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호세아서 연구(2)

기독자료/기독.목회자료

by 발의무리 2008. 7. 18. 09:30

본문

13.호세아서의 개요
     (1)신실한 남편과 신실치 못한 아내(1-3장)
        호세아의 3자녀는 하나님의 이스라엘 취급의 상징이었다:  1)장남: "이스르엘"--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흩으실 것을 의미한다.   2)장녀: "로루하마" -- 그들의 죄 때문에 하나님의 긍휼을 받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3)차남: "로암미" -- '내 백성이 아니다'는 의미로서 하나님께서 죄 때문에 그들을 버리고 싶다는 것이다.

     (2)신실하신 주와 신실치 못한 이스라엘(4-14장)
        1)이스라엘의 범법(4-8장) -- 그들의 죄는 수다하다. 우상숭배(4장)와 불법(5장)이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사랑의 면전에서 행해졌으며(6장), 이에 그들의 타락(7장)과 배교(8장)가 뒤따랐다.
        2)이스라엘의 재앙(9-10장) -- 재앙은 심판의 신호다. 심판은 불순종 때문이었다(9장). 그 재앙의 양식은 이스라엘의 분산에서 나타났다(10장).
        3)이스라엘의 회복(11-14장) -- 호세아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최종적으로 회복하실 것을 강조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 때문이다(11:4,11:8).  그래서 구원에의 초청이 "이스라엘아, 주 하나님께로 돌아오라"고 발해진다(14:2).


B.연구 문제

  1.호세아의 결혼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3가지 해석이 있다:
    (1)(우화적 해석)(Allegorical Interpretation)
       호세아의 결혼을 (우화)로 보는 견해인데, 이것은 John Calvin에 의하여 창시되었다. 이 견해는 1:2의 "음란한 아내"를 '창녀'(a prostitute)로 보고, 도덕적 근거에서 창녀와의 결혼을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요구하실 수 없다는 이유에서 제기된 것이다.  이 입장을 받아드릴 경우, 자녀들에 대한 이야기는 모두 사실이 아니고 우화적 대사가 보아야할 것이다.

    (2)결혼 후의 (불성실한 아내)를 가진 것으로 보는 해석
      여기 "음란한 아내"를 호세아 시대에 우상을 숭배하고 영적으로 간음한 백성에 속하는 한 사람으로 해석한다.  이렇게 보는 사람들은, 실제로 결혼 전에 부정한 짓을 한 것이 아니고, 그녀의 성품 속에 잠재해 있는 우상숭배의 방탕한 성향을 가진 것으로 본다.

    (3)결혼 전에 호세아가 실제로 (부정한 아내)를 가졌다는 해석
      이 입장을 취하는 사람들은 "음란한 아내"를 Calvin과 같이 (창녀)로 이해하며, 이 경우는  하나님께서 그의 선지자를 특이하게 취급한 하나의 예외적인 사건으로 본다.


  2.호세아서의 신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다음과 같은 3가지 면에서 신학에 공헌하고 있다:
    (1)야웨 하나님을 (사랑)과 (자비)의 하나님으로 나타내 주고 있는 점이다.  구약 전체를 통해서 호세아 만큼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그렇게 강렬한 (사랑)으로 연결한 선지자는 없다.
    (2)(고통)을 야웨의 사랑이라고 해석한 점이다.
       호세아는 하나님의 사랑의 품을 떠났던 백성이 고난을 통해 다시 하나님께 돌아오게 된다고 본다.  즉 그는 (고난)을 하나님의 사랑의 채찍으로 해석한 것이다.

    (3)모든 죄악을 (무지)의 결과로 본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의 불충성은 하나님께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석한다.  그래서 호세아는 만일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바로 알았다면 우상숭배도 하지 않았을 것이고, 정치적 사회적 죄악도 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6:3).


  3.야웨의 "사랑"의 특성은 무엇인가?
    (1)야웨의 사랑은 그의 백성에 대한 (포기)가 없으시다는 것이다.
         (1:1-3:5, 2:19-20).
    (2)야웨의 사랑은 야웨의 (타협없는 진리)를 통하여 역사한다는 것이다 (4:1-7:16, 4:1).
    (3)야웨의 사랑은 야웨의 (보복적 의)를 응용하신다는 것이다. 그 분은 그의 백성을 그들의 죄 때문에 징벌하신다(8:1-10:15, 9:7).

    (4)야웨의 사랑은 자신의 (모든 속성들)을 응용하신다는 것이다.  그 분은 이스라엘의 친족 구원자(Israel's Kinsman Redeemer)가 되기로 결정하신다(호 11:1-14:9, 11:9, 13:14).


  4.이스라엘의 국가적 몰락의 단계를 보여주는 죄악들은 무엇인가?
    (1)지식의 결핍(호 4:6) -- 머리가 텅 비었다는 의미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 무지).
    (2)교만(호 5:5) -- 마음에 큰 질병이 있다는 의미.
    (3)불안정(호 6:4) -- 위선에 의해 삶이 질식되고 영적이어야 할 예배가 형식적, 상투적 인  것이 되어 버림으로 인해서 온 결과(호6:6).
    (4)세속성(호 7:8) -- 뒤집지 않는 전병으로 상징. 반은 익지 않고 반은 새까맣게 타버린 것 같이,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은 하나님을 향해서는 설익고 세상을 향새서는 새까맣게 탄
사람들이 되었다.
    (5)부패(호 9:9-10 ) -- 종교라는 미명 아래 이방종교와 하합했으니 종교가 썩은 것이다.
    (6)타락(호 11:7) -- 타락이 체질화되었다는 의미이다.
    (7)우상숭배(호 13:2) -- 우상적 방종이 극에 달했다(13:2).
            

  5.호세아서를 통해 배우게 되는 항구적인 교훈은 무엇인가?
    (1)망해가는 국가의 어리석음은 개인의 (이익)에 관심을 둔다(호 5:10-11)
    (2)범죄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처벌)이 따른다(호 4:13-19)
    (3)종교 지도자들이 타락할 때 (국운)은 급속히 기울어진다(호 4:9).
    (4)하나님의 율법을 무시할 때에는 반드시 (보응)이 따른다.
            (호 4:6,  8:1, 12)
    (5)자비를 나타내 보이시기를 갈망하시는 하나님의 (부성애적) 사랑이다.  그가 사용한
<헤세드>(자비, 은총, 인애, 긍휼)란 용어 가운데서 잘 나타난다(2:19, 4:1, 6:4, 6:6, 10:12, 12:6). 이 용어는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의 마음이 결합된 그러한 사랑과 충성의 의미이다.  호세아는 사랑이란 새로운 복음의 메시지를 전파한 전도자이다.  "만일 시편 22편이 구약의 갈보리라고 한다면, 호세아의 흐느낌은 구약의 겟세마네이다."    

'기독자료 > 기독.목회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엘서 연구 (2)  (0) 2008.07.18
요엘서 연구 (1)  (0) 2008.07.18
호세아서 연구(1)  (0) 2008.07.18
서론(9) 선지자들의 분류  (0) 2008.07.18
서론(8) 거짓 선지자들의 표징  (0) 2008.07.18

관련글 더보기