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다.


"내가 아무것도 스스로 할 수 없노라”(요 5:30).

”내 교훈은 내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것이니라”(요 7:16).

”오직 아버지께서 가르치신대로 이런 것을 말하는 줄도 알리라”(요 8:28).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셔 그의 일을 하시는 것이라”(요 14:10).


그는 자신의 일을 그만두고 아버지께 전적으로 의지하는 삶을 살 것을 택하셨다. 아버지의 계획의 마지막 작은 부분까지 성취하시기까지 이런 의지하는 태도를 버리지 않으셨고 기도하셨다. ”아버지께서 내게 하라고 주신 일을 내가 이루어 아버지로 이 세상에서 영화롭게 하였사오니”(요 17:4).

이것은 그가 그의 안식에 들어가셨기 때문에, 우리에게도 또한 누릴 수 있는 안식이 남아 있다는 확신을 가져다 준다. 이것은 10절 서두의 ”왜냐하면”(주: 영어성경에서는 for로 시작된다)에 함축된다. 우리는 모두 구속의 근거가 되는 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을 기뻐하지만, 그것을 마음의 안식과 평정의 근거로서도 받아들이고 있는가?


안식에 들어가기에 실패할 위험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찌니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찌라도 너희 중에 흑 미치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히 4:1).

”하나님께서... 하시랴?”(시 78:19).

성경중 어떤 책도 이 서신보다 엄숙하고 엄중한 경고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 엄격한 권면과 경고를 가볍게 얼버무리고 넘어가거나 다른 사람에게 교묘하게 적용시켜서는 안된다. 몇가지 이유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안식에 이르지 못했다.


-그들은 하나님의 능력을 의심했다

”우리는 능히 올라가서 그 백성을 치지 못하리라 그들은 우리보다 강하니라”(민13:31).

적과 잠재된 위험에 대해서, 불신앙은 거대한 확대경이다. 적의 월등한 힘과 용맹을 의식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렇게 자주 그들을 위해 싸워 주시는 그들의 하나님의 전능하심을 전혀 잊어 버리고 말았다.



-그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의심했다.

”우리가 애굽 땅에서 죽었거나 이 광야에서 죽었더면 좋았을 것을!...우리 처자가 사로 잡히리니... ”(민 14:2-3)

불신앙은 하나님의 약속과 그의 공급하심에 대해 거의 기억을 못한다. 하나님의 사랑하시는 돌보심과 보호에 대한 반복적이고 잊을 수 없는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를 변함없이 신뢰할 만한 분이 아니라 전혀 믿을 수 없는 분인 것처럼 취급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않았다.

”저희와 같이 우리도 복음 전함을 받은 자이나 그러나 그 들은바 말씀이 저희에게 유익되지 못한 것은 듣는 자가 믿음을 화합지 아니함이라”(히 4:2).

불신앙은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한 약한 소화력을 가지고 있다. 하나님의 말씀은 그들의 마음에 있어 영적인 삶을 기름지게 하는 대신 완고함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둔감함만을 가져올 뿐이다. 이스라엘 사람들만 자꾸 정죄할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삼가 흑 믿지 아니하는 악심을 품고 살아계신 하나님에게서 떨어질까 염려하자(3:12).


안식에의 추구



이 말은 역설적으로 들리지만, 그러나 옳은 개념이다. 안식은 우연히 생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부지런히 인내하면서 추구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저 안식에 들어가기를 힘쓸찌니 이는 누구든지 저 순종치 아니하는 본에 빠지지 않게 하려 함이라”(히 4:11).

여기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일이라는 의미에 있어서의 수고가 아니고, 우리 자신의 일을 그치고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서 역사하시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편에서의 대단한 근면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바울은 자신의 경험을 묘사하면서 ”나도 내 속에서 능력으로 역사하시는 이의 역사를 따라 힘을 다하여 수고하노라”(골 1:29).


나는 노력하고 분투했었다.

나를 자유케 하는 축복을 얻고자

그러나 내가 나의 노력을 그쳤을 때

예수께서 그의 평강을 내게 주셨노라.


중국 내륙 선교부(지금의 O. M. F. )의 창설자인 J,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의 경험에 있어서도, 개인적인 것과 선교 사회의 개척자로서 지도자의 위치에따르는 부담이 그를 압도해 버릴 뻔 했던 때가 있었다. 게다가 내면적인 실패로 인한 견딜 수 없는 느낌이 있었다. 그는 이 때의 그의 상태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나는 기도했고, 고민했고, 분투했고, 결심했고, 성경을 더 열심히 읽었다. -그러나 모든 것이 아무 효과도 없었다. 날마다, 거의 매 시간, 죄의식이 나를 억압했다... 그러자 내게 한 의문이 떠오르게 되었다. ”구조책이 없는가? 끝까지 이래야만 하는가-승리 대신에 끊임없는 갈등이 있으며, 너무나 자주 패배해야만 하는가?

그리고 그는 주님께서 그를 안식과 승리 가운데로 자연스럽게 인도해 가신 방법을 묘사한다. 그는 약속된 안식으로 인도하는 것은 그리스도에 대한 단순한 믿음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어떻게 믿음이 강화될 수 있는가? 믿음을 얻고자 애씀으로가 아니라 신실하신 분 안에 안식함으로써이다.” ”우리는 미쁨이 없을찌라도 주는 일향 미쁘시다”를 읽으면서, 나는 온전히 알 수 있었다. 나는 예수님을 바라보았고 그가 ”내가 결코 너를 떠나지 아니하리라”고 말씀 하셨다는 것을 알았다(이때, 내 마음에 얼마나 큰 기쁨이 흘러 넘쳤는지!). 아, 안식이 있다. 나는 생각했다. 그 안(in Him)에서 안식하려고 애쓴 것은 헛된 일이었다. 더 이상은 애쓰지 않겠다.”

이 새 경험이 그의 날마다의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그는 결과를 말한다.

”가장 놀라운 부분은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바로 그 넘치는 안식이다. 나는 더 이상 아무 것도 염려하지 않는다. 만일 그가 나를 대단한 난국 가운데 두셨다면, 더많은 인도하심을 주시지 않겠는가. 큰 어려움의 상황에 많은 은혜가 있다. 큰 압박과 시련의 환경에 많은 힘이 있지 않겠는가?”


그는 이 때에 다음의 찬송가를 좋아했다.

예수여 나는 안식하고 있습니다.

안식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기쁨 안에서.

나는 당신의 사랑의 위대하심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안식으로의 길



"이미 믿는 우리들은 저 안식에 들어가는도다. 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있거니와... 오늘날 너희가 그 음성을 듣거든 너희 마음을 강퍅케 말라”(히 4:3, 6-7).



만일 이 안식이 가능하며,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그 안식에 들어가며, 또 사람들이 반드시 들어가야만 한다면, 왜 당신은 될 수 없겠는가? 하나님께서는 성취가 불가능한 기대를 주심으로써 그의 자녀들을 괴롭히지 않으신다. 찰스 웨슬레(Charles Wesley)는 이 안식이 믿음의 행동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하며 노래했다.


"주여, 당신의 모든 백성에게

안식이 남아있는 것을 믿습니다

그 안식은 순수한 기쁨이 통치하며

당신만이 홀로 사랑을 받으시는 곳입니다.


오 이제는 내가 그 안식을 알 수 있습니다.

믿으면, 들어간다는 것을!

이제 구주여, 능력을 주셔서

내가 죄를 그치게 하소서.”


앤드류 머레이(Andrew Murray)박사는 안식으로 들어가는 이 단순한 단계들을 이야기했다.

「나는 안식의 삶이 있는 것을 믿는다. 」

이 안식으로 하늘의 여호수아, 예수께서 나를 인도하실 수 있다. 안식의 삶으로의 문을 닫아 버리는 것은 의심이다.

「나는 그 안식을 누리고 있지 못하다. 」

하나님께 대해 정직하라. 실패에 대한 진정한 고백이 있기 전에는 발전이란 이루어질 수 없다. 이스라엘 백성처럼, 당신이 믿지 않으며 불순종했기 때문에 그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다는 것을 알라.

「안식의 삶은 나를 위한 것이다. 」

당신의 성격이 너무 불안정하고, 의지가 너무 약하고, 성질이 너무 급하기 때문에 이런 삶은 당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이의를 제기하는가? 당신의 불신앙으로 인해 하나님을 제한하고, 그의 능력을 당신의 과거의 경험으로 측정하고 있지는 않은가? 하나님께서는 편애하시지 않는다. 다른 신자들이 하나님께 받은 것을, 당신도 받을 수 있다. 이런 삶이 당신에게 가능하다.

「나는 안식을 얻기 위해서 모든 죄와 무거운 짐을 기꺼이 버릴 수 있다.」

소중히 간직하거나 묵인하고 있는 죄를 하나님께서는 묵과하시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다고 알려진 모든 것을 포기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을 때 도와주신다.



「이제 나는 나의 하늘 여호수아가 나를 이 안식으로 인도해 주시도록 그를 의뢰하겠다. 」

그리고 내 체험으로 누리고자 한다.


이제, 오 나의 여호수아여,

나를 받으소서

당신의 원수인 타고난 죄를 쫓아내소서

육적인 마음을 제거하소서

당신이 죽음으로 사신 것을 나누시고

모든 성화된 사람들과 함께

사랑가운데 내게 내 몫을 주소서


에반 홉킨스(Evan Hopkins)는 영국의 초기 케스위크(Keswick)운동의 신학자였는데 넓고 물살이 센 강을 건너고자 열망하는 사람의 예화를 들어 이 진리를 설명했다. 그는 수영을 할 줄 모르지만 끝까지 노력함으로써 저 편까지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상상을 한다. 그는 힘을 다해 결사적으로 머리를 물 위로 들고자 노력하지만 성공은 잠시동안 뿐이다. 몇 분 지난 후에 그는 힘이 빠지고 극도로 피곤해 져서 가라앉기 시작한다.

이 애쓰고 있는 사람 가까이로 배가 지나가고 있다. 누군가가 큰소리로 외친다. ”배를 잡으시오!” 그가 고개를 들었는데 기쁘게도 배는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있었다. 그는 두 손으로 힘껏 배를 잡았다. 노력하고 애쓰는 대신에 이제 그는 배에 매달려 있다.

그는 곧 또 다른 사람이 그에게서 멀지 않은 곳에서 물에 빠져 들어가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사람을 돕고자 한다면 그도 죽고말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힘을 다해 배에 매달려 있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노를 젓는 사람에게서 ”배에 오르시오!”라는 음성을 듣게 되었다. 그는 순종하여 즉시 매달려 있는 경험에서 안식하는 경험으로 넘어갔다. 이제 그는 자신으로부터 안식할수 있게 되었고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게 되었다.

이 비유는 자신이 인생의 급하고 빠른 강을 건널 수 있다고 생각하여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건너편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그리스도인에 관한 것이다. 이런 시도는 파멸을 가져온다. 구조선만이 그를 구할 수 있다. 또한 구조선에 매달려 있는 그리스도인의 장면이 있다-배가 가라앉을 리가 없기 때문에 구원된 것이다. 그가 마음에 쉼을 가지고 안식하는 그리스도인이 될 때에, 그는 다른 사람들을 돕고 구해줄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승리하고 열매맺는 그리스도인은 매달리기를 그치고 배에 올라서 믿음의 안식의 기쁨 속에 살고 있는 사람이다. 인생은 탄식 대신에 노래가 된다. 날마다 새로운 하루로 유쾌하게 발걸음을 크게 뗄수 있다.

언제 이런 안식의 삶에 들어갈 수 있느냐고 질문한다면 성령님께서는 놀랄만큼 명확하고 긴급하게 대답해 주신다.

”성령이 이르신 바와 같이 오늘날!”(히 3:7).

”오늘날 너희가 그의 음성을 듣거든 너희 마음을 강퍅케 말라”(히 4:7).


오 복된 삶이여 -그 마음은

전혀 동요함이 없이

안식하며 더 높은 뜻을 신뢰하고,

자기 것이 아닌 더 높은 뜻을 최선의 것으로 생각한다.

하나님을 흠모하며 바라보는데서 솟아나는 기쁨보다 더 깊고 순수한 기쁨은 없다. 우리는 모두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대상을 볼 때 오는 즐거움을 알고 있다. 아름다운 얼굴을 들여다봄으로써, 아름다운 경치, 위대한 예술 작품의 아름다움에 심취됨으로 오는 즐거움을 알고 있다. 나는 위대한 그림 앞에서 그 아름다움을 바라보면서 몇 시간 동안 앉아 있었던 적이 있다. 이것들 보다 더 순수한 기쁨이 이 땅에 없다. 그러나 그것들은 우리가 하나님 앞에 예배하기 위해 엎드려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고 그로부터 무엇도 구하지 않고 주님으로 충만하여 그분만으로 문 족할 때 우리 영혼을 채우는 심오하고 거룩한 즐거움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천국의 가장 큰 특권은 ”우리가 그의 얼굴을 볼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얼굴을 바라보며 예배하는 것은 이 땅에서 이미 시작된 천국이다.

R. A. Torrey


성막, 방주, 제단, 제물, 제사장은 이제 더 이상 필요치 않다. 그 모든 것의 원형(原型)이 이미 오셨으며 히브리 서신에서 말하는 ”더 나은 것들”을 이미 가져다 주셨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그림자(예포)들의 충만이 시며 우리는 그 분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예배하기 위해 더 이상 물질 적인 도움의 필요나 도움의 여지가 없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그라고 아버지께서 찾으시고 용납하시는 예배는 성령 안에서 드려지는 예배인 것이다.

W. Graham Scroggie




11. 예배에 관한 교훈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찌니라”(요한복음 4장24절).


"예배할 수 없을 만큼 너무 바쁜 것은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것 이상으로 바쁜 것이다. 일은 인생의 탁월한 의무이지만 예배는 뛰어난 동력(動力)이다. 이 둘을 따로 떼어 놓는 것은 재난을 자초한다. 일(사역)은 힘을 소모하는 반면에, 예배는 힘을 새롭게 해주기 때문이다.” 인본주의와 물질주의가 만연하는 오늘날에는 진실한 신자들이 유행하고 있는 사조에 굴복하고 있으며 스튜어트 흘덴(Sturat Hol-den)박사가 이야기하는 치명적인 분리의 죄를 범하는 미묘한 경향이 있다.

항상 사역이 예배보다 쉽다. 예배는 거의 잊혀진 기술이라고 말해도 과장이 아니다. 오늘날 교회가 어떤 다른 특성을 소유했든지 간에, 교회는 예배의 정신이 뛰어나지 못한 가운데 있다. 필요를 간구하는 것이나 죄 용서를 구하는 것은 잊지 않지만 예배의 요소는 주로 생략해 버린다. 그 결과 영적생활의 빈곤과 빈혈, 기도에 있어서의 기쁨의 결여가 초래된다.

부지런히 추구한 이 거룩한 연습은 그의 삶과 기도에 있어서 예배가 풍성했던 성도가 기록하고 있다. ”경이롭게도 우리의 모든 경험을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따뜻하고 생기있게 해줍니다. 이것은 우리가 주님 자신과 더 깊이 알 수 있도록 바르게 인도해 줄 것이며, 우리의 성장에 강력하고 비밀스런 방법이 될 것입니다.” R. A. 토레이(Torrey)박사는 그가 기도하는 것과 감사를 돌리는 것 뿐만 아니라 예배하는 것을 배웠을 때 그의 경험으로부터 온 전적인 변화를 간증했다. 만일 그렇다면, 우리는 더 이상 이 중요한 일을 무시함으로써 삶을 빈곤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예배의 의미



이런 형태 저런 형태로 예배의 개념은 인류 전체에게 공통의 것이다. 모든 나라와 민족 가운데서 그들의 신을 알기 원하거나 달래기 원하는 우주적 갈망에 대한 증거로 보이는 의식이나 희생이나 예식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이 짐승과 구별되는 특성은 인간에게는 예배의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예배라는 단어는 온전한 성경적 의미를 거의 전달하지 않고 있다. 주일의 예배는 무분별하게도 신성한 예배라고 말해진다. 사실상, 신약 성경 어떤 곳에서도 예배가 외적인 찬양이나 기도의 외적 행위와 동일시 되어 있지는 않다. 주님께서 수가의 우물가에서 여인과의 대화에 분명하게 말씀하신 것같이 예배의 장소는 2차적인 것이다(요 4:21).

예배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와 성경을 통해서 자신을 나타내 보여 주신대로 하나님을 숭배하며 묵상하는 것이다. 이 말은 대단히 자주 ”손에 입을 맞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서로 지위가 대단히 다른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을 묘사하는 회화 언어이다.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땅에 엎드려 높은 자의 손에 입을 맞추는 것이다. 이 말이 하나님에 관해 사용될 때에는 예배자가 하나님의 무한하신 우월성을 의식하고, 그의 손에 입맞추며 이와같이 복종과 존경을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엎드려 절했다”(마 18:26).

고어(古語) 영어로는 「가치(worthship)」라는 말이 되며, 이것은 재미있는 간접적 설명을 제공해 주는데, 예배받는 쪽의 사람이 훌륭하다라는 뜻을 내포하는 것이다. 이것은 묵시록의 송영과 조화를 이룬다.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이...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도다.” 그러나 사랑 가운데도 이기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 A. W. 토저(Tozer)박사는 이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감사로 부터 나오는 단순한 사랑이 어떤 행동이나 의식적인 말로 표현될 때, 이것이 의심할 바 없이 예배이다. 그러나 우리 예배의 질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하신 것에 대한 생각에서 떠나 하나님의 거룩하신 성품의 탁월하심을 생각할때 더 높아진다.”


이것이 예배의 의미이다. 하나님의 존재와 그분 자신과 그의 길에 대해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랑의 송영이다. 이것은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의 어마어마한 거리를 의식하면서, 가장 내적인 영이 하나님의 두려운 위엄 앞에서 가장 깊은 겸손과 존경으로 순종하는 것이다. ”예배에 대한 신약 성경의 개념은 마음과 몸의 경건한 태도와 두려움, 존경, 숭배의 감정의 결합이다.”

두 친구가 서로 이별하게 되었다. 그들은 좋은 교제를 즐겼었고 헤어지기를 주저하고 있었다. 그녀는 작별을 고하면서 상대방에게 이야기했다. ”당신의 당신됨(What you are)에 대해 감사해요.” 이 우아한 찬사가 영적인 면에서 바로 예배의 핵심을 설명하고 있다.

승리를 거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Scipio Africanus)가 그의 의기양양한 정복 후에 로마로 돌아왔을때, 그는 행렬을 지어 말을 타고, 길에 줄지어 서 있는 군중들 사이를 전장에서 얻은 노략물을 두 손으로 뿌리며 지나쳐 가고 있었다. 사람들은 그의 선물에 감동하여 감사하고 있었고, 어떤 사람들은 공포의 기간이 그로 인해 끝난 것에 감동되었으나, 그러나 어떤 이들은 그들이 받은 혜택보다는 승리자의 인격에 대해서만 칭찬하고 있었다. -그의 용기, 재치, 관대함 등. 마지막 무리들에게만 숭배의 요소가 있었다.


예배의 동기



"아버지께서는 그를 예배하는 자를 찾으신다.”

여기에 놀라운 말씀이 있다. 요셉과 마리아는 얼마나 성실하고 열심히 잃어버린 아이 예수를 찾고 있었던가! 그리고 이것은 아버지(Father)께서 그를 예배하는 자를 찾으시는 것을 묘사하는데 사용된 바로 그 단어이다. 그는 그를 희생적으로 섬기고 그를 용기있게 고백할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을 발견하시지만, 그러나 그를 예배하기 위해 시간을 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예배를 받으실 만하며 또 요구하고 계시다는 것은 거듭 말해져야만 한다. 우리는 부모님께는 순종을 빚지고 있고 동료에게는 사랑을 빚지고 있듯이, 하나님께는 예배를 빚지고 있다. ”주 너희 하나님을 섬길찌니라!” 우리가 다른 모든 의무를 빈틈없이 이행해도 이 기본적인 의무를 소홀히 한다면 그것들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구속의 모든 사역은 사람들의 몸이 하나님을 예배하기에 적절하게 발견될 때 그 정점과 완성을 이룬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다. 영광중에 구속된 사람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러므로 그들이 하나님의 보좌 앞에 있고 또 그의 성전에서 밤낮 하나님을 섬기매”(계 7:15). 우리의 하늘 아버지가 그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사람들에게서 예배를 찾고 계시다는 사실이 우리를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사람으로 바꾸기에 충분할 만큼 강한 동기를 부여해 준다.


예배의 태도



수가의 우물에서의 대화에서, 우리 주님은 참된 예배의 태도에 관해 한 줄기 빛을 던져 주셨다. 사마리아 여자에게 있어서 예배는 성(性)과 종족과 장소의 장벽에 의해 제한된 어떤 것이었다. 한 말씀으로 주님은 그녀의 오해를 일소하시고 새로운 놀라운 진리를 알려 주셨다. ”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찌니라”(요 4:23-24).

이것은 예배의 장소와 형태를 버리라는 뜻이 아니다. 예배가 신령과 진정으로 드려지지 않으면 장소와 형태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건축이 아무리 장엄하든,설교가 아무리 웅변적이든지, 의식이 아무리 정교하든지, 음악이 아무리 훌륭하며, 기도가 모범적인 것이라 해도 만일 예배의 진정한 정신이 결여되어 있다면, 다른 모든 것은 쓸모가 없다.


-예배는 말이 없을 수도 있다

”내 영혼아, 하나님 앞에 잠잠할찌어다”라고 시편 기자가 말했다. 한 설교자가 그의 회중 가운데는 말을 거의 듣지 못하는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성가대의 소리는 그에게 단지 멀리서 덜거덕거리는 소리로 밖에 들리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래도 그는 주일을 거의 빠진 적이 없다고 한다. 목사님이 그의 얼굴을 보았을 때, 그가 설교를 전혀 듣지 못하고 기도나 노래도 듣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영혼은 하나님께 대한 경배로 감동되어 있는 것을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말을 하는 것이 무례한 일이 되는 때가 있다. 예배자가 이루 말할 수 없는 하나님의 임재에 의해 입을 다물고 침묵하며 오직 하나님 앞에 고요할 수 있다.”


-예배는 진리 안에 있어야 한다

예배는 겉치레나 단순한 공언(profession)으로부터 자유해야 한다. 요리의 권위자인 로렌스 형제는 진리 가운데 하나님께 예배하는 것은 하나님을 그분 그대로 인정하며, 우리 자신을 우리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웠다. 진리의 하나님은 온전하시며, 무한한 경배를 받으실만 하며, 죄로 부터 떠나 계신 분이시라는 것을 진심으로 인정했다.


예배의 매체



"하나님의 성령으로 봉사하며... 우리가 곧 할례당이라”(빌 3:3)라고 바울은 주장했다. 성령이 아닌 다른 것으로 예배하고자 하는 모든 시도는 하나님께서 전혀 열납하지 않으신다. ”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찌니라”라고 하셨기 때문이다. 이 문구를 잘 살펴보면 이것은 성령에 관한 말씀인 것이 명백해진다.

인간의 심령의 줄을 두들겨서 육신의 활동의 육욕적 부조화만이 있었던 마음에 기쁜 영혼의 예배를 만들어 내는 분은 3위 중에서 제 3위이시다. 앤드류 머레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육신을 만족시키는 예배가 있는데 그것은 육신이 할 수 있는 권세 안에 있기 때문이며, 하나님께 대한 예배가 있는데, 이것은 성령 안에 있다. 예수께서 우리의 가장 깊숙한 곳에 새로운 영을 주심으로써 가능케 하고 우리로 알게 하신 것이바로 이 예배이며, 우리 깊숙이에는 하나님의 성령이 계신 것이다.”

모든 예배가 성령 안에 있지는 않다. 왜냐하면 육신은 겸손을 알지 못하면서 가장 신성한 성소로 억지로 들어가고자 하기 때문이다. 비결은 육신을 십자가의 죽음에 넘겨 버리고 전혀 무력한 가운데서 우리 자신을 성령께 의탁하는 것인데, 성령께서는 기도의 이런 면에 있어서 우리 연약함을 돕기를 기뻐하신다. ”성령의 충만을 받으라. 시와 찬미와 신령한 노래들로 서로 화답하며 너희 마음으로 주께 노래하며 찬송하며”(엡 5:18-19)라고 바울은 명령했다. 성령충만한 신자에게 있어서는 성령께서 슬퍼하시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꿈도 꾸어 보지 못한 방법으로 그 마음 가운데 하나님을 나타내 주실 수 있다. 그리고 그에게 있어 예배는 즐겁고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그에게는 하나님 자신이 영감하신 말씀을 마음과 지성가운데 조명하여 주실 것이다.


예배의 방법



자칭 예배자에게는 실제적 어려움이 직면된다. 어떻게 실제적으로 하나님을 알수 있으며, 진정으로 그를 예배할 수 있겠는가? 어떤 그리스도인들에게는 하나님은 비현실적이고 멀리 떨어져 계신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예배드리는 것은 어릿광대극처럼 보인다. 예배가 사랑스럽고 자연스러운 마음의 표현이 되려면 어떤 방법이어야겠는가?

하나님께서는 자연의 경이로움 가운데 자신을 부분적으로 계시해 주셨다. ”하늘은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한다.” ”창세로부터 그의 보이지 아니하는 것들 곧 그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이 그 만드신 만물에 분명히 보여 알게 되나니”(롬 1:20). 자연으로부터 우리는 그의 위대한 능력과 뛰어난 아름다움과 그의 말할 수 없는 지혜를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자연은 우리를 단지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만 인도할 수 있다. 자연은 어떤 곳에서도 하나님을 인자와 자비의 하나님으로 나타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서만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을 온전히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안에는 신성의 모든 충만이 육체로 거하시기”(골 2:9) 때문이다. 그리스도를 무시하거나 배제한 어떤 예배도 하나님께서 열납지 않으신다. 우리가 아버지께 나아갈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분 만을 통해서이다. ”그로 인하여 우리가 아버지께 나아갈 수 있다.”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라고 예수께서 주장하셨다. 그리스도를 예배하는 것은 그리스도 안에 자신을 계시하신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다.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본 것이다.”



당신은 영원한 말씀이시며,

아버지의 독생자이십니다.

하나님을 명백하게 보이시고 들려주시는

하나님의 사랑하시는 자이십니다.

하나님의 어린 양이시여, 모든 무릎이

당신께 경배키 위해 꿇어지는 것이 합당하니이다.


당신 안에 가장 온전하게

영광의 빛이 나타나 있으며,

충만한 신성을 소유하신

영원한 하나님이시니,

오, 하나님의 어린 양이시여,

모든 무릎이 당신께 경배키 위해

꿇어지는 것이 합당하니이다.


여기 두번째 문제가 일어난다. 우리가 어떻게 유일하게 하나님을 계시하는 분인 그리스도를 실제적으로 알 수 있을까? 대답은 물론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알 수있는 유일한 실체적인 방법인 성경을 통해서이다. ”너희가 성경을 상고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거하는 것이로다”(요 5:39)라고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성경에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완전하고 만족스러운 계시와 해석이 있다. 예배와 기도에 있어서의 실패는 하나님의 말씀을 오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는데 있다.

오직 성경에서만 그리스도의 인격과 특성에 관해 조화된 견해를 발견할 수 있다. A. W, 토저(Tozer)박사는 말했다.


"그리스도를 알면 누구나 지식을 동반하는 두려움과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 그는 일만(一萬) 중에 가장 아름다우시지만, 또한 높고 능력 있으신 주님이시다. 그는 죄인의 친구되시지만, 또한 마귀에게는 공포의 대상이다. 그의 마음은 온유하고 겸손하지만, 그는 또한 모든 사람을 심판하기 위해서 오실 주님과 그리스도가 되신다. 그를 잘 아는 누구도 그의 존전에서 무례할 수 없다.”


성경에는 예배를 자극할 수 있는 자료가 풍성하다. 거대한 진리에 대한 논문이 우리의 개발과 탐구를 기다리고 있다. 광범위한 주제가 풍부하다. -그의 주권, 거룩함, 사랑, 자비, 인내, 신실하심, 지혜 은혜 등. 하나님께서 영감하신 기도 책을 지혜롭게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다. 우리 자신의 상상으로 만든 하나님을 예배하지 않도록, 그리스도에 대해 올바른 개념을 갖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예배란 고상한 사상과 감정을 즐겁게 하는 것일 뿐이라고 생각지 말자. 예배는 사역과 뗄 수 없게 연합되어 있다. 하나님을 가장 독실하게 예배하는 사람이 하나님을 가장 희생적으로 섬기게 된다. 두 개념의 연결을 주목하라. ”주 너희 하나님을 예배하고 다만 그를 섬길찌니라” 하나님께서 연결해 놓으신 것을 따로 떼어 놓아서는 안된다. 예배가 사역과 대치될 수 없고, 사역도 또한 예배와 대치될 수 없다. 일요일의 진정한 예배는 월요일의 희생적 사역에 표현될 것이다. 예배하는 것은 곧 사역하는 것이다. 예배의 축복은 사역에서 중단되지 않는다. 그것은 변화된 인격을 만들어 낸다. 우리는 우리가 예배하는 복된 분을 점점 더 닮아가게 된다.



당신은 쓸모 없는 삶을 살 수 있다. 남해의 어떤 무인도에 홀로 버려진 선원의 손에 한 알의 밀이 들려 있었다. 꼭 한 알을 가지고 있었고 그는 그것을 들여다보았다. 손바닥에 놓여있는 것은 매끄럽고 딱딱하고 빛이 나고 있었는데, 적당한 환경에서는 놀라운 수확을 올릴 가능성이 있는 것이었다. 무인도의 이 선원은 여러 해 전 어머니가 만들어 주셨던 빵을 기억했다. 그는 군침을 흘리며 밀가루의 그 달콤한 맛을 다시 맛볼 수 있기를 원한다. 그러나 나는 그를 잡시 멈추게 하고 이야기를 해주고 싶다. ”그 밀 알은 당신의 생명을 위해 먹여줄수 있는 황금빛 추수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일 당신이 그것을 바르게 이용한다면 말입니다.”그가 내 충고를 무시하고 그의 잇사이로 깨물었을 때, 그리고 그것을 먹어버렸을 때, 아, 내 마음은 아팠다. 이제 그는 결코 밀을 먹어볼 수 없을 것이고, 더욱이 밀가루를 먹을 수도 없을 것이며, 감미로운 빵은 더더군다나 먹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추수가 달린 한 개의 밀 알을 먹어 버린 것이다. 때로 사람의 삶을, 당신의 삶을, 나의 삶을 바라보며 그와 같이 느끼게 된다....... 아. 사람들이 낭비뿐인 쓸모 없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다.

W. B. Hinsam




12. 과실을 많이 맺는 것에 대한 교훈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한복음 12장 24절).


밀알은 죽지 않았기 때문에 죽은 것이다. 그것이 살고자 한다면, 먼저 죽어야 한다. 그 죽음의 날이 탄생의 날이다. 무수한 많은 밀알들 가운데서 그것은 한 알 그대로 있다. 예수께서 헬라인들에게 말씀하신 이 당황케 하는 역설은 중요하고 혁명적인 영적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

주님의 지상 사역의 날들은 다 끝나가고 있었다. 십자가의 그림자는 날마다 점점 더 어두워 가고 있었다. 천년 왕국의 기대의 정점 속에, 마지막 유월절이 가까와 오고 있었다. 예식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여행했던 사람들 가운데는 안드레와 빌립에게 예수를 소개해 달라고 간청하는 헬라인들이 있었다. 예수께서 태어났을때, 동방 박사들이 그를 보러 왔었다. 종종 그러시는 것처럼, 우리 주님께서는 그들의 요구에 직접적인 대답을 하지 아니 하시고, 대신에 헬라인들이 가장 환영하지 않는 진리 중 하나를 역설적인 비유로 대답하셨다. 그는 대단히 중요한 진리를 말씀하실 때 항상 사용하시는 ”진실로 진실로”라는 말로 시작하셨다.

헬라인의 질문에 왜 이런 신비스런 답변을 하셨을까? 헬라인들을 알고 사귐을 증진시키는데 오히려 해가 되는 답변을 말이다. 그는 미래를 미리 보시지 아니하고는 한 말씀도 하시지 않는다. 기본적인 이유는 헬라인의 철학과 영적 추수의 법칙은 정반대라는 것이다. 그레고리 맨틀(Gregory Mantle)박사는 그 대조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그들의 주된 단어는 자기 수양과 자기 향락이었다. 헬라인에 따르면 이것이 최상의 목적이었고, 인간의 삶의 주요한 선(善)이었다. 올림푸스의 신들은 오직 즐기기 위해 살았던 존재이며, 그들이 땅에 왔을 때는 오직 이기적인 오락과 즐거운 모험을 위해 왔으며, 인간의 죄와 슬픔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 신들의 성품은 그리이스의 신자들 속에 반영되었다. 인생의 최고의 개념은 감각과 지성과 공상을 즐기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것이 그들이 사랑하고 소중히 여겼던 삶이었다. 그리스도께서는 그들이 자기 수양 대신에 자기 헌신을, 자기 만족 대신에 자기 희생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신다. 바꾸어 말하자면 그는 그들에게 생각과 행동의 경향을 반대로 할 것을 요구하시며 그들이 수 세기 동안 주장해 왔던 것과 반대되는 삶의개념을 그들 앞에 둘 것을 요구하셨다.”


가장 풍부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언어를 썼고, 가장 고도의 문화를 즐겼고 가장 위대한 철학자와 사상가를 배출했던 나라는 영적인 추수를 거두기 위해서 새롭게 태어나야만 했다. 헬라인들이 참으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계시를 알고 이해하는 유일한 길은 십자가를 통해서이다. 헬라인을 사용해 표상되었던 이방 세계는 참으로 그를 볼 수 있기 전에 그는 한 알의 밀알로서 땅에 떨어져 죽으셔야 했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대에 만연하는 풍조는 헬라식 인생관의 부흥이다. 자기 쾌락과 자기 만족이 많은 사람들의 목표이다. 니이체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나쁘게 표현했다. ”당신 자신을 주장하라, 당신 자신 외에는 아무 것도 관심을 두지 말라... 당신이 얻을 수만 있으면 세상은 당신의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말하는데 더 세련된 방법으로 표현하지만 그들의 견해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이유 때문에 주님의 이 메시지는 어느 때 보다도 오늘날 가장 적절하고 알맞은 것이다.


말씀하신 원리



"한 알의 밀이...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이 간단한 말 속에서 그리스도께서는 그가 일찌기 말씀하신 가장 근본적이고 혁명적인 삶의 원리를 말씀하셨다. 우리가 자기 중심적인 삶을 미워하고, 부인하고, 억제하는 정도만큼만 충만하고 진정한 삶을 경험할 수 있다. 자연계의 도처에서 좀 더 높은 형태의 존재는 낮은 형태의 것을 희생하는 것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도처에서 삶이 죽음을 대신한다.

땅과 공중과 하늘에서,

장미가 그 숨을 호흡하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어떤 것이 죽어야만 한다.

염색과 드라이 크리닝을 하는 가게문에 다음과 같은 기이한 글이 쓰여 있었다.


우리는 살기 위해 염색하며,

염색하기 위해 산다.

더 많이 염색 할수록,

우리는 더 많이 살고,우리가 더 많이 살수록

더 많이 염색한다.

*(註/ 「염색하다」의 ”dye”와 「죽다」의 ”die”는 발음이 같다.)


염색업에 있어 이것이 진실이든 아니든 간에, 영적인 삶에서는 사실이다. 그리스도의 생명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우리 안에 역사하는 것에 비례해서 우리 가운데 나타날 것이다.

”사망은 우리 안에서 역사하고 생명은 너희 안에서 하느니라”(고후 4:12).

자기 생명을 사랑하는 자는 잃어 버릴 것이요 이 세상에서 자기 생명을 미워하는 자는 영생하도록 보존하리라”(요 12:25).


예증된 원리 -자연 속에



모든 밀알이 생명은 오직 죽음을 거쳐 온다는 원리를 말없이 증거하고 있다. 각 씨에는 신비로운 생명의 배종(胚種)이 들어 있으나, 그 씨가 살아있는 한은 그 안에 갇혀 있다. 씨가 추수될 때까지 3가지 단계가 뒤따른다.


-외로움-”한 알 그대로 있고”

밀 자루(Wheat Sack)에는 비록 무수한 밀알들이 있지만, 각 낟알은 하늘의 별처럼 서로 분리되어 있다. 각 낟알은 서로 생명적 연결을 가지고 있지 않은 고립된 단위이다. 매장하는 사람의 손에 씨를 쥐어 주는 것이 고대 이집트의 관습이었다. 고고학자의 삽이 4,000년의 안식을 휘저었을 때, 매장되었던 여러개의 낟알이 남아 있었다. 만일 이 밀알 중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었다면, 정상적으로 번식한다면 20년이 지나면 전 세계의 밀알의 수와 같게 되었을 것이라고 한 교수는 주장하였다. 거기 생명은 있었으나 갇혀 있었기 때문에 비생산적이었던 것이다.


-죽음-”만일...죽으면”

죽음은 단순히 존재의 정지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물체가 기본적 요소로 분해되는 것이다. 육체의 죽음은 육체로부터 영혼이 분리되는 것이다. 밀알의 죽음은 구성되어 있는 미립자의 분열이며, 해방된 생명의 배종(胚種)이 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오직 밀알이 죽을 때에만 씨의 생명력이 풀려나서, 그것에 영양을 공급하는 화학 약품을 끌어 당길 수 있다.

죽음은 결코 즐겁지 않으며, 단순한 어린아이의 장난이 아니다. 생명 유지에 필요한 제 기관에 흡수되어 죽음의 상태에 이르는 것은 밀알에게 마음에 드는 과정이 아니다. 그러나 많은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없는 것이다.



-과실을 많이 맺음-”만일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밀알이 죽을 때 모든 것이 다 잃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단지 다른 형태로 존속하기 위해 존재의 한 형태를 포기하는 것이다. 많은 과실은 죽음을 거쳐서 오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손실이 참으로 얻는(gain) 결과가 된다. 땅에 떨어져 죽는 것을 통해서, 그것은 배가 되고 자신을 100배 재생산한다. 100개의 밀알이 낟알 속에 모두 갇혀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해방시키는 데는 죽음이 필요하다.


-예시된 원리 -그리스도 안에서

이 원리는 그것을 말씀하신 분의 경험 속에 가장 고상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 비유는 근본적으로 그를 가르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기 희생이 그의 생애의 뛰어난 특성이 아니었는가? 자기 희생이 그의 대속의 죽음 속에 온전히 결실된 것을 발견한다. 이 과정에서도 동일한 세 단계를 찾을 수 있다.


-외로움-”한 알 그대로 있고”

우리 주님은 나무랄데 없고 매력적인 거룩한 삶을 사셨다. 온전한 거룩함이었기 때문에 그는 하늘과 땅과 지옥에 자신의 삶에 흠이나 결점이 있는가를 드러내라고 도전할 수 있으셨다. 물론 그가 땅에 떨어져 죽으며 생명을 잃을 필요는 없었다. 물론 이런 생명은 박탈당하지 않고도 영적으로 열매 맺을 수 있었으나, 심지어 그도 영적 추수의 무정한 법칙에 굴복해야만 했다. 영적 열매를 맺으려면 ”그가 다른 사람은 구원했고, 자신은 구원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변화산상에서 예수께서는 그의 신적인 영광이 잠시동안 비치는 것을 허락하셨다. 그렇게 하시면서, 그는 신적인 면에서 볼 때 그가 십자가의 수치와 고난을 피하여 즉시 하늘로 오르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그때 하늘로 오르셨다면 홀로 가버리시게 되었을 것이다. 그가 오신 목적은 좌절되고 홀로 천국에 돌아 가셨을 것이다.

사단은 영적인 추수의 법칙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십자가의 길에서 유혹해 내려고 거듭 노력했다-광야에서 베드로를 통해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그리스도인이 그의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데서 벗어나게 하려고 사단은 계속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죽음-”만일...죽으면”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우리 주님께서는 죽음의 목적을 표현하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의식이 그의 전 사역을 물들였다. 베드로가 평시처럼 수다스럽게, 주님께 주님 자신을 불쌍히 여기도록 충고했을 때, 선의에서 나온 그의 제안은 단호하게 책망을 받았다. ”사단아 내 뒤로 물러가라 너는 나를 넘어지게 하는 자로다. 네가 하나님의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도리어 사람의 일을 생각하는도다”(마 16:23). 후에 베드로가 사랑과 열심으로 주님을 위해 싸우고자 칼집에서 칼을 뽑았을 때, 그는 다시 한번 책망을 받았다. ”검을 집에 꽂으라 아버지께서 주신 잔을 내가 마시지 아니하겠느냐?”(요 18:11).

앞의 귀절에서 예수께서 그의 죽음을 어떻게 보셨는가 알 수 있다. 그를 삼켜버릴 만큼 비할데 없는 비애와 고통을 느끼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그는 멀리 바라보셨고 그 시간은 슬픔의 시간이라고 부르는 대신에 영광의 시간이라고 부르셨다. ”인자의 영광을 얻을 때가 왔도다”(요 12:23). 그 앞에 있는 즐거움을 위하여-무수한 구속된 생명의 영적 추수를 거두는 기쁨-그는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셨다.


-과실을 많이 맺음 -”만일 죽으면...많은 열매를 맺고”

정죄받아 두 강도 사이에 십자가에 못박혀 죽어가는 사람의 모습은 승리를 거둔 승리자나 풍성한 수확의 첫열매라는 느낌을 거의 주지 못한다. 그러나 그 뒤의 사건들이 말해준다.

갈보리 언덕에서 한 알의 일이 땅에 떨어져 죽었다. 이것은 약속된 그리스도의 사역에 있어 적절하지 않은 종결인 것처럼 보였다. 사실상 그것은 발아(發芽)였다. 갈보리는 묘판이었다. 갈보리에서의 하나는 7주 후 오순절에 3,000이 되었다. 사도행전에서 우리는 5,000 ”남자와 여자의 많은 무리”, ”제자의 수가 많이 더하니라”의 수확을 읽는다-모두 빠른 변천이었다.

다락방의 120명은 그리스도께 충성을 고백하는 각 족속과 방언과 백성과 나라중의 수천만이 되게 되었다.


명령된 원리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객관적 의미뿐만 아니라 주관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십자가는 낡은 장식물이 아니라 못박혀야 할 곳이다. 십자가를 기피하는 제자들이 따라가야 할 분은 십자가를 지신 그리스도이시다. 그의 부르심은 ”사람이 나를 섬기려면 나를 따르라”(요 12:26)는 것이며, 이것은 십자가의 길을 의미한다. 우리는 삶의 두가지 가능성, 자신을 위해 사는 삶과 그리스도와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사는 삶-사이에서 선택을 끊임없이 도전받는다. ”저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막 15:31)라고 사람들이 말했던 주님보다 제자들이 더 위대하지는 못하다.


그것은 주님이 가신 길이다



그 종들도 여전히

그 길을 걸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스도의 생애에서 밟으셨던 3단계는 그의 발자취를 따르기를 구하는 제자들의 삶 속에 재현될 것이다.


-외로움-”한 알 그대로 있고”

우리가 우리 삶을 이기주의로 살찌우고, 자기 부인(否認)을 두려워하고 피하는 것은 대단히 있을 법한 일이나, 그러면 우리는 홀로 거하게 된다. 십자가를 붙든다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삶 속에 다시 살게 된다. 만일 그것을 피하면 아무도 우리를 환영하려고 기다리고 있지 않는 천국에 홀로 가게 될 것이다.

한 친구가 오랜 병 끝에 죽었다. 그녀는 그리스도인이었으나 그녀 자신과 인접한 사람들만을 위해 살았다. 그녀의 삶의 특징은 다른 사람을 위한 봉사가 아니었고 임종이 가까왔을 때 슬퍼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 그녀는 비유적으로든지 문자적으로든지간에 땅에 떨어져 죽기를 거부했다. 또 다른 친구는 남편을 잃었고 몸도 약하고, 부양해야할 어린 가족도 있었지만, 다른 사람들의 육체적 영적 필요를 돕느라고 자신의 슬픔을 잊었다. 그녀는 땅에 떨어져 죽었고 그 결과 그녀는 많은 사람들의 삶 속에 다시 살았다. 그녀의 가정은 외롭고 괴로운 사람들을 위한 만나는 장소가 되었다. 그녀의 천국은 외롭지 않은 천국이 될 것이다.

자기 중심적이고 터 놓지 않는 삶은 만족지 못하는 삶이다. 심지어 영적으로도 자기 이익에 열중하고, 주로 자신의 영적 성장에만 관심을 갖는 것은 홀로 열매없이 한 알 그대로 있는 것이다.


주님, 저도 매일 매일을

헌신적인 삶을 살게 하소서.

그래서 심지어 기도하기 위해 무릎을 꿇었을 때

나의 기도가 남을 위한 것이 되게 하소서.


-죽음-”만일... 죽으면”

우리 삶의 잠재적이고 꿈꾸어 보지 못한 가능성이 우리가 십자가의 죽음을 나누기를 동의할 때까지는 우리 안에 갇혀 있다.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나는 날마다 죽노라”고 선언하였다. 생명이 다른 사람에게 이르도록 죽음이 그 안에서 역사했다. 그것은 생명은 오직 죽음을 통해서만 오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죽음과 동일시되는 실재는 그의 영적 재생산력의 척도였다.

농부가 밀을 갈아진 밭에 뿌릴 때, 그의 행동은 실제론 현재의 손실을 수반한다. 다시는 밀을 같은 형태로는 소유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미래의 수확을 기대하기 때문에 현재의 손실을 무릅쓸 수 있는 것이다. 우리도 같은 일을 기꺼이 하겠는가, 혹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기 원하는 어떤 것을 얻기 위해 우리가 가진 것을 버리기”를 두려워 하겠는가? 만일 영적인 결실이 실제로 우리 것이 되려면, 죽음의 원리가 우리 경험 속에 역사되어야 한다.

”만일 내가 그리스도의 것이라면” 노만 P. 그러브(Norman P. Grubb)는 말하였다.

”그러면 육신의 통상의 유익인 평안, 사랑하는 사람, 물질적인 이익, 증대된 이익, 쾌락, 여가에 대해 자발적으로 죽을 때 영적 추수를 거두며 주장할 수 있는 권리가 있게 된다. 우리는 이것들을 가능하면 피하고 싶고 필요하다면 견딜 수 밖에 없는 손실과 상실로 여기는 대신에, 의도적으로 그것들을 택하고, 그것을 추수하는 방법으로 자랑스럽게 여긴다.”

신앙의 사도인 죠지 뮬러(Grorge Muller)에게 그의 열매맺는 비결이 무엇이냐고 사람들은 질문을 했다. 그의 대답은 그 비밀을 잘 드러내 주었다. ”죠지 뮬러가 죽은 철저하게 죽은 날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죠지 뮬러의 욕망과 기호와 취미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런 까닭에 그리스도께서 모든 것 중에 모든 것이 되시는 것입니다.”


-과실을 많이 맺음-”만일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고”

풍성한 추수는 땀과 눈물과 피의 댓가가 없이는 수확될 수 없다. 그것은 언제나 한 사람의 생명을 다른 사람을 위해 부어주는 댓가를 취한다. 그러나 놀라운 보상을 결과로 얻는다. 농부는 그가 가진 것을 잃지만, 그 결과 더 크고 더 나은 것을 얻게 된다. 어머니에게 있어서 해산의 고통은 새 생명의 기쁨으로 잊혀지게 된다. 주님께서는 다른 사람을 위하여 그의 생명을 버리시는 길밖에는 많은 열매를 맺는다는 방법을 알지 못하셨다. 어느 누구도 다른 방법을 발견할 수가 없는 것이다.


당신의 삶을 얻는 것 보다는

잃는 것을 가지고 측정하시오

마신 포도주에 의해서가 아니라,

쏟아 부은 포도주에 의해서

왜냐하면 사랑의 힘은 사랑의 희생 속에 있으며,

가장 많이 고통을 당한 사람이

가장 많이 줄 것을

소유하기 때문이라오.



이기주의는 사람에게 자멸을 가져온다. 우리가 이 생을 위해 살면 그것을 잃고, 장차 올 세상도 잃게 된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장차 올 세상을 위해 살면, 우리는 둘 다 얻는다.

불길이 리들리(Ridley)와 라티머(Latimer)의 주변을 모두 태워 버렸을 때, 라티머는 고통 중의 친구를 다음과 같이 위로했다.

”리들리 형제여, 두려워 마시오. 우리는 오늘 영국의 초(Candle)에 불을 붙였고, 하나님의 은혜로 이것은 결코 꺼지지 않을 것이네.”

그들의 영혼은 불마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 갔지만, 그 결과로 얻은 풍성한 수확을 누가 측정할 수 있겠는가?

찰스 T. 스터드(Charles T Studd)와 그의 아내는 이 생활 원리를 온전히 이해하고 실천했다.


"어느 날 저녁 그는 아프리카에서의 개척적인 사역으로 부름을 받았는데, 그때 스터드 여사는 환자였기 때문에 그와 동반할 수가 없었다. 부르심에 응답하는 것은 여러 해 동안의 별거를 의미한다는 것을 두 사람 다 알고 있었다. 그들은 그것을 받아들였다. 그들은 추수의 법칙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죽음은 우리 안에서 역사하고... 생명은 다른 사람들 안에서 역사한다. 」 굽히지 않는 희생과 오랜 세월 동안의 별거가 수반되었지만, 콩고에는 변화된 생명들의 거대하고 성장하는 수확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12개국에서도 신선한 알곡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가장 오랫동안 결실을 많이 거둔 라디오 사역은 찰스 E. 풀러(Charles E. Fuller)박사의 ”구식의 부흥시간”(Old-Fashioned Revival Hour)이었는데 이것은 세계의 거주 지역중 90%의 지역에서 애청되었다. 이 하나님의 사람이 이토록 비범하게 많은 열매를 맺는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풀러 부처는 땅에 떨어져 죽었다. 그들은 외아들을 잃었다. 풀러 부인은 건강을 잃었고, 이로 인해 별거의 기간이 있었다. 비록 그는 자신이 설교할 자격이 없다고 느꼈지만, 하나님의 부르심이 왔을때, 찰스 풀러는 성경훈련 코스를 받기 위해 보수가 좋은 지위를 포기했다. 그러자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부딪혔고 5년 동안 고된 노동과 깊은 심적 훈련을 받게 되었다. 그 뒤, 그들의 외아들이 첫째 아이를 잃은지 12년 만에 태어났는데, 치료받기도 전에 죽어 버리고 말았다. 이런 쓸쓸한 체험 후에 가장 친한 친구들로부터 오해받고 버림받는 체험이 뒤따랐다. 하나님의 손이 그를 무겁게 누르는 것처럼 보였던 때에, 심지어 그가 세우고 유지해 오던 교회의 어떤 형제들이 그를 외면해 버리고 말았다.

이것은 인간의 모든 체험 속에 들어가서 이해하고, 동정하고, 승리의 길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설교자를 준비시키시는 하나님의 방법이었다. 그는 배척과 자기부인의 길을 걸어야만 했고, 영적 추수의 법칙에 기꺼이 순종해야만 했다. 하나님께서 세상의 수백만의 사람들을 그에게 청중으로 맡기셨고, 주님의 영광을 위한 풍성한 수확을 맡기신 것은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다.

영적으로 풍성한 과실을 탐내는가? 자신의 삶(self-life)을 날마다 십자가의 죽음에 넘기는 방법을 통해서만 성령의 새 삶이 우리 안에서 우리를 통하여 역사할수 있다. 그러면 결과는 확실하다. ”만일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원수들의 모든 음모 뒤에,

또는 친구들의 지혜로운 계획 뒤에,

인간의 계획이나 악마의 역사(役事)뒤에는,

더 높은 숨겨진 손이 움직이고 계시다.

인간의 지평선은 유한하고,

현재의 수수께끼는 함정에 빠져있다.

악에 대한 복수를 요구해도 응답이 없으며,

소망은 절망의 유혹을 받는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장래의 베일을 벗겨 주실 때,

그의 정확하고 충분한 보상이

주님의 심판에서 공정한 저울을

드러내 줄 것이다.

위대한 역사의 베틀에 직조된

신비로운 직물을 통해서,

운명의 철실이 아닌

목적의 황금실 올이 풀린다.

씨줄을 짜는 것은 하늘의 일이며,

도안은 아름답고 지혜로우며,

땅에서 보기에는 숨겨진 도안이지만,

하늘의 눈에는 완전하다.

모든 행동, 모든 배우,

크든 작든, 적이나 친구는,

마치 한 황금의 이정표로 집중되는

제국(帝國)의 길처럼,

모든 가장가는 실이

하나님의 완전한 도안에 짜 넣어지며,

빛깔을 완전케 하고,

거대한 윤곽을 그려낸다.

그러나 하나님의 대리인들은 자유롭게

사랑이나 미음을 선택하고,

친밀하게 협력하며,

용감한 도전으로- 어떠한 변덕스러운 운명에도

종이 되지 아니한다.

하나님의 손은 진실로 숨겨져 있으며

-비밀스럽고 보이지 않게 움직인다.



인생의 긴 드라마 속에서,

각 장면을 조정하시며 움직인다.

어떤 일도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사람들이 우연에 돌리는 모든 것은,

하나님의 선택이 먼저 결정하신 것

-어는 것도 그의 눈을 피할 수 없다.

사람들은 제비를 뽑고 주사위를 던지는 것처럼

그들의 행위를 가지고 도박할 수 있으며,

변덕스러운 운명을

그들의 덕(德)과 악덕(惡德)의 어머니로 생각할 수 있다.

인간은 제안(提案)하고, 하나님께서는 배열하신다.

모든 것은 그의 계획을 이행한다.

이것이 모든 시대의 목표이다.

-높은 길, 샛길, 굽은 길,

그리고 모든 적과 도당(徒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결국은 승리하신다.

그래서 인간의 부림 절은,

조명된 신앙으로 읽으면,

영원한 왕국에서는 섭리 절로 보일 것이다.

A. T. Pierson




13. 섭리에 관한 교훈



"네가 왕후의 위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아느냐?”(에스더 4장 14절).


악이 승리하고 진리가 짓밟히는 세상에서 하나님은 냉담하시며 활동치 않으시는 점이 두드러지며 이것은 가장 당황케 만드는 인생의 문제 중 하나였다. 그러나 피상적으로 생각하고 관찰하는 사람만이 하나님께 활동치 않으신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하나님은 종종 보이지 않게 활동하시는 분이시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그는 종종 자신을 숨기시는 하나님이시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 역사하고 계시다. 로우웰(Lowell)은 이것을 다음과 같이 적절하게 표현했다.


위대한 보복자는 무심해 보이지만,

그러나 역사의 페이지는

어둠 속에서 죽음의 격투를 기록한다.

오랜 제도와 말씀(Word) 사이에서,

진리는 언제까지나 교수대 위에 있고,

부정은 언제까지나 왕좌 위에 있다.

그러나 그 교수대는 미래를 흔들고,

희미하고 알려지지 않은 뒤에는

그늘 속에 하나님이 서 계셔서

그의 피조물을 감시하고 계신다.


예지(豫知)하심과 예비(豫備)하심



고대의 규범이 지배력을 잃고 존중되던 기구들이 깨어졌을 때, 하나님은 적극적인 참여자시라는 사실만큼 개인과 국가에게 용기와 확신을 주는 것이 없다. ”거룩한 목적을 위해 포로되었던 모욕적인 역사의 단편”인 에스더서는 국가와 개인의 삶에 하나님의 초자연적이고 지배하시는 섭리가 있음을 보여 준다. 나라는 이스라엘이고, 개인은 모르드개이다.

이 극적인 이야기는 술책(음모)이 그 시대의 법이었던 페르시아 궁전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그러나 모든 음모와 이른바 ”두번째 원인” 뒤에는 우리가 결코 책략으로 이길 수 없는 하나님의 손이 계심을 볼 수 있고, 놀랍게도 불리한 입장에 처해 있는 것을 본다. 그는 위기를 모르는 하나님이시다. 빠른 속도로 전개되는 극 속에서, 하나님의 예지하심과 예비하심이 연합되어 있는 것이 두드러지게 눈에 뜨인다. 섭리하시는 하나님께서는 긴급한 상황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그 상황을 대처할 적절하고 완전하고 때에 알맞는 것을 예비해 두신다는 것을 사실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만이 유대인을 멸절시키고자 하는 잔인한 계획을 마음에 품기 훨씬 이전에,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구원을 위한 대책을 완전히 이루어 놓으셨다. 이 진리를 알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인생의 모든 절박한 상황을 평정과 침착 가운데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섭리와 보존



아하수에로 왕(또는 크세르크스)은 잔치를 베풀어 그의 모든 왕자들과 귀족들을 초청했다. 그는 술이 취해 왕비 와스디에게 비열한 요청을 했고, 여자로서의 품위는 그녀로 하여금 그것을 거절하게 했다. 그녀는 즉각적으로 폐위되었고, 후에 아름다운 유대인 에스더가 왕후로 피택된다.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가 충성스런 모르드개에 의해 좌절되었는데, 그는 에스더의 사촌이요 보호자였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왕은 모르드개의 용감한 행동에 대한 포상을 잊었다.

그러는 동안,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하만이 교묘하게 왕의 환심을 사서 결국은 페르시아의 수상이 되었다. 다른 민중들은 모두 하만에게 절을 했지만 모르드개는 절할 것을 강경하게 거부했다. 이것은 하만의 미움을 샀고, 그는 몹시 성이 나서, 왕으로부터 자신이 미워하는 모르드개를 죽이고 유대 민족 전부를 죽일 조서를 얻어냈다.

모르드개의 긴급한 요청에, 에스더는 그녀의 민족을 위해 생명을 걸고 부름받지 않았는데도 왕 앞에 나갔다. 섭리에 의해 왕은 금홀을 내어 밀었고, 그녀는 왕과 하만을 잔치에 초대했다. 하만은 증오 가운데서 이 초대를 원수를 멸할 대단히 귀중한 기회로 보았다. 그는 즉시 모르드개를 처형할 계획을 세웠고, 성품이 저열한 그의 아내는 그 목적을 위해 8피이트 높이의 교수대를 세울 것을 제안했다. 그렇게 되면 하만은 잔치를 마음껏 즐길 수 있을 것이었다.

바로 그날 밤 왕은 불면증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래서 그는 종으로 하여금 역대 일기를 가져다가 읽도록 했다. 이 책에는 왕의 생명을 해하려는 음모를 모르드개가 알고 고했던 일이 기록되어 있었다. 왕은 모르드개가 상을 받지 못한 것을 발견하고는 즉시 상을 주고자 결심한다. 모르드개의 처형에 대한 승락을 받고자 궁정에 일찌기 나아온 하만에게, 왕은 질문한다. ”왕이 존귀케 하기를 기뻐하는 사람에게 어떻게 하여야 하겠느뇨?” 하만은 왕이 존귀케 하기를 기뻐하시는자는 자기일 것이라고 심중에 생각하고, 왕의 입으시는 왕복과 왕의 타시는 말과 머리에 쓰시는 왕관을 취하여 그에게 입히고 태워서 성중 거리로 다니며 그 앞에서 반포하여 왕이 존귀케 하기를 기뻐하시는 사람에게는 이같이 할 것이라고 선포하게 하라고 제안한다.

”네 말대로 속히 왕복과 말을 취하여 유대 사람 모르드개에게 행하라...네가 말한 것에서 조금도 빠짐이 없게 하라”고 왕이 명령했다. 하만은 자기가 미워하여 멸망 시키고자 계획했던 사람을 데리고 성내를 돌 수밖에 없었다. 이 분한 임무를 마친 후 그는 다시 에스더의 잔치에 불려 나갔고, 그곳에서 에스더는 왕에게 하만의 잔인성을 이야기하고 그녀의 민족의 생명을 위해 설득력 있게 탄원한다. 유대인 멸절을 위한 법령은 그들에게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주심으로 무효화된다. 모르드개가 하만 대신에 수상으로 임명됨으로써 이야기가 끝난다.

이러한 예는 현대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 사람이 잔인한 악의로 남녀노소를 막론한 대규모의 대량학살을 계획했던 때가 있었다. 유일한 목적은 마음 속 깊이 맺힌 유대인 박해자의 탐욕스런 야심과 잔인성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온 민족의 운명은 적은 수이지만 독실하게 남은 자들의 손에 놓여 있었다. 바로 마지막까지 하나님은 전혀 무관심하며 활동하지 않으시는 것처럼 보였으나, 그러나 바로 제 때에 하나님의 완전하신 계획은 펼쳐지고 완성되었다. 하나님은 계속 그 그림자 뒤에 서서 그의 백성을 지키시고 계셨던 것이다.


섭리적인 중재



이 드라마는 섭리적인 하나님의 중재로 가득 차 있다. 술취한 왕의 변덕으로 페르시아의 왕후의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 에스더의 아름다운 얼굴과 자태는 하나님께 사용되어 그녀의 민족이 처한 위기의 시간에 왕후의 자리에 앉게 되었고, 그때에 그녀는 왕의 총애를 잃은 가운데 있었다. 그녀는 30일 동안 왕에게 부름을 받지 못한 가운데 있었기 때문이다. 암살자를 막기 위한 예방책으로, 왕께 부르심을 받지 않고 나아가는 자는 왕이 금홀을 내밀지 않으면 죽임을 당하게 되어 있었다. 에스더의 경우, 그녀는 그녀의 민족을 위해 알면서도 이 모험을 했는데, 보이지 않는 하나님께서 왕으로 하여금 그녀를 사랑스럽게 보게 하셔서 금홀을 내밀게 하셨다.

어떻게 모르드개가 음모를 엿들음으로써 왕의 생명을 구하게 되었는지 물을 수있겠다. 왜 왕은 그에게 상 주는 것을 잊게 되었을까? 물론 상을 주지 않은 것은 그러한 뛰어난 충성스런 섬김에 대해 감사할 줄 모르는 행위였다. 그리고 왜 왕은 바로 그날 잠을 이룰 수 없었을까? 무엇이 그로 하여금 역대기를 읽게끔 했을까? 왜 그의 종은 모든 책 중에서 모르드개의 행동을 기록한 책을 택했을까?



이러한 적절한 질문들에는 오직 하나의 만족할만한 대답이 있을 뿐이다.

하만이 자기의 어리석은 일을 위해 아침 일찍 궁정에 예기치 않게 나타난 것은 하나님의 계획에 관련된 한 물론 우연이 아니다. 왕이 자기의 총애하는 자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으냐고 물은 것은 극적인 결과를 위한 무대를 마련해 준다. 다가오는 결말을 전혀 의식치 못한 하만은 왕의 총신에게 가능한 가장 큰 영광을 제안하며, 이와 같은 제안은 부지중에 또한 본의와는 달리 모르드개를 높이는 도구가 되어 버린다.

심지어 미신조차도 하나님의 마차의 바퀴를 움직이는데 이용된다. 하만은 대량학살을 하기에 좋은 날을 제비를 던져 결정했는데, 결과는 유대인에게 거의 1년간 집행유예를 해 주는 것이 되었고, -이 기간은 하나님의 계획이 완성되기에 충분한 기간이었다. 제 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주재 영국 대사인 네빌 헨더슨 경(Sir-Neville Henderson)은 뮤니히는 히틀러가 모든 결정에 있어 그를 충고했던 ”음성”에 순종하기를 실패한 유일한 경우라고 진술했다. 그리고 하나님의 섭리로 되어진 그 불순종은 영국에게 계속될 거대한 전쟁을 위해 무장할 수 있는 1년간의 매우 귀중한 유예기간을 확보해 주었다.

하만이 왕 앞에서 왕의 분노를 일으키는 행동을 했을 때, 하만의 집에 비어있던 교수대는 하만 자신의 처형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성경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모르드개를 달고자 한 나무에 하만을 달았다.” 인과응보는 언제나 일어난다.

하만이 면밀하게 계획을 세웠지만, 하나님도 또한 그러하셨다. 모르드개는 이러한 계획들을 모르고 있었지만 하나님은 그렇지 않으셨다. 왜냐하면 그는 결코 놀라시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언제나 그가 하실 것을 아시고 계신다.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이 하나님의 친구들에 의해서만 아니라 그의 적들의 노력에 의해서도 보장된다는 사실에서 위로를 얻을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노(怒)도 그를 찬양하게 만드신다. 국가와 국제적인 술책과 충돌 가운데서도 우리는 안식하며 고요할 수 있으며, 결국 모든 하만은 교수대로 그의 길을 갈 것이며 모든 모르드개는 왕좌로 놓여질 것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영원한 교훈



이 옛 이야기는 섭리적인 하나님의 다루심의 특성과 시야로의 통찰력을 풍부케해 준다. 이 드라마 전체에서 가장 흥미있는 양상은 단 하나의 기적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사건들은 전혀 단순하고 자연스럽다. 그들의 충동에 따른 모든 작은 일들과 그들 자신의 계획에 따랐던 일들은, 회고해 볼 때, 그들이 모르는 가운데 하나님의 대책은 이루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놀라운 사건들의 연결이나동시성은 전혀 자연스러웠으나, 단순한 우연의 산물이 아니었음이 명백하다. 일상생활에서의 평범한 사건들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계획이 이루어지고 완성되어 가고 있음을 본다.

이 이야기는 또한 인간사(人間事)에 있어서 인식되지 않은 가운데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뛰어난 실예이다. 이것을 설명하면서 A. T. 피어슨(Pierson)박사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이 이야기는 밑에 자석이 붙어있는 경우 금속 표면에 미립자들이 기묘하게 아름답고 균형잡힌 모습을 이루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우리는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모든 변화와 사건 뒤에 보이지 않는 능력을 느낄 수 있다. 성경의 어떤 책보다도 이곳에 하나님의 섭리의 모든 위대하고 주요한 진리가 해설적으로 설명되어 있어서, 전체를 완성시키기 위해 아무 것도 더할 필요가 없다.”


여기 영원한 가치가 있는 교훈이 있다



-하나님은 모든 인간 행동의 적극적인 주관자(controller)이시다.

어떤 사람도 자신이 냉혹한 필요의 손에 잡혀 어떤 행동을 했노라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부인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그가 인간에게 부여한 자유의지를 위반하시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 의지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강요하시지 않는 반면에, 하나님께서 인간의 행동을 최고의 선을 위해 지배하시는 가운데 공존한다. 회고해 볼 때 인간의 영향받지 않는 행동이 하나님의 계획을 이루어 낸 일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은 종종 보이지 않는 배우이시다.

에스더서의 주목할 만한 양상은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이름이 나타나 있지 않고 잠복해 있다 하더라도, 통찰력 있는 눈으로 볼 때, 곳곳에서 하나님의 숨겨진 활동들을 볼 수 있다. 극장에서 무대 장치 담당자는 보이지 않지만 모든 관객은 그의 보이지 않는 활동의 혜택을 누린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항상 겉으로 드러나게 역사하시지 않으심에도 불구하고, 그는 활동하시며 사건의 결말은 그의 자비로운 통제를 나타내 보여 준다.


-사건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시간은 완전하다.

이 이야기에 있어서 시간의 요소를 살펴보자. 하나님께서는 그의 중재를 너무 오래 지체시키신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모르드개는 바로 다음날 교수형 당하도록 되어 있었고, 그의 구원을 위한 아무런 가능한 계획도 드러나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누가 그를 위해 중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나님은 시간보다 이르지도,늦지도 아니하신다. 마지막 가능한 순간에, 그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중재(仲裁)하셨다. 시간이 하나님의 시계를 울렸을 때, 의인은 구출되고 사악한 사람은 처형받았다. 모든 사건의 역전(逆轉)이 밤 사이에 이루어졌고 왕의 불면증이 원인이 되었다.


-하나님의 보응은 기이하게도 정확하다.

사악한 하만과 덕이 높은 모르드개의 위치의 역전보다 더 적절한 결말이 무엇이겠는가? 전자가 자신을 위해 계획했던 영광을 후자가 누리게 되었고, 후자를 위해 세웠던 교수대에는 전자가 달리게 되었다. 종종 그렇게 보이듯이 공정한 보응이 현 세상에서는 악행자에게 내려지지 않는다 할지라도 최후에는 공정한 심판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하나님의 섭리에는 우연의 여지가 없다.

개인의 일이거나 국가의 일이거나, 모든 것은 예견되고, 미리 정해지고, 허락된 것이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지휘아래 계속된다. 만일 우리가 기다릴 수 있는 인내를 가지고 있다면, 하나님의 완전하신 계획은 분명해질 것이다. 모르드개는 틀림없이 하나님께서 활동하시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 어리둥절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인내가 극단으로 시험(test)된 후에, 그 보상을 받았다. 그러므로 우리가 이 생에서 완전한 계획을 보지 못할지라도, 우리는 내세에서 펼쳐질 계획을 보며 그 완전함에 경외감을 느껴야 될 것이다.



화살은 감추어지기 위해 윤을 낸다. 일단 윤을 내는 과정이 끝나면 화살은 전시하기에 적절해 보인다. 여기에 잘 마광(磨光)된 살이 노출되어져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주님의 아름다움이 주님의 종에게 대단히 많이 나타나서 사람들이 감탄을 금할 수 없을 수가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아낌없는 사랑을 그들에게 보내지만 이런 호의적인 존경 밑에는 숨겨진 위험이 감추어져 있다.

날카롭고 마광된 후, 마치 옛앗시리아의 도끼가 ”도끼로 나무를 자르는 사람을 향해 자긍하듯이.” 우리는 얼마나 우리 자신을 과시하기 쉬운가. 그러나 위대한 사도는 말한다. ”우리가 우리를 전파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 예수의 주되신 것과 또 예수를 위하여 우리가 너희의 종된 것을 전파함이라.”

그러므로 마광된 살은 감춰져야만 한다-하나님의 손 그늘아래 감취져야한다.-능력의 비밀한 장소에 감추어져야 한다-전능자의 어깨 사이에 감추어져야 한다! 화살이 사용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동안 그것이 전 통속에 숨겨져 있는 동안 당신은 살에 관심을 두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활은 아무 것도 아니며 사수(射手)가 모든 갈채를 받는 것이다.

W. Hay Aitken



14. 효과있는 사역에 관한 교훈



"내 입을 날카로운 칼같이 만드시고 나로 마광한 살을 만드사 그 전통에 감추시고”(이사야 49장 2절).


이 말씀 가운데서 이샤야 선지자는 영적으로 효과있는 삶에 관해 요약하고 있다.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가장 효과적인 도구였던 약속된 메시야 안에서 완전한 성취를 발견할 수 있다. 이차적인 의미에서 이 말씀은 이사야 자신에게 해당된다. 왜냐하면 그는 그가 묘사한 특성들을 충분히 나타내는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이 성취는 결코 이 말씀의 적용이 끝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요한이 그리스도에 관한 그의 말씀에 ”주의 어떠하심과 같이 우리도 세상에서 그러하니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주님께 해당되는 것은 우리에게도 해당된다. 같은 성령으로 기름부음 받았기 때문에, 그의 입이 날카로운 칼과 같고 그의 생애가 마광한 살과 같았던 것처럼, 우리 중 많은 사람들도 또한 그렇게 될 수 있다.

이 세상 신에 대항하는 공격 무기로서의 자격을 갖춘 남녀를 교회는 긴급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칼과 살은 하나님의 손안에 있다. 하나님의 방법은 언제나 사람이었다. 즉 가혹한 시험(試驗)과 효과있게 되기에 꼭 필요한 준비에 복종한 사람, 하나님의 완전한 솜씨는 자연계의 도처에 명백히 나타나 있다. 각 피조물은 설계자의 목적을 완전케 하는데 부합된다. 아무 것도 쓸모 없는 것이 없다. 창조의 왕관인 인간에게 있어, 자유의지의 요소와 창조주의의 이상적인 계획은 종종 일시적으로 방해를 받는다. 영적 공격의 전쟁을 위해 마광한 살을 준비하는 것은 하나님의 능력과 지혜를 필요로 한다.

많은 성공한 사람들은 자력으로 된 것을 자랑한다. 그러나 어떠한 자력으로 이루어진 사람도 하나님의 영적 군병의 계열에 끼일 수 없다. 그리스도인의 사역에 있어 효과적일 수 있는 사람은 하나님이 만드신 사람이다. 이사야도 이 사실을 인식했다. ”그가 나로 마광한 살을 만드셨다.”


날카로운 칼



성경은 입술의 권세를 많은 형태로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만큼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는 곳이 없다-면도날과 날카로운 끝을 가지고 있는 검. 처칠, 히틀러, 무디, 마르크스, 그레함, 스탈린 같은 사람의 선 또는 악을 위한 능력을 누가 평가할 수 있겠는가? 열전이거나 냉전이거나 전쟁의 선전은 혀가 폭탄보다 강력하다는 것을 고통스럽고 명료하게 나타내 보였다.

날카로운 칼과 같은 혀! 어떤 혀는 너무나 날카롭다. 비판과 비꼬는 것과 화를 내는데 있어서는 날카롭고 예리하지만, 그러나 이상하게도 증거하고 책망하는데는 무디고 쓸모 없다. 대다수의 그리스도인 사역자와 목사들이 그들의 말이 청중에게 너무나 작은 영향밖에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대해 낙심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주일에 말은 급류와 같이 쏟아지지만, 그러나 눈에 보일만한 효과가 없다. 심방을 하지만 그들에게 나누어 준 말씀은 그들의 삶의 방향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러면 왜 그런 것일까? 하나님께서 입을 날카로운 칼과 같이 만들어 주시도록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 혀가 영적인 날카로움을 지니기를 원한다면, 우리 말이 자르고 꿰뚫고 인간의 마음에 구원하는 능력을 남기기를 원한다면, 하나님께서는 합당한 언약을 주셨다. ”내가 너로 이가 날카로운 새 타작 기계를 삼으리니” 이 설교자에게는 이가 없는(toothless) 진부한 말이 있을리 없다.

성령 충만한 스데반은 날카로운 칼과 같은 혀를 가졌었다. 그의 불타는 웅변과 대항할 수 없는 논리 앞에 위선적인 종교 지도자들은 입을 다물었다. ”스데반이 지혜와 성령으로 말함을 저희가 능히 당치 못하여”(행 6:10) 그가 그의 생명을 위해 공회 앞에 끌려 갔을 때에 변호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그의 혀였다. 그러나 그것은 얼마나 효과적이었던가! ”저희가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저를 향하여 이를 갈거늘”(행 7:54). 그의 모든 말은 듣는 사람들의 마음과 양심을 찔렀다.

찰스 G. 피니(Charles G. Finney)의 말은 뛰어나게 이런 특성을 지녔었다. 그는 회심 직후 사람들에게 그들의 영적 상태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나는 그 날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했다. 그리고 나는 하나님의 영께서 그들 각자에게 지속적인 인상을 남겨 놓으신 것을 믿는다. 내가 이야기했던 이들 모두가 얼마 후에 회심을 했다.”라고 그는 쓰고 있다.

두 청년이 그들 교회의 신학 대학에서 공부했다. 한 사람은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고 결과적으로 현대식의 큰 교회에서 회중에게 인기있는 목사가 되었다. 또 한 사람은 변변치 않은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영혼들을 그리스도 앞으로 인도하고자 하는 열렬한 욕망을 가지긴 있었고 그래서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그의 방법을 적용시킬 준비가 되어 있었다. 몇 년이 지나갔다. 그리고 인기있는 설교자는 옛 대학 친구의 교구를 방문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의 친구의 회중 가운데 이루어지는 모든 것을 목격하고, 그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어떻게 자네의 교구의 모든 일과 회중이 번영하는지 나는 이해할 수가 없네”



그가 말했다. ”자네의 교회는 참으로 회심한 사람들로 가득차 있는 것으로 보이네. 교인의 수에 놀랐고 진행되는 일의 양에 무척 놀랐네. 나도 같은 진리를 설교하는 데, 어떻게 나는 수고에 대한 분명한 열매를 거의 보지 못할 수 있는 걸까? 내 사역의 결과로 어두움에서 빛으로 돌아선 사람을 거의 지적할 수가 없다네.”

오랜 이야기 후에, 그의 친구는 그에게 한가지 실험을 해 볼 것을 요청했다. ”문체와 작문이 자네 것보다 훨씬 못한 내 설교 중 하나를 가지고 가서, 자네의 청중에게 설교하지 않겠나? 그 설교가 청중들의 유익뿐 아니라 자네의 사역에도 교훈이 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사용하시기를 미리 기도하도록 하게나. 그리고 그 결과를 주시하게.”

그렇게 하기로 동의하고, 그는 그 교회에 돌아오자 곧 그의 친구의 열정적인 설교문 중의 하나를 설교했다. 그 효과가 명백한 것에 그는 놀랐다. 많은 청중들이 깊이 감명을 받았다. 예배가 마쳐진 뒤에 그는 한 여자와 상담을 갔다. 그녀는 너무나 흥분한 나머지 교회에 남아 있었다. 그녀는 ”당신이 오늘 이야기한 것이 사실이라면 나는 전적으로 잘못되어 있어요”라고 말했다. 그가 당황하여 ”부인, 무슨 일입니까? 내가 말한 것이 당신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았기를 바랍니다.”라고 대답했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 캐논 헤이 에잇켄(Canon Hay Aitken)은 ”이 이야기는 풍자 만화처럼 들린다.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믿는다. 너무도 많은 목사들이 그 젊은이처럼 그들의 설교가 마땅히 그래야할 효과를 나타내면 그것을 보고 똑같이 놀라고 당황해 한다. 이 모든 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하나님께 복종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좋은 설교자나 조직적인 사역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면서도 「내가 너의 입을 날카로운 칼로 만들겠다」는 하나님의 놀라운 전능하심을 믿고 그것이 우리 경험 가운데 구체화되도록 주장하는 것은 잊고 있다”고 말했다.

설교나 개인 전도에 있어서의 효과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사용되는 방법은 기대하는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날카로운 칼을 지닌 하나님의 기사(騎士)는 언제나 매우 분명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의 언어는 투박하거나 은혜가 결핍되어 있지않은 반면에, 언제나 날카롭고 신랄하다. 그는 그의 칼을 칼집에 넣어 두지 않고 칼을 빼서 힘껏, 기민하게 휘두른다. 그의 설교에는 성실성과 매력이 있다. 그것은 그에게 있어 영원은 실제이며 최고의 영원한 문제(issue)이기 때문이다. 그의 혀는 날카로운 칼과 같다.


마광한 살



선지자의 첫번째 비유를 볼 때, 설교자나 그리스도인 사역자의 미숙함과 무례는 용서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진리와는 거리가 멀며, 두번째비유가 이러한 오해를 바로 정정해 준다. 그는 마광한 살이 되어야 한다. 주님의 입술에는 은혜가 넘쳤다고 말해진다. 그의 말씀처럼 신랄한 말이 없었으나 그의 말씀처럼 은혜롭고 온유한 말도 없었다. 그는 하나님의 마광한 살로서 언제나 은혜와 진리 사이의 미묘한 균형을 유지하셨다.

살이 어떻게 광택을 얻고 매끈해지는지 그 방법을 배우는 것은 재미있다. 수단에는 곧은 나무가 자라지 못하고 단지 마디가 많은 아카시아와 가시덤불만이 자란다고 한다. 그러나 개암나무와 비슷한 관목류의 나무가 특정지역에서 자라며 이것은 실룩크와 딘카스족과 여러 족속들에 의해 창살의 재료로 아주 귀중히 여겨진다. 원주민들은 이 나무들 중 하나로부터 장대를 골라내어 그의 살을 만든다. 이보다 더 구부러진 나무는 거의 상상할 수 없다. 속담에 나오는 개의 뒷다리처럼 구부러졌다고 말할 수 있겠다. 어떻게 창대(spear handle)가 이런 가망성이 없는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질 순가 있는 것일까? 그것은 분명히 불가능하다. 그러나 보라! 모든 잎과 잔 가지를 다 벗겨낸 후에 사냥꾼이 맨 처음에 하는 일은 그것을 불속에 넣는 일이다. 불에 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매우 뜨겁게 달군다. 이렇게 하면 휘기 쉽게 되며 그리고 나서 차게 식히면 대단해 단단해진다.

그 다음에는 1인치 정도 띄어서 똑바르게 쐐기를 두줄로 땅에 박고, 구부러진 막대기를 불에서 꺼내, 쐐기 사이에 놓는다. 잘 만져 주어야 쐐기 사이로 들어간다. 그것은 서늘하게 식혀서 꺼낸다. 그것은 이전 모습으로 되돌아 가지만 이전처럼 심하게 구부러져 있지 않다. 다시 한번 불에 넣었다가 막대기 사이에 놓는데, 다른 정도로 이번에는 지난 번에 잡히지 않은 구부러진 부분을 바로 잡는다. 되풀이 하여 그것을 꺼냈다가 다시 불 속에 넣는다. 드디어 사냥꾼이 만족할 만큼 되면 더 이상 불 속에 넣지 않는다. 이제는 날카로운 칼을 가지고 가지나 가시가 있는 돌출부와 나무껍질의 그슬려진 부분을 제거하고 그것을 완전히 매끄럽게 다듬는다. 가루가 된 질그릇 조각을 사포용으로 사용하거나 낡은 가죽조각으로 문질러서 눈(眼)보다도 더 예민한 맨 손으로 만져도 전혀 거칠거나 고르지 못한 것을 느끼지 않게 만든다. 그리고는 장대가 햇빛에 빛날 때가지 버터나 기름으로 문지른다. 그러면 그것은 창을 던질 때처럼 손에서 미끄러질 때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손을 찌르는 작은 가시나 마찰을 일으키는 꺼끌꺼끌한 것이 없게 된다. 이것이 참으로 마광한 살이다.

구부러지고 쓸모 없었던 나무 조각이 아름다운 물건이 된 것이다. 사냥꾼은 이제 그것을 사용해서 배가 고픈 그의 가족을 위해 사슴을 쏘아 넘어 뜨리고, 그리고 개울의 물고기를 꿰뚫을 수 있으며 상습적인 적이나 숲의 야생동물로부터 자기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구부러진 막대기가 주인의 손에 놓여진 마광한 살이 된 것이다.

자연계에서처럼, 영적으로도 그러하다. ”그가 나를 마광한 살(창 또는 화살)을만드사 그 전통에 감추시고” 바르고 평평한 비상(飛翔)에 영향을 미치는 마디와 꼬인 것 때문에 살의 유용성이 손상되므로 그것은 문질러 벗겨져야만 했다. 칼의 예리함과 살의 마광됨은 딱딱한 물질로 문지른 결과로 생긴 것이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실패하고 하나님의 학교에서 물러가는 것은 이러한 훈련의 과정 중에서이다. 그들은 효과있기를(effectiveness) 원하지만 닦고 날카롭게 하는 과정을 견디어 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 물러나는 것에 대한 불가피한 결과는 영적으로 평범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인내는 쉽사리 고갈되지 않는다. 조용히 그리고 끊임없이 그는 반항하는 인생을 그의 만드시고 날카롭게 하시는 손에 굴복하도록 이끌어 가신다.

교회사를 연구해 보면 하나님께 가장 많이 쓰여진 사람들이 그렇게 쓰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받고 즐겼던 특권 때문이 아니고 그들이 경험하고 견디었던 일들 때문이었다. 하나님께서 공공연히 쓰시고자 하는 모든 사람은 은밀한 중에 시험하는 불(testing fires)을 통과해야만 한다. 이같이 함으로써 숨겨진 흠이 드러나고 교정된다. 이렇게 광을 내는 과정 중에, 역경은 번영보다도 더 생산적인 것이다. 요셉이 높은 지위와 번영의 해를 누릴 수 있도록 갖추어진 것은 그의 역경의 어두운 날들 동안이었다.

마광한 살의 목적은 장식품을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고, 꿰뚫고 관통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그것은 골동품이 아니라 주인되시는 사수(射手)의 손에서 전쟁의 공격 무기가 되는 것이다.


숨기는 전통



왜 주님께서는 살을 마광케 하시고자 애를 쓰시는가? 사람들이 살의 힘에 감탄하게 하기 위해서 인가? 오히려 살이 전통에 감추어 질지라도, 그것을 만드신 이가 영화롭게 되고 영광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 전통에 감추시고” 이사야는 기록하였다. ”너는 내가 영광을 받을 나의 종이다.”

과시하기를 원하는 욕구와 감추어지기 싫어하는 것이 마광된 살의 특별한 위험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것을 용납하지 않으신다. 그는 그의 영광을 다른 이에게 주지 아니 하신다. 바울은 우리가 ”우리 자신이 아니라 주 예수 그리스도”를 설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광한 화살에게 유일한 안전한 장소는 그의(His) 전통 안에 숨기워지는 것이다.

사용되지 않을 때에 화살은 전통에 숨겨져 있다. -가장 시험이 되는 경험은 그것이 비상(飛翔)하면서 야심을 가지고 있을 때이다. 젊은 날 고통스런 마광의 때에 영광스럽게 승리했던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전통 속에 버려져 있을 때 비극스럽게도 실패를 한다. 가혹한 훈련 기간을 경험하고 영적으로 효율성 있도록 준비가되었지만, 그 과정이 끝났을 때, 아무 문도 열리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러한 시련의 경험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주님께서는 아직도 살을 전통에 두고 계시며, 적절한 순간에 사용될 준비가 되었을 때, 기대한 것과는 아주 다른 분야에서 사용하실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사용될 때에 살은 여전히 사수(射手)의 손 그늘 아래 숨겨져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고도로 마광되었고, 그 비상은 너무 빨라서 여전히 눈에 보이지 않는다. 모든 갈채를 받는 분은 사수이다. 화살은 전혀 아무 것도 아니다-도구를 기뻐하시는 사수에게 그 목적을 성취시켜 드리는 것 외에는.

영적인 효율의 비밀을 전달하는 세개의 단어가 있다. -날카롭게 되고, 마광되고, 감추어지는 것.


”만일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셔라.”

인간의 말 중에 이 말씀보다 더 위엄 있고 경이로운 말이 있겠는가? 주님은 모든 열망, 영적 결핍, 우리의 복잡한 본성의 모든 진정한 욕구를 채워 주실 수 있음을 주장하신다. 그는 한 사람을 위해, 그러므로 모든 사람을 위해 그것을 하실 수 있음을 주장하신다. 모든 인류를 위해 세상 끝까지 하실 것을 주장하신다. 이와 같이 인류의 맨 앞에 자신을 두고, 인류의 깊은 갈증을 아시고, 자신을 만족시킬 어떤 것도 창조할 수 없는 인간의 무능을 참작하시고, 신적인 특권을 취하시며, ”나는 세상 끝까지 모든 영혼 속의 모든 갈망을 만족시키러 왔다.”고 말씀하신 그는 누구일까? 그렇다. 그가 성전에 서서 이 말씀을 하셨던 그때부터 오늘날까지, 수백만의 사람들이 다음과 같이 말해왔고 또 말하고 있다. ”우리는 구원의 우물로부터 물을 긷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를 실망시킨 일이 없습니다.”라고 그리스도가 자신을 모든 필요로 채우고 모든 갈증을 풀어주는 분으로 대담하게 제시하신 것은 19세기간의 경험을 통해 증명되었고, 오늘날 많은 남녀가 그리스도께서 진실하시며, 참으로 우리 영혼에 충족하신 분이시라는 것을 인치고 있다.    Alexander Maclaren




15. 영혼의 만족에 관한 교훈



"명절 끝날 곧 큰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못하신 고로 성령이 아직 저희에게 계시지 아니하시더라)”(요한복음 7장37-39절).


위대한 인물을 주제로 한 그의 설교 중 하나에서 F. W. 보어함(Boreham)박사는 데이비드 브레이너드(David Brainerd's)의 몹시 닳은 성경에서 가장 닳아졌던 페이지는, 그가 종종 대단한 고독과 우울, 근심 가운데 있었을 때 펼쳤던 페이지인데, 그것은 바로 이 주님의 장엄한 선언이라고 이야기했다.

요한 웨슬레(John Wesley's)는 영혼에 대한 열심과 열망이 너무 강렬하여 충족을 갈구하게 될 때마다, 심지어 지상의 가장 순수한 샘가에서조차, 그는 위로를 위해 항상 이 말씀을 의지했다. 동일한 말씀이 목마른 영혼의 갈증을 풀도록 같은 샘가로 우리를 인도하지 않았는가?


상징적인 배경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광야 생활 가운데서 돌보시고 보호하신 것을 기념하는 것은 마지막 날인 장막절의 큰 날이었다. 성의 모든 거주민은 집을 떠나 일천 그루의 나뭇가지로 오두막을 만들어 거기서 한 주간을 살았다. 모든 곳은 휴일 기분에 젖어 있었다. 7일간은 아침마다 물을 붓는 회화적인 예식이 음악, 춤, 노래와 함께 거행되었다. 모든 이스라엘의 축제 중에서 이것이 가장 즐거웠다. 옛 히브리 잠언은 ”장막절 축제에 참석지 않았던 사람은 즐거움을 맛보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날 아침, 전날처럼 직무를 거행하는 제사장은 성전뜰을 축제의 무리와 함께 떠나서 실로암 물가로 갔다. 사람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높이 들고 찬송을 부를 때, 그는 황금 물주전자를 연못에 담갔다가 높이 들고, 그동안 군중은 ”너희가 기쁨으로 구원의 우물들에서 물을 길으리로다.”(f사 12:3)라고 찬송한다.

바로 그 순간 번제단에서 아침 제사의 연기가 오르기 시작하며, 행렬은 성전에도착한다. 은나팔을 3번 불어 환영이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번제단에 제사장이 도착하면, 그는 황금 물주전자를 높이 들고 햇빛에 반짝이며 제단의 바닥 속에 든 것을 비운다. 열심과 흥분이 절정에 이르면, 클라리온(나팔의 일종)이 올려 퍼졌다.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효과는 감동적이었다. 모든 눈은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돌려졌다. 이렇게 말하는 이는 누구인가? 젊은 선지자인 예수였다. 비유적 표현은 친숙한 것이었고, 그가 의미하는 것에는 실수가 없다. 그는 자신이 쏟아진 물의 원형인 메시야라고 주장하고 있다. 성전 지키는 이도 그에게 이끌려 그에게 손을 대지 못했다. ”이 사람의 말하는 것처럼 말한 사람은 지금까지 없었나이다”가 그들이 그를 체포하지 못한데 대한 이상한 변명이었다. 그의 초대는 얼마나 강렬했는가. 보통 그는 앉아서 가르쳤는데, 그러나 이제는 서서 외쳤다.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결코 목마르지 아니하리라.” 그의 청원의 강렬함과 절박감은 대단했다. 그는 가장 멀리 있는 사람들까지도 들을 수 있도록 소리를 높였고, 그의 음성은 수세기를 걸쳐 울려 퍼져서 우리 귀에 까지 들려 오고 있다.


영적인 욕구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 이 초대는 모든 사람이 예수께서 말씀하신 의미에 있어서 목마른 것은 아니라는 의미를 함축시키고 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반드시 영적 욕구에 의해 교회에 참석하는 것은 아니다. 빈 것(emptiness)과 목마른 것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나는 부주의로 차의 가스 탱크에 연료가 없는 상태로 차를 몰았던 일이 있는데, 그러나 차는 결코 고장나지 않았었다. 그것은 길가에 앉아 녹슬어 버릴 때까지 완전히 만족했다. 많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영적으로 비어 있으나, 목마르지는 않고 있다.

”하나님이여 사슴이 시냇물을 찾기에 갈급함같이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하니이다. 내 영혼이 하나님 곧 생존하시는 하나님을 갈망하나니 내가 어느 때에 나아가서 하나님 앞에 뵈올꼬.”라고 시편기자는 부르짖었다(42:1-2). 그의 말 뒤의 심상(imagery)은 즐거운 것이라기 보다는 괴로운 것이다. 사슴은 그의 갈증을 채우는 맑은 시냇가에 수동적으로서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여러 마일을 잔인한 적에게 추적당하여 숨을 헐떡이며 절망적으로 물을 구하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든지 우리는 하나님께 대해 이런 목마름을 가지고 있는가? 그는 오직 의에 목마른 사람들만을 만족케 하신다.

이 초대는 특히 목마름에 국한되어 있다. 부족, 부재(不在), 갈망, 의식은 하지만 채워지지 않는 필요가 바로 목마름이 아니겠는가? 특별히 우리 삶 가운데 부족함이 의식되어지는 필요의 영역을 분별하고 정의를 내려보자. 그것은 순수함, 기쁨, 사랑, 지혜, 청결 동정, 용기, 평안, 훈련인가? 그의 초대는 우리에게 개별적으로 말씀하신다. 왜냐하면 그것은 과거가 어떻든지 혹은 현재의 성격이 어떠하든지 ”누구든지” 초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목마른 사람은 누구나 그 영역에 속한다. 독선적이고 자만하는 사람만이 그 축복에서 제외되어 있다.


공급의 원리



"내게로 오라” 우리 영혼의 질병의 치료는 우리 자신의 손에 달려 있다. 우리가 알 수 있는 목마름 중에 주님 자신 안에서 만족될 수 없는 것이 없다. 그에게 나아온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우리가 아이에게 ”내게 오너라”고 말할 때, 우리는 그 의미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그는 안다. 하나의 가능성은 그가 초대의 방향으로 의지를 구사함으로 반응하는 것이고, 또 다른 가능성은 초대를 거절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의지를 구사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께 오는 것은 당신의 의지를 구사해서 그의 초대에 순종하는 것이다.

”내게로 오라” 그리스도께서는 인간의 마음의 가장 깊은 필요를 채워 주실 능력이 있음을 주장하고 계시지만, 그러나 우리는 이상하게도 그에게 곧바로 가려고 하지 않는다. 우리는 예배에 참석하여 성례를 지키기도 한다. 사람들을 따르고 모임에 모이기도 한다. 캠프에 가기도 하고 수양회에 참석하기도 한다. 사제와 목사님 -누구든지 간에 -의 말을 청종하기도 하지만 그리스도의 존전에 홀로 개인적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그것을 결코 용납지 않으신다. 그는 우리 영의 갈증을 개인적으로 해소해 주시며 대리로서 행하시지 않는다.

구세주의 초대의 목적은 사람들의 시선을 여러 해 그리고 수 세기 동안 반복되어 온 예식으로부터 인격이신 주님 자신으로 돌리는 것이다. 예식은 곧 폐할 것이며 주전자는 비게 될 것이지만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다할 줄 모르는 충만하심이 계속적으로 부어지는 저수지가 되신다. 셀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그로 부터 마셨고 만족을 얻었다.


나는 그리스도께로 나아와서

생명을 주는 샘물을 마셨노라.

나의 갈증은 풀렸고,

내 영혼은 소성되었으며,

이제 나는 그(Him)안에 살고 있노라.



간단한 비결



"내게로 와서 마시라.” 갓 태어난 아기는 마시는 법에 대해 지도를 받을 필요가 없다. 본질적으로 무엇을 마시는 것인가? 갈증을 해소시키도록 하나님께서 예비해 놓으신 것을 사유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겠는가? 목마른 사람의 발 밑으로 흐르는 물은 그가 그것을 마실 때까지는 결코 갈증을 풀어주지 못한다. 모든 영혼의 필요를 위해 예비하신 하나님의 풍성하심은 그것을 적용할 때까지는 쓸모가 없다.

많은 사람들이 회심할 때에 그리스도께 나아와서 구원의 우물에서 첫 한 모금을 마시고는 모든 것을 받은 것처럼 잘못 생각한다. 그들은 ”내가 그리스도를 영접할 때에 모든 것을 받았다”라는 위험한 반쪽(半面)의 진리에 찬동한다. 참으로, 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것을 받았다.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속한 모든 신령한 복으로 우리에게 복주시되” 결정적인 중요한 문제는, 하나님께서 주신 것을 우리가 얼마만큼 누리고 있는가? 이다. 가나안 땅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이미 주신 것이었지만, 그들이 바로 밟는 곳 만이 실제로 그들의 소유지가 되었다. 이런 유형의 그리스도인들은 현재에 그리스도의 충성하심을 누리는 경험을 하는 대신에, 끊임없이 10년 혹은 20년 전에 마셨던 그 경험만을 돌아보고 있다. 그들의 간증은 언제나 과거의 경험에 있는 것이다.

이 초대에서 「마시라」는 동사는 현재 계속형 시제이며, 이 말은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내게로 와서 마시고 계속 마시라”이다. 셔우드 에디(Sherwood Eddy)박사는 학생들의 세계에 하나님을 위해 강력한 힘을 발휘했었는데, 그는 인도(In-dia)에서 많은 군중에게 이야기했다. ”내 삶으로 부터 흘러 넘치는 생수의 강이 있다면, 그것은 그리스도께로 와서 마신 날이었고, 그 이후 날마다 그에게 나아와서 마시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공개된 비밀이 있다. 날마다 마시는 것을 계속하지 못하는 데 우리의 영적 실패가 있지 않겠는가? 주님께서는 그가 주신 것을 우리가 취하지 못하는 것을 기뻐하지 않으신다.

마르쿠스 쳉(Marcus Cheng)은 한때 중깅(Chungking)신학원의 교장이었는데, 학생 시절에 자금이 모두 떨어졌던 경우에 관해 이야기한다. 곤궁에 빠진 그가 어떤 선교사에게 사정을 다 털어 놓기로 마음먹었다. 그가 선교사를 찾아가 찾아온 용무를 이야기 한 것은 밤 늦게였는데 선교사는 왜 그가 규칙에 위반하면서 까지 밤 늦게 찾아 왔는가 물었다. 쳉은 간단히 말했다.

”나는 돈이 없어요.”

선교사는 그를 들어오라고 하더니, 은 동전이 들어 있는 금고를 열고 말했다.

”네가 원하는 만큼 가져라.”

무일푼의 학생은 떨면서 그가 찾을 수 있는 가장 작은 동전을 집었다. 그의 친구는 말했다.

”더 가져라. 네가 필요한 돈 전부를 가져라.”

쳉은 예기치 않은 그의 관대함에 마음이 북받쳐 울었다. 그는 그 시간에 하나님께서는 그의 친구가 그에게 했듯이 그를 대접하기 위해 준비하셨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말하였다. ”더 마시라. 네가 필요한 만큼 다 마시라.” 만일 우리가 계속 그리스도께 와서 마신다면, 그 필연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필연적인 결과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우리의 삶처럼 제한되고 가망없는 삶으로부터 하나님께서 생수의 강이 흘러 넘치게 하시는 것은 가능치 못한 일인 것처럼 보인다. 유럽의 가장 장대한 강은 알프스 산맥의 빙하에서 탄생되고 있다. 얼마나 마음이 차갑고 또 얼마나 평범한가 하는 것이 하나님께는 별로 대단치 않은 일이다. 만일 주님께 기회를 드리기만 하면, 하나님께서는 얼음장같은 마음으로 부터 생명을 주는 강한 억수(torrents)가 흘러 내리고 그들이 어디로 가든 생명과 생수를 가져 오도록 하실 수 있다. ”강이 흐르는 곳은 어디든지 만물이 살아날 것이다.”

우리는 결코 수원(水源)이 될 수는 없지만, 운하가 될 수 있다. 평범한 우리 삶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그의 충만하심을 다른 사람들에게 부어 주신다. 우리 중 누구든 과거를 돌아볼 때, 하나님께서 과거에 우리를 통하여 하실 수 있으셨던 것에 대해 만족하지 못할 것이다. 이 귀절에서 묘사하고 있는 경험은 우리의 계속적인 경험이 아니었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가져다준 축복은 억수라기 보다는 실개천이었다. 그러나 이 강물이 주위의 목마른 영혼들에게 이르기 전에, 우리 자신의 갈증이 먼저 충분히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만일 아직도 우리 만족을 위해 그리스도보다는 다른 근원이나 세상으로 가야 한다면, 이 강물은 결코 흘러 넘치지 않을 것이다.

”그의 배에서”가 주요 귀절이다. 성령의 참 축복은 언제나 흘러 넘치는 축복이다. 성령충만한 그리스도인은 결코 자기중심적이 아니다. 강은 언제나 바깥으로 흐른다. 많은 불모지처럼 열매맺지 못하는 삶은 과정을 거꾸로 해서 강이 안으로 흐르도록 노력하는 데서 오는 결과이다. 사해는 탐욕스럽게도 모든 흐르는 물이 안으로 흐르도록 하고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해로 남아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질서는 ”그로부터 생수의 강이 흘러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축복보다 개인의 즐거움과 행복이 추구하는 목적이 되었을 때 삶은 메마르게 된다.

어떤 그리스도인들은 제사장이 실로암 못에 담갔다가 높이 들어, 부어서 비우고는 다음 해 축제 때에 다시 채워지기를 기다리는 물주전자와 같이 되는 것에 만족한다 보다 깊은 삶을 위한 부흥집회의 가장 큰 위험이 바로 여기 있다. 하나님의 뜻은 우리 삶이 결코 공백을 모르도록 하는 것이다-비워질 수 있는 물주전자가 아니라, 세상의 필요를 채워 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충만하여 흘러 넘치는 수로(水路)가 되는 것이다.

윌버 채프만(J. Wilbur Chapman)박사는 어느 월요일 아침에 외양으로 보기에 그의 교회의 모든 것은 만족스럽게 되어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영혼은 큰 갈증을 느꼈던 것을 이야기했다. 그의 영적 상태는 만족과는 너무나 거리가 멀었다. 매 주의 설교를 실은 신문을 읽다가, F. B. 마이어(Meyer)박사의 설교를 발견했다. ”하나님을 위해 일하는 것과 하나님께서 그들을 통해 일하시도록 하는 것의 차이점을 전혀 배워본 일이 없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것이 많은 목사와 그리스도인 사역자들이 실패하는 이유이다.”라고 쓰여 있었다. 채프만 박사는 후에 말했다. ”그때 주님께서는 내 눈을 밝혀 주셨다. 나는 주님을 위해 너무나 열심히 일해 왔다. 이제는 달라질 것이다. 무릎을 꿇고 나는 기도했다. ”주님, 오늘부터는 나를 통하여 그들에게 당신을 부어주소서.” 이것이 그가 하나님의 도구로서 수천의 영혼을 왕국으로 이끈 위대한 사역의 발단이었다.


구세주의 의미



차갑고 열매맺지 못하고 매력없는 삶을 훈훈함과 열매와 매력으로 특징지워진 삶으로 변화시키는 동력은 무엇인가? 복음 전도자가 그 비밀을 말하고 있다. ”이는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못하신고로 성령이 아직 저희에게 계시지 아니하시더라”(요 7:39).

성령은 변화된 삶의 충분한 요인이 되신다. 역사적으로, 성령 강림은 예수의 승천에 달려 있었다. 왜냐하면 예수께서 아버지의 오른 편에 올리우셨을 때 성령께서 기다리고 있는 제자들 위에 부어졌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신자들의 경험은 역사적 사실과 정확한 일치를 보여 준다. 우리는 예수께서 우리 마음과 삶의 왕좌에 오시도록 초청할 때까지 성령의 능력과 물 붓듯이 부어 주시는 것에 대해 전혀 모를 것이다. 그러나 일단 그에게 마땅한 자리를 드리기만 하면 방해받지 않는 성령의 능력이 우리 삶을 통해 흘러가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죠지 6세 대제의 대관식은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던 예식이었다. 순서중에 켄터베리 주교는 모인 귀족들에게 ”경들이여, 나는 당신들에게 의심할 바 없는 당신들의 왕 죠지를 소개합니다. 그러므로 신하로서의 예를 표하기 위해 오신 여러분은 기꺼이 경의를 표하고 왕을 섬기겠습니까?”라고 하자 그들은 환호로 갈채하며 말했다. ”기꺼이 하겠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당신의 의심할 바 없는 왕으로 나타내실 때, 그를 당신 삶의 왕으로 왕좌에 기꺼이 모시겠는가? 그가 당신의 왕좌에 모시는 순간이 생수의 강이 당신의 삶에 흘러 넘치기 시작하는 순간이 될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